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2012. 2. 19. 06:56

Font Location and Use macOS2012. 2. 19. 06:56

Font 설치때는 아래 서체 관리자에 폰트를 드래그앤 드랍으로 넣어주면 된다.
 

FontManager

FontManager


Table 1: Font Location and Use

Font Use
Font Folder
Font Description
"User" ~/Library/Fonts/

Note: The tilde character (~) represents a user's Home, which may be local or remote.
Each user has complete control over the fonts installed in her Home. These fonts are available to that user when she is logged in to the computer. Fonts installed here are not available to all users of the computer.
"Local" /Library/Fonts/ Any local user of the computer can use fonts installed in this folder. Mac OS X does not require these additional fonts for system operation. An Admin user can modify the contents of this folder. This is the recommended location for fonts that are shared among applications.
"Network" /Network/Library/Fonts/ The Network folder is for fonts shared among all users of a local area network. This feature is normally used on network file servers, under the control of a network administrator.
"System" /System/Library/Fonts/ Mac OS X requires fonts in this folder for system use and displays. They should not be altered or removed.
"Classic" /System Folder/Fonts/

Note: Do not confuse the Mac OS 9.1 "System Folder" with the Mac OS X "System" folder.
This folder contains fonts used by the Classic environment. If more than one Mac OS 9.1 System Folder is present, only fonts in the System Folder selected in the Classic pane of System Preferences are used. Classic applications can access only these fonts, not those stored elsewhere. Conversely, Mac OS X applications can use these fonts, even when the Classic environment is not active.

참고 : http://osx86.tistory.com/1116

:
Posted by uno-ani
2012. 2. 17. 14:58

Mountain Lion 설치하는 방법 macOS/Mountain Lion2012. 2. 17. 14:58

우선 App Store에서 구매한다.

AppStore

참고로 USB를 준비하여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 Lion DiskMaker

Mountain Lion : 설치과정은 Lion과 동일하다.

MountainLion

MountainLion


MountainLion


Mountain Lion
 

MountainLion



 


MountainLion
 


MountainLion
 


Mountain Lion
 


Mountain Lion
 

아래 그림과 같이 유저와 비밀번호 즉, 시스템 관리자 계정을 생성한다.

유의할 점은 한글로 생성하지 말고 가능한 영문으로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이니셜을 이용하여 가능한 간단하게 생성하는 것이 좋다.

박지성이라면 걍 JSPark 정도로,,,,,

잊어먹으면 답없다.

걍 범용적인 시스템인 경우 MacPro  혹은 iMac 이렇게 난 생성하고 만다.

그닥 좋은 방법은 아니지만 초보자인 경우 이 계정을 잊어먹고 설정하지 않았다고 발뺌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아니면 걍 root로 계정을 생성한다.  이건 뭐 최악의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가장 기초적인 것이 계정생성이므로 그닥 설명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


MountainLion


Mountain Lion


MountainLion02


Mountain Lion


MountainLion


MountainLion

Mountain Lion








 

findmac

findmac


'macOS > Mountain L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untain Lion DP3 -> DP4(?)  (0) 2012.05.06
Mountain Lion DP3 released  (0) 2012.04.19
Mountain Lion DP2  (2) 2012.03.18
Mountain Lion 버그  (0) 2012.03.01
해킨토시 nVidia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 Mountain Lion용  (0) 2012.02.21
:
Posted by uno-ani
Update :  http://osx86.tistory.com/79 


1. 응용프로그램>유틸리티 에 있는 Bootcamp Assistant(부트캠프 지원)를 실행한다.

BootCamp01


2. 윈도우 파티션 크기를 결정하고 파티션(Partition)한다.
(32GB까지는 FAT32포맷이 가능하지만 32GB이상사이즈는 NTFS포맷을 해야하므로 가능한 NTFS포맷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지만, FAT32포맷은 맥오에스 부팅시에 맥에서 윈도우파티션에 데이타를 넣을수가 있으나, NTFS포맷은 맥에서 데이타를 넣지를 못한다). 그러므로 우선 FAT32로 파티션 한 다음 차후 disk utility를 이용하거나 Paragon HDD Manager를 이용하여 파티션 크기를 재조정하는 것이 좋다.

bootcamp02




3. 윈도우 Xp Sp2 시디를 넣고 윈도우 XP 설치.. Start installation을 누른다.

 

4. CD 부팅시에 도스화면에 Press anykey to boot from CD........가 나오면 아무키나 누른다.
CD로 부팅이 되고 설치과정이 나오는 과정중에 설치 드라이브는 반드시 드라이브중 C드라이브를 선택 설치한다.(다른 드라이버 특히 D 드라이브등을 지우거나 하지 않는다.)

- 만약 다음과 같은 항목이 나온다면 4번을 선택한다.

1.Machintosh HD

2.Recovery HD

3. Windows

4. EFI Boot

 

5. 설치완료후.. 윈도우로 부팅이 된다.
(윈도우 설치과정중 맥북이나 맥북프로는 반드시 키보드종류를 3번으로 해야 한영전환시 쉬프트+스페이스바를 사용할 수 있다.)

 

6. 윈도우 부팅후에 레오파드 DVD 설치CD를 넣고 윈도우 장치드라이버를 설치한다.
그리고 추후 악성코드 검사 치료프로그램과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한다.




