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 APEC CEO 서밋에서 발표한 내용과 연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미국의 투자 확대와 경제 자신감 -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18조 달러 신규 투자를 확보했다고 강조하며, 미국 경제 황금시대를 다시 열었다고 자평했다. 이는 대규모 투자 유치와 제조업 회복, 첨단산업 부흥으로 미국 경제의 경쟁력을 크게 끌어올린 것으로 평가된다. - 특히 반도체, 철강, 화학 분야에서 제조시설이 미국으로 복귀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리쇼어링’ 효과가 경제성장을 견인하는 긍정적 신호로 보인다.
### 한미 무역 협상에 대한 함의 -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무역 합의가 곧 마무리될 것이라 언급하며, 산업통상부 김정관 장관을 ‘훌륭한 협상가’로 평가했다. - 그러나 동시에 “조금 능력이 부족한 분을 만났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협상 과정에서 미묘한 불만이나 압박 신호도 전달했다. 이는 무역 협상에서 한국 측에 유리한 조건을 자연스럽게 압박하는 발언으로 해석된다. - 한미 협상 관계자들을 공개적으로 칭찬하며 협상력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내부 균형과 외교적 기조를 다지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 AI 산업과 규제 완화 전망 - AI 산업 성장과 데이터 센터 건립 관련 규제 완화 의지를 밝혀, 미국의 첨단기술 산업 육성 기조를 공식 확인하였다. - 이는 미·한 첨단산업 협력과 기술개발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으며, 한국 기업들도 미국 내 신산업 투자 확대 기회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
### 한중 무역 합의 기대와 외교적 메시지 -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과의 회동을 예고하면서 “중국과의 무역 합의도 원한다”고 강조해, 경제·외교 다변화 의지를 드러냈다. - 이는 미중 간 경제 관계 긴장 속에서도 균형 외교를 도모하려는 한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며, 다자주의 협력 과제와도 맞닿아 있다.
### 종합 평가 -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정책과 성과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표출하며, 미국의 경제 재도약에 대해 대외적으로 과시하고 있다. - 동시에 한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주도권을 유지하려는 의지도 드러나, 무역 불균형 해소와 미국 내 산업 보호 요구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AI 등 첨단산업 육성과 규제 완화는 향후 한미 기술협력에 긍정적 시그널이며, 한중 무역 합의 추진은 지정학적 긴장 완화와 경제 안정에 기여할 전망이다.
따라서 이번 연설은 미국 경제 전략의 재확인과 함께 한국과의 무역·기술 협력 강화, 그리고 미중 경제 균형 외교에 관한 복합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한국 경제외교에 중요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한국이 다자주의(multilateralism)를 선택하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국제경제 환경에서 매우 탁월한 선택이 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다양한 측면에서 그 이유를 분석할 수 있다.
### 1. 보호무역주의와 미·중 분쟁 시대의 대응 전략 - 미중 패권경쟁과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 국면에서 개별 양자동맹 혹은 편향적 일방노선은 불안정성을 높인다. - 다자주의는 다양한 국가들과 협력·연대함으로써 무역, 공급망, 기술, 에너지 등 여러 문제에서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특정 국가(미국 혹은 중국)에의 경제적 종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안정장치로 작용한다[1].
### 2. 공급망 안전망 및 신산업 협력 강화 - APEC, CPTPP, RCEP 같은 다자 프레임워크 참여를 통해 팬데믹·지정학 위기·기후이슈 등 글로벌 공급망 위협에 공동 대응할 수 있다. - 이번 APEC 의장국 경험은 한국이 민관 공급망 협력 포럼을 최초로 선도하며, 신산업(예: AI, 첨단제조 등)에서 정책 공조와 혁신 촉진의 장을 확장하는 기회가 된다.
### 3. 혁신과 개방을 통한 신성장 동력 확보 - 다자주의의 핵심은 연결(연대), 혁신, 공동번영에 있다. 외부 압박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국가와 개방적 경제 협력을 확대하면 기술 교류, 투자, 인력 순환 등 신성장 동력을 꾸준히 확보할 수 있다. -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경험(산업화, 정보화, 디지털혁신 등)을 다른 국가에 제공하면서 동시에 규범 설정과 최첨단 기술 협력의 선도국가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 4. 국제 신뢰 및 외교적 입지 강화 - 미·중 사이에서 균형외교(안미경중 모델은 어려워졌지만)가 사실상 힘들어진 상황에서, 다자주의적 협력은 경제·외교 달성 목표의 현실적 대안이 된다[1]. - 중견국(Middle Power)의 특성을 살려 유엔, OECD 등 주요 다자 틀과 연계된 '중재자·연결자' 역할을 확장해, 국제적 영향력과 신뢰도 제고가 가능하다.
