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킨토시 설치하기 - Mac OS X Vmware Workstation 8 Other OS/Windows2012. 1. 27. 14:28
VMware Workstation 8 이 설치된 윈도우즈에서 Mac OS X Lion을 돌리기 위해서는 패치파일이 필요하다. 그림이 충분히 크게 보이지 않는다면 클릭하여 자세하게 보아가며 다음 단계를 주의깊게 실행한다.
설치한 후 Native로 하드디스크에 직접 설치하는 사전작업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다운로드 : Utorrent 설치후 아래 링크 클릭,
- Lion(10.7.2) VMware 이미지 ,
- http://www.mediafire.com/?36ctb6sac34nbbe
토런트 사용법 : http://osx86.tistory.com/820
- 참고로 Apple사에서 EULA 계약문건을 수정하여 가상머신에도 Mac OS X 설치를 허가하였다고 하는 뉴스도 있다.
CPU가 가상화 지원이 되는 지 여부는 우선 cpu-z를 이용하여 vt-x 사항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vmware](http://farm6.staticflickr.com/5297/5396742929_f47e3ca467.jpg)
* 아래 AMD CPU에 대해서 그림으로 설명을 하였지만 AMD CPU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안된다는 의견들이 많으니 가급적 AMD 시스템은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적절하다.
![amd](http://farm8.staticflickr.com/7056/6783866424_640a6a2589.jpg)
그리고 bios setup에 들어가서 Virtualization 항목을 "Enabled"로 세팅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대부분의 pc는 "Enabled"로 세팅되어 있지만 일부 pc는 종종 이 세팅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물론, 대기업 노트북과 데스크탑은 VT Enabled 설정 자체가 없어 가상머신 실행자체가 안되는 경우가 있으니 가능한 조립PC를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 |
1. 먼저 VMware Workstation 8을 설치한다. 그리고 재부팅한다.
- 다운로드 받은 화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압축을 푼다.
- 이때, 아래 그림과 같이 사용자/계정아이디/내문서/Virtual Machines에 Mac OS X Lion을 압축을 풀어준다.
- Vmware Workstation v8.0.0 폴더를 이용하여 Vmware를 설치한다.
![]() |
2. 작업관리자를 열어서 모든 사용자의 프로세스 보기를 클릭해준다.
3. vmware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보통 5-6개의 프로세서)를 죽인다.
4. VMware workstion 8 patch를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압축화일을 열어보면 bsdiff 폴더에 bspatch.exe, Darwin.iso, Darwin.sig.iso, install.cmd, uninstall.cmd 파일들이 있는데 전부 c:\ 에 복사하여 준다. 이때 반드시 7zip등의 압축 실행프로그램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 시작에서 cmd를 실행하는 데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한다. (<< 아주 중요하다.)
이제 command 환경에서 install.cmd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5. 재부팅한다.
6. Vmware를 실행하고 Mac OS X Lion폴더를 열어서 mac os x lion.vmx를 선택하여 열어준다.
7. edit 세팅을 필요한 만큼 자원을 배당한다. 이를테면 쿼드코어 cpu인 경우 cpu를 2개 정도 배당하여 주거나 램을 가능한 2G이상 할당하여 준다.
8. 파워온을 클릭하여 Mac OS X Lion가상머신을 실행한다.
9. Lion의 로그인 화면이 만약 보인다면 패스워드 항목에 마우스를 클릭하여 주고 그냥 엔터만 친다.
- 아래 그림과 같이 시스템 환경 설정을 실행하여 암호를 변경한다. 최초 암호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관리자 암호를 설정하여 주는 것이 좋다.
10. 추가
- 재설치하지 않고 Mac OS X 초기화하기 : http://osx86.tistory.com/389
11. USB메모리 스틱 혹은 외장형 하드디스크 연결 및 Xcode 설치하기
12. 이제 가상머신에 Mac OS X 를 사용하게 되었다.
- 만약 Native 설치방식으로 전환할려면 : http://osx86.tistory.com/613 혹은 http://osx86.tistory.com/1334
- 물론 하드디스크를 추가장착하거나 파티션을 나누어 Mac OS X 를 설치하게 되면 Mac OS X 의 전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 당연한 애기지만 하드웨어의 호환성이 적합해야 전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Apple ID 계정 만들기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추천 꾸욱 눌러 주세요.
'Other OS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Root 패스워드 재설정 - 윈도우즈 (0) | 2012.04.14 |
---|---|
윈도우즈7 버전 비교 (0) | 2012.02.22 |
Windows 7 다이어트 하기 - winsxs 최적화 (0) | 2012.01.21 |
Exchange Server 2003의 로그 파일이나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이동하는 방법 (0) | 2011.11.21 |
다수의 윈도우즈7을 하나의 하드디스크에서 사용해보자. (0) | 2011.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