Boot Camp로 Lion(10.7)에서 윈도우즈7 설치하는 방법
http://manuals.info.apple.com/ko_KR/boot_camp_install-setup_10.7_kh.pdf

단축키 참고 : 
http://support.apple.com/kb/HT1171?viewlocale=ko_KR


Tips)
Mac OS X 10.7 Lion 부터는 Boot Camp 지원 어플리케이션에서 Windows 7을 USB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구형 시스템인 경우 Boot Camp 지원 어플리케이션에 제한이 있어 최신 기종이 아니면 USB를 이용한 설치가 불가능하다.

이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usb로 윈도우즈를 설치해 보자.

Spotlight(Command+Space)에서 “System Information” 입력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하드웨어 탭에 Boot ROM 버전: 에서 앞의 코드명을 기억(예 MBA31)해 두자.
system_profiler

Finder에서 응용 프로그램->유틸리티의 Boot Camp 지원 우클릭 후 패키지 내용 보기를 클릭한다.
Contents/Info.plist 파일을 바탕화면에 복사한다.
텍스트 편집기로 열고 아래로 스크롤하여 USBBootSupportedModels 을 찾는다.
아래<array></array> 사이의 string들 중 하나를 변경한 후 저장한다.
예):<string>IM130</string>을 <string>MBA31</string> 로 변경
저장한 파일을 원본 파일에 드래그하여 덮어쓴다.
이제 Boot Camp 지원 어플에서 USB 설치관련 옵션이 사용 가능하다.
------------------------------------------------------------------------------------------------------------------

출처 : http://reviews.cnet.com/8301-31012_7-20020513-10355804.html http://iamghost.kr/b/archives/4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pdate for Mountain Lion  (0) 2012.03.01
Font Location and Use  (0) 2012.02.19
Terminal 환경설정  (0) 2012.01.19
Mac Virtual Memory – Swap 파일 위치와 Disable 시키는 방법  (0) 2011.12.06
스케줄 & 잠자기 설정  (0) 2011.10.11
:
Posted by uno-ani
2012. 1. 19. 22:42

Terminal 환경설정 macOS2012. 1. 19. 22:42

Terminal


:
Posted by uno-ani
2012. 1. 16. 15:58

Mac OS X Lion 10.7.3(11D42) macOS/Update2012. 1. 16. 15:58

1073_11D42

:
Posted by uno-ani

Mac OS X Swap 파일 위치


Terminal

terminal 에서 관리자 권한 획득 :

#sudo -s

비밀번호를 입력해도 보이지 않는다.  걍 엔터.

FreeBSD UNIX 기반의 Mac 에서 swap 위치 :

/private/var/vm/

이 디렉토리는 또한 sleep image 파일도 있다. 이 파일은 Mac 이 깨어났을 때 다시 읽어 잠자기전의 상태로 되돌려준다. 어쨌든 동일한 디렉토리의 swap 파일명은 swapfile0, swapfile1, swapfile2, swapfile3, swapfile4, swapfile5 등이 있을 것이다.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ls -lh /private/var/vm/swapfile*

이 swap 은 대개 64MB 로부터 512MB 까지 있을 것이다.

Mac OS X 페이징 / Swap 을 사용하지 않게 하는 방법

주의: Mac OS X 에서 메모리 관리와 swap 파일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정확하게 어떤 작업을 하는지 숙지하지 않았다면 변경하지 않는 것이 좋다. 다시 Terminal 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 명령어는 Mac OS X 커널에서 dynamic pager를 unload 할 것이다.

sudo launchctl unload -w /System/Library/LaunchDaemons/com.apple.dynamic_pager.plist

다시 한번, 이 작업은 Mac OS X paging 을 불가능하게 하니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다음 단계는 현재 저장되어 있는 swap 파일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후 swap 파일들은 비교적 크고 비록 페이징을 하고 있지 않지만 여전히 디스크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과 같은 명령어로 swap 파일을 제거하여 준다.

sudo rm /private/var/vm/swapfile*

:
Posted by uno-ani
2011. 11. 8. 18:18

시스템 점검하기 macOS/RealMac2011. 11. 8. 18:18

1. IO registry 점검하기 위해 터미널을 실행한다.
terminal

2.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바탕화면에 dsdt.aml 화일을 생성하여 전문가에게 의뢰하거나 분석한다.
perl -e 'open(CMD, "ioreg -lw0 \| grep DSDT|") or die; while(<CMD>) { chomp; if($_ =~ /\"DSDT\.?\d?\"=<([^>]*)>/) { $buff = $1; open(PIP, "|xxd -r -p > ~/Desktop/dsdt.aml") or die; print PIP "$1"; } }'

Cloud
Cloud
DSDT.aml 을 클라우드에 던져넣어 공유한다.


3. 또한 로딩된 드라이버를 점검한다.
kextstat   -l   > ~/Desktop/kext.txt

4. 정상적인 드라이버가 로딩되지 않았다면 드라이버를 다시 로딩한다.
kextload   /System/Library/Extensions/AppleHDA.kext

 
5. 기타 
일주일에 한번 정도는 디스크 유틸리티
(Disk Utility)를 실행하여 디스크권한을 복구하여 준다.

diskutility01


disk utility
 











 
:
Posted by uno-ani
2011. 10. 28. 11:16

iPhoto, Aperture, HP Printer Update macOS/Update2011. 10. 28. 11:16

iPhoto, Aperture, HP Printer Update


iPhoto Update

Aperture


:
Posted by uno-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