### 5. 지속가능한 성장과 미래 세대 기회 - 다자주의가 제공하는 혜택은 단기 경제적 이득만 아니라, 지속가능발전과 미래 세대 공동번영이라는 장기적 비전에도 부합한다. - 새로운 글로벌 규범과 환경·기후 등 초국경적 어젠다 협력을 통해, 한국 경제와 사회가 장기적 성장 기반을 다지게 된다.
***
종합하면, 한국이 다자주의를 선택할 경우 경제·외교적 리스크를 분산하고, 글로벌 시장·공급망 접근성 및 기술혁신 촉진, 국제 신뢰 제고, 미래 성장 동력 확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략적 이점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미중 전략경쟁 및 세계적 불확실성 속에서 경제안보와 성장전략을 동시에 달성하려는 현실적·선제적 방안으로 평가된다[1].
인용: [1]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 한국 산업의 새로운 활로 개척 기대 https://koreabizreview.com/detail.php?number=6435&thread=21r05
대한민국이 과거 외교 노선인 '안미경중(安美經中)'—즉 안보는 미국에 의존하고 경제는 중국과 협력하는 전략—을 지금도 펼칠 수 있는지 다각도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 국제정세와 안미경중 정책 한계 - 현대 미·중 패권 경쟁과 공급망 재편, 특히 미·중 간 경제·안보 통합 강화로 인해 한국이 안미경중 전략을 계속 유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미중 양강 모두 전략물자·기술 통제를 강화하면서 경제와 안보가 엄격히 연결되고 있기에 경제를 중국에 의존하는 구도가 성립하기 힘들다[1][2][3]. - 2023년 한국의 대미 수출이 대중 수출을 역전했고, 한국은 미국의 핵심 공급망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다. 이는 경제 실익 면에서 중국보다 미국 의존도가 높아진 것을 의미한다[1][2]. - 미국은 한국에 대해 안미경중 전략 종식을 요구하며, 동맹 차원에서 중국 견제에 적극 참여할 것을 요구하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미국 의회 인사들은 한국이 미·중 양쪽의 입장을 모호하게 취하는 것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으며, '양다리 외교'를 모욕으로 간주하기도 한다[4][5].
### 한국 정부의 대응과 새로운 외교정책 - 이재명 대통령은 2025년 한·미 정상회담 및 CSIS 강연 등에서 '안미경중'은 이미 불가능해졌고, 앞으로는 미국과의 전략적 동맹을 강화하는 '미국 우선 외교' 기조를 밝혔다. 다만 중국과의 관계도 완전히 단절할 수 없으므로 관리·조율하는 ‘신(新) 안미경중’ 또는 ‘균형 외교’를 지향한다고 설명했다[1][6][7][8]. - 국방비 증액, 안보 주도적 역할 강화, 신제조 동맹 구축(미국과 첨단기술 협력 확대) 등이 정책의 핵심이다. 이는 안미경중에서 탈피한, ‘경제안보 시대’에 맞는 외교·안보 전략으로 평가된다[2][6]. - 국민 조사에서는 다수(67.5%)가 미·중 사이 균형 외교를 원하지만, 현실적 제약과 미국 요구를 감안할 때 ‘안미경중’ 완전 유지는 쉽지 않다는 인식이 많다[9][10].
### 중국과의 관계 유지 필요성 - 중국은 지리적·경제적 현실상 무시할 수 없는 힘이다. 한국은 대중 의존을 줄이는 동시에 중국과의 안정적 대화·협력을 병행해야 하는 어려운 외교적 딜레마에 처해있다. - 중국 봉쇄·견제 구도에 동참하면서도 문화·경제 교류를 완전히 단절할 수 없고, 위기 시 군사적으로도 중국과 대치하는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층적 외교 노력이 요구된다[11][12][8].
