미국정부 셧다운 으로 원달러 환율 1,405원으로. 급등 News2025. 10. 1. 18:56
환율 급등과 셧다운 현실화
우리 시간 10월 1일 새벽 2시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 서울 외환시장 종가 대비 6.3원 오른 1,40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 주간 거래 종가인 1,402.9원보다는 2.1원 상승한 수준이다.[1][2]
미 상원은 셧다운 회피를 위한 최종 협상일인 9월 30일(현지시간) 공화당의 7주짜리 임시예산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55표, 반대 45표로 부결됐다. 민주당이 발의한 임시예산안 역시 부결되면서 한국시간 10월 1일 오후 1시 1분부터 연방정부가 7년 만에 셧다운에 돌입하게 됐다.[3][4][5]
환율은 장중 최고 1,405.40원까지 치솟았으며, 야간 거래까지 포함한 총 현물환 거래량은 186억 8,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404원 안팎에서 뉴욕장에 진입한 달러·원 환율은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이 커지자 지속적인 상방 압력을 받았다.[2]
인용:
[1] 달러·원 환율, 美셧다운 우려에 1405원 마감 - 연합뉴스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1001053413XVo
[2] 달러·원 환율 1405원 마감...미국 '셧다운' 우려에 상승 https://www.ytn.co.kr/_ln/0104_202510010424030747
[3] 美예산안 최종일 처리 불발…7년만의 '셧다운' 돌입 수순(종합) https://v.daum.net/v/20251001101024941
[4] Government Shutdown Clock https://www.whitehouse.gov/government-shutdown-clock/
[5] It's Official: U.S. Government to Shut Down at 12:01 a.m. https://time.com/7322164/government-shutdown-begins-donald-trump/

환율 급등과 셧다운 현실화
우리 시간 10월 1일 새벽 2시 기준 달러·원 환율은 전 거래일 서울 외환시장 종가 대비 6.3원 오른 1,405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주 주간 거래 종가인 1,402.9원보다는 2.1원 상승한 수준이다.[1][2]
미 상원은 셧다운 회피를 위한 최종 협상일인 9월 30일(현지시간) 공화당의 7주짜리 임시예산안을 표결에 부쳤으나 찬성 55표, 반대 45표로 부결됐다. 민주당이 발의한 임시예산안 역시 부결되면서 한국시간 10월 1일 오후 1시 1분부터 연방정부가 7년 만에 셧다운에 돌입하게 됐다.[3][4][5]
환율은 장중 최고 1,405.40원까지 치솟았으며, 야간 거래까지 포함한 총 현물환 거래량은 186억 8,100만 달러를 기록했다. 1,404원 안팎에서 뉴욕장에 진입한 달러·원 환율은 미국 정부 셧다운 가능성이 커지자 지속적인 상방 압력을 받았다.[2]
인용:
[1] 달러·원 환율, 美셧다운 우려에 1405원 마감 - 연합뉴스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1001053413XVo
[2] 달러·원 환율 1405원 마감...미국 '셧다운' 우려에 상승 https://www.ytn.co.kr/_ln/0104_202510010424030747
[3] 美예산안 최종일 처리 불발…7년만의 '셧다운' 돌입 수순(종합) https://v.daum.net/v/20251001101024941
[4] Government Shutdown Clock https://www.whitehouse.gov/government-shutdown-clock/
[5] It's Official: U.S. Government to Shut Down at 12:01 a.m. https://time.com/7322164/government-shutdown-begins-donald-trump/
시장 전문가 분석과 전망
브라운 브라더스 해리먼(BBH)의 수석 시장 전략가 엘리아스 하다드는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이 달러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며 "장기간의 셧다운은 성장에 대한 하방 위험을 키우고 연방준비제도가 더 완화적인 기조를 취할 가능성을 높인다"고 분석했다.[1]
원화는 위험 통화로 분류되는 가운데 미국 경제 불확실성 확산으로 동반 약세를 보인 반면, 유로·엔·파운드·스위스 프랑 등 안전자산 통화들은 달러 대비 강세를 나타냈다. 이 같은 위험 회피 심리는 뉴욕 증시에도 영향을 미쳐 다우존스와 나스닥 지수가 하락세를 기록했다.[1]
우리은행 민경원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임시예산안 합의 실패가 기정사실화될 경우 역외를 중심으로 약달러에 베팅하는 매도세가 외환시장에 나타날 것"이라며 "환율 상승폭 반납과 하락 전환을 이끌 수 있다"고 전망했다.[2]
셧다운 기간 중에는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되고 연방 공무원들이 무급 휴직에 들어가게 된다. 미국 노동부는 이미 10월 3일 예정된 고용보고서 등 핵심 경제지표 발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3][4][5][1]
인용:
[1] 달러·원 환율 1405원 마감...미국 '셧다운' 우려에 상승 https://www.ytn.co.kr/_ln/0104_202510010424030747
[2] 환율 장초반 상승세…美셧다운 불확실성 주시 | 아주경제 https://www.ajunews.com/view/20251001095832927
[3] 달러·원 환율, 美셧다운 우려에 1405원 마감 - 연합뉴스TV https://www.yonhapnewstv.co.kr/news/AKR20251001053413XVo
[4] 달러·원 환율 1400.4원 마감...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 우려에 ... https://v.daum.net/v/20250930051502130
[5] [속보] 원달러 환율 다시 1400원 돌파... 한-미 통화스와프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5/09/202509300452531580906806b77b_1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행정부, 바이든 74억 달러 반도체 연구개발 지원 전면 중단 (0) | 2025.10.01 |
---|---|
해외에서 ''도저히 믿을 수 없다며'' 사진 찍어 공유한 한국 '한강의 실태' (0) | 2025.10.01 |
장윤미 "영치금 있잖아", '윤석열 변호인' 김계리 "컵라면과 건빵으로 점심 식사···생명의 위협" (0) | 2025.10.01 |
“트럼프, 국민들 의견 좀 들어봐”…미국인 70% “한국과의 교역, 미국에 이익” (0) | 2025.10.01 |
방금 올라온 맨유 인스타 게시물 (0) | 202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