### 결론 - 안미경중 정책은 한때 한국 외교전략의 핵심이었으나, 2020년대 미·중 전략 경쟁과 경제안보 시대 도래로 인해 사실상 계속 추진하기 어려운 오래된 모델이 되었다. - 한국 정부는 미국과의 전략동맹 강화를 중심으로 중국 관리 및 조율을 병행하는 ‘신 안미경중’ 혹은 ‘균형 외교’ 기조로 전환하고 있으며, 이는 현실적 제약 하에서 국익을 최대화하는 선택으로 해석된다. - 한미동맹 강화와 국방비 증액, 첨단산업 협력 확대가 우선 순위가 되며, 중국과는 민감한 경제·문화 교류를 유지하면서 전략적 긴장은 관리하는 복합 전략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대한민국이 과거와 같은 안미경중 정책을 '그대로' 펼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미·중 사이에서 신중한 균형 외교를 하면서 미국 중심 동맹 체제에 의존하는 현실적 대안이 추구되고 있다[1][6][4][7][8].
하지만, 최근 트럼프의 강경한 500여조의 투자 강제(강제 탈취)로 인해 다시한번 심사숙고 해야만 한다. 과연 미국은 여전히 동맹국인가?
한국이 안미경중 포기 시 경제적 피해 시나리오 분석
한국이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정책을 포기하고 미국 중심으로 외교·경제 노선을 전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피해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 1. 중국의 경제 보복 및 제재 가능성 - 이미 2016년 사드 배치 시 중국은 한한령(한류 금지)과 같은 경제제재를 단행해 한국 기업과 문화산업에 큰 타격을 준 바 있다. 유사하게 중국이 한국 대기업 및 특정 산업에 대해 무역 제한, 투자 제한, 또는 추가적인 제재 조치를 가할 위험이 높다[1][2][3]. - 예컨대 한화오션 미국 자회사가 중국 제재 대상이 된 사례에서 보듯, 중국의 불확실한 경제 보복이 한국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과 투자 활동을 방해할 수 있다[4]. - 중국의 제재는 한국 수출에 직접적인 타격이 되어 반도체, 자동차, 부품 등 핵심 산업에 피해가 불가피하며, 이는 산업 생태계 전반과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친다[5][4].
### 2. 수출 및 무역 환경 악화 - 한국은 대중국 수출 의존도가 커서 경제 성장과 기업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미국과 중국 간 통상 갈등 심화는 한국 기업에게 중간재 공급과 수출 시장 불확실성을 키워 수출 둔화와 매출 감소 위험을 높인다[6][7][8]. - 미·중 무역 분쟁에 따른 미국의 대중국 관세 정책 강화가 오히려 한국 기업에 이중 부담을 지우고, 중국 내 시장 접근성이 악화될 수 있다[8][9].
### 3. 산업 공동화 및 기술 이전 문제 - 미국이 자국 중심적 정책을 강화하면서 한국의 첨단기술 산업이 미국 내로 이전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한국 산업기반 약화와 일자리 감소, 기술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5]. - 한국은 안보 동맹을 강화하는 대신 산업 정책에서 비대칭적 희생을 강요받아 기술 이전과 산업 기반 약화라는 구조적 문제를 겪게 된다[5].
### 4. 금융·투자 불확실성 증가 - 중국 경제와 금융 시장과의 연계 축소는 단기적으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 중국 의존도 감소로 자본 흐름이 불안정해지고, 해외 투자 유치 어려움, 기관투자자들의 투자심리 악화가 예상된다[4][10]. - 이는 중장기적으로 투자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로 연결될 위험성이 높다.
### 5. 장기 성장 전략 재조정 필요 - 기존 성장 모델 재검토와 다변화 정책이 불가피하다. 중국 시장 포기 시 신흥 시장 개척과 내수 확대, 신산업 육성으로 경제체질 전환을 서둘러야 한다[10][11]. - 미중 경쟁 속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무역, 기술 협력 다양화, 동맹 강화와 경제 자주성 확보 간 균형점 모색이 필요하다.
***
### 종합 요약
| 피해 유형 | 구체 내용 | 파급 효과 | |--------------|------------------------------------------------------------|-----------------------------| | 중국 제재·보복 | 무역 제한, 투자 규제, 문화산업·기업 직접 타격 | 수출·투자 감소, 산업 경쟁력 저하 | | 수출 무역 환경 악화 | 미중 통상갈등 심화, 수출시장 불확실성 증가 | 매출 감소,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 | 산업 공동화 및 기술이전 | 첨단기술·산업 미국 내 이전, 산업 생태계 약화 | 일자리 감소, 기술력 저하 | | 금융·투자 불확실성 |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투자 심리 위축 | 투자 감소, 경제 성장 둔화 | | 성장 전략 재조정 | 내수·신흥시장 확대, 성장모델 전환 필요 | 정책 불확실성, 단기 경제 충격 가능성 |
한국이 안미경중을 포기하고 미국 중심 전략으로 전환하면 중국과의 경제 관계 악화에 따른 직접적 경제 피해가 크다. 이에 따라 수출 중심 산업과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산업 경쟁력 약화와 투자 감소로 이어져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러한 조치들은 미중 패권 경쟁과 글로벌 정세 변화 속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평가도 공존하며, 이에 대응한 다각적 산업·외교 전략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4][5][6][7].
인용: [1] 경제제재 https://namu.wiki/w/%EA%B2%BD%EC%A0%9C%EC%A0%9C%EC%9E%AC [2] 中매체 “韓, 안미경중 포기하면 美에 종속…사드 배치때 이익 ...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50827/132265338/1 [3]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대한국 경제제재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1343690 [4] “한국, 트럼프 편들었다가 대가 치르는 중”…美 언론, '안미경중 ... https://nownews.seoul.co.kr/news/newsView.php?id=20251028601029 [5]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1023515595 [6] NYT “미·중에 낀 한국, 무역전쟁 압박 실감…'안미경중 불가능'”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8392518 [7] 對美 수출 구조 변화와 시사점 https://test.hri.co.kr/upload/board/2887055976_VRlu0pUW_20250418125559.pdf [8] 중국 경기 및 미중 무역 분쟁 https://blog.naver.com/simula/223869358231?fromRss=true&trackingCode=rss [9] 중국경제 구조변화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di.re.kr/research/analysisView?art_no=2559 [10] 코로나19이후 미중 패권 경쟁 전망과 한국의 대응 https://www.kdi.re.kr/file/download?atch_no=dPfL2jbOr3hAQ1w8xOUYsg%3D%3D [11] 앞으로 5년, 미중전쟁 시나리오 (1) https://blog.naver.com/jungyoupkim/221356321730 [12] 한국의 대외전략에 대한 점검과 새로운 제안: - 미중정책연구소 https://ucpi.ajou.ac.kr/ucpi/activity/data.do?mode=download&articleNo=292578&attachNo=273919 [13] [연구총서 21-22]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대응 https://repo.kinu.or.kr/bitstream/2015.oak/12981/1/%5B%EC%97%B0%EA%B5%AC%EC%B4%9D%EC%84%9C%2021-22%5D%20%EB%AF%B8%EC%A4%91%20%EC%A0%84%EB%9E%B5%EA%B2%BD%EC%9F%81%EA%B3%BC%20%ED%95%9C%EA%B5%AD%EC%9D%98%20%EB%8C%80%EC%9D%91-%EC%97%AD%EC%82%AC%EC%A0%81%20%EC%82%AC%EB%A1%80%EC%99%80%20%EC%8B%9C%EC%82%AC%EC%A0%90_%EC%B5%9C%EC%A2%85.pdf [14] 대한상공회의소, “美 트럼프 대통령 당선이 한국경제에 ... http://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l/KcciReportDetail.asp?CHAM_CD=B001&SEQ_NO_C010=20120939734 [15] 바이든 정부 하 미중 전략 경쟁과 한국의 대응 http://pdi.or.kr/wp-content/uploads/2021/01/%EA%B8%B0%EC%88%A0-%EB%83%89%EC%A0%84-%EB%AF%B8%EC%A4%91-%EA%B8%B0%EC%88%A0-%EC%A0%84%EB%9E%B5-%EA%B2%BD%EC%9F%81%EC%9D%98-%EC%8B%9C%EB%82%98%EB%A6%AC%EC%98%A4-%EB%B0%8F-%ED%95%9C%EA%B5%AD%EC%9D%98-%EB%8C%80%EC%9D%91.pdf [16] 美 관세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 | 국내연구자료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97692 [17] 안미경중은 불가능한 전략…한국은 지금 어디에 서 있나? https://www.youtube.com/watch?v=bHn3O-P2Fcs [18]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경제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 방안 https://www.nrc.re.kr/board.es?mid=a31200000000&bid=0049&act=view&list_no=179568&tag=&nPage=1&issue_cd=45 [19] 트럼프 2기, 미국과 중국의 수출통제에 따른 우리 기업 ... https://kita.net/researchTrade/report/tradeFocus/tradeFocusDetail.do?no=2772 [20]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이 한국 경제 산업에 미치는 영향 https://www.jipyong.com/kr/board/news_view.php?seq=13535
주요 산업별 미국 편입에 따른 리스크와 기회 평가
한국 주요 산업이 미국 중심 공급망 및 산업 정책에 편입될 경우 각 산업별 리스크와 기회는 다음과 같다.
| 산업 | 주요 기회 | 주요 리스크 | |------------|--------------------------------------------------|----------------------------------------------------| | 반도체 | - 미국의 CHIPS Act를 통한 투자·R&D 지원 확대로 기술력 강화 및 시장 확대 기대[1][2]<br>- 미국 및 동맹국 공급망 내 핵심 파트너로서 역할 증대[3]| - 미국 생산·고용 요구로 국내 생산축소 및 산업 공동화 위험[4][2]<br>- 미국 FEOC 규제로 중국 의존 소재·부품 제한으로 원가 상승 가능성[2]| | 이차전지 | - IRA 법안에 따른 미국 내 청정에너지 및 전기차 산업 육성 혜택 기대[5][2]<br>- 미국 시장 진출 및 보조금 혜택 가능성 확대[5]| - 미국 내 생산 요건 강화로 글로벌 생산 최적화 곤란, 비용 증가 우려[5][2]<br>- 중국과의 경쟁 심화 및 수출장벽 위험[5]| | 자동차 | - 미국 관세 인하로 북미 시장 접근성 증가 기대[6][7]<br>- 현지 생산 및 부품사 미국 편입을 통한 고용 확대 효과 전망[6]| - 미국 내 환경규제 및 생산기준 대응 비용 증가 가능성[5]<br>- 국내 내연차 산업 위축 및 구조조정 압박[5]| | 조선 | - 미국과 조선산업 협력 강화(MASGA 프로젝트)로 북미 시장 진출 확대[7]<br>- 미국 정부 방산예산 증액에 따른 수주 증가 가능성[8]| - 미국 ‘Buy American’ 정책으로 현지화 요구 강해 초기 투자 부담 증가[8]<br>- 중국과의 경쟁 심화 및 수주 불확실성 내재[7]| | 바이오의약품 | - 미국 시장 개방도 확대와 장기적 투자 증가 전망[5]<br>- 첨단산업 지원 정책에 따른 성장 모멘텀 확보 가능성[1][5]| - 국내시장 의존도 감소로 해외 경쟁심화 우려<br>- 미국 정책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 존재[5]| | 철강·화학 | -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 기대[5]<br>- 친환경 정책으로 신제품·신소재 개발 기회 확대| - 관세 쿼터 강화 및 무역 불확실성 증가 가능성[5]<br>- 글로벌 시장 변동성에 따른 가격 압력 및 투자 리스크[5]|
### 종합 평가 미국 중심 산업 편입은 단기적으로 투자와 기술 협력 확대, 북미 시장 접근성 개선 등 기회를 제공하지만, 미국 내 생산·고용 요구와 규제 강화로 국내 산업 공동화, 비용 부담 증가, 해외 공급망 다변화의 어려움 등 리스크도 상존한다[1][8][3][5][2].
이에 따라 한국은 각 산업별 미국 정책 변화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국내 산업 경쟁력 강화 및 신산업 육성,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과의 균형 외교와 무역 협상 등 복합적 전략을 병행해야 한다[7][9][10].
이러한 리스크 관리와 기회 활용은 한국이 미국이 주도하는 첨단 제조업과 전략 산업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동시에 경제 주권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다[3][11].
인용: [1] ISSUE PAPER - 2024-09 https://www.kiet.re.kr/common/file/userDownload?atch_no=lMZZOmzb97A0QCIrW9lr4w%3D%3D&menu_cd=002003004&lang=KR&no=808 [2] [미래의 미국 시리즈] ④ 무역정책과 산업정책으로 본 2024 ... https://eai.or.kr/press/press_01_view.php?no=9792 [3] 한국 대미 수출의 구조적 분석 : 수지 불균형을 넘어선 산업 연계 ...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51971 [4]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 https://www.segye.com/newsView/20251023515595 [5] 6개월 앞으로 다가온 미(美) 대선, 위기인가 기회인가 https://kocham.org/wp-content/uploads/2024/06/6%EA%B0%9C%EC%9B%94_%EC%95%9E%EC%9C%BC%EB%A1%9C_%EB%8B%A4%EA%B0%80%EC%98%A8_%EB%AF%B8%E7%BE%8E_%EB%8C%80%EC%84%A0_%EC%9C%84%EA%B8%B0%EC%9D%B8%EA%B0%80_%EA%B8%B0%ED%9A%8C%EC%9D%B8%EA%B0%80.pdf [6] 한미 관세협상 극적 타결: 한국 산업의 새로운 활로 개척 기대 https://koreabizreview.com/detail.php?number=6435&thread=21r05 [7] 마스가의 전략적 의미... 한국, '미 공급망 재편' 중심국가 기회 ... https://www.themiilk.com/articles/ade766e4a [8] 미국 One Big Beautiful Bill Act 법안 통과 https://www.hwawoo.com/newsletter/2025_07_11/250711_kor_tf.pdf [9] 2024년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경제·통상정책 방향 전망과 ... https://dl.kotra.or.kr/pyxis-api/2/digital-files/1f48152d-63bb-4af7-80d3-12dc70a38e54 [10] 한국 기업의 대미투자 현황과 경제적 창출효과 | 국내연구자료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4596 [11] “다는 못 줘도 성의는 표시해야”…대미투자펀드, 현금비중 ... https://www.mk.co.kr/news/economy/11450898 [12] 美-EU 관세 합의 이후, 통상 재편 속 공급망 협력 전략의 기회 https://dream.kotra.or.kr/user/extra/kotranews/bbs/linkView/jsp/Page.do?dataIdx=232484 [13] 미국 차기 행정부의 통상정책 전망과 시사점 https://www.ifans.go.kr/knda/com/fileupload/FileDownloadView.do;jsessionid=ZS7nkibxTutKEQDaFHjS1087.public21?storgeId=c61b04e5-0182-4c75-ad21-828ecacfb855&uploadId=2668193004785523&fileSn=1 [14] 미중 무역전쟁 심화로 인한 금융제재 리스크 증가와 대응방안 https://www.kif.re.kr/kif4/publication/viewer?mid=20&vid=0&cno=348547&fcd=2025005166PQ&ft=0 [15] 글로벌 자국중심주의 산업정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https://www.kif.re.kr/kif4/publication/viewer?mid=20&vid=0&cno=337186&fcd=2024007564LR&ft=0 [16] 한국 기업의 대미투자 현황과 경제적 창출효과 https://kita.net/researchTrade/report/tradeBrief/downloadTradeBriefFile.do;JSESSIONID_KITA=2443369414778FF942CC3C2E85358C0B.Hyper?no=9FEB07134574667A306AFBF8680C51DA&fileSeq=B0721B9F23054DDC7FE56C2811A12715 [17] 트럼프 2.0 이후 미국의 정책 패러다임 변화 방향 및 시사점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89837 [18] 韓 기업, 美 투자<FDI> 제일 큰손…일자리·성장 효과 부각 https://tongsangnews.kr/webzine/202412/2024120680226.html [19] 트럼프 2.0 이후 미국의 정책 패러다임 변화 방향 및 시사점 https://www.kcif.or.kr/economy/economyView?rpt_no=35103&mn=003002 [20] 연간 국내 설비투자 2배 넘는 대미투자 요구에 https://www.khan.co.kr/article/202509220600141 [21] 미국 경제정책의 흐름과 전망 https://rd.kdb.co.kr/fileView?groupId=539C72D6-C169-06CA-41E2-0E55722123F3&fileId=B121296E-29F3-8BBC-F2B2-B5E23A3AA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