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8.10 will be run natively from the portable device utilizing a persistent casper-rw loop file for saving and restoring changes.Ubuntu is a product of Canonical Ltd.

Ubuntu 8.10 Intrepid Ibex Screenshot

Ubuntu 8.10 USB Flash Drive 설치하기 위한 준비사항

  • Windows PC to perform conversion
  • Ubuntu 8.10 ISO
  • 2GB or larger USB flash drive (fat32 formatted)
  • U810p.exe (contains the files to do the conversion)

Ubuntu 8.10 USB Flash Drive 설치과정

  1. Download 한 후 U810p.exe를 실행시키면, PC에 자동으로 풀린다. AU810p 폴더가 자동생성된다.
  2. Download Ubuntu 8.10 ISO 를 다운로드 하고 U810p 폴더에 복사하여 준다.
  3. U810p 폴더에서 U810.bat 화일을 클릭하여 설치과정에 따라 설치하여 준다.
  4. 스크립터 실행이 끝나면 PC를 재시작하고 BIOS 나 혹은 Boot Menu 에서 USB device로 세팅하여 저장하고 재부팅한다.

진행과정에 따라 제대로 설치되었다면 Live Ubuntu 8.10 USB 로 부팅될 것이다.

Persistence size: 기본적인 casper-rw loop file 크기는 변경된 것이 1GB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 좀더 많은 공간을 원한다면 자기 usb크기에 맞는 다음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기존 파일을 변경하여 준다.

:
Posted by Ritz®™

8.10 will be run natively from the portable device utilizing a persistent casper-rw loop file for saving and restoring changes.Ubuntu is a product of Canonical Ltd.

Ubuntu 8.10 Intrepid Ibex Screenshot

Ubuntu 8.10 USB Flash Drive 설치하기 위한 준비사항

  • Windows PC to perform conversion
  • Ubuntu 8.10 ISO
  • 2GB or larger USB flash drive (fat32 formatted)
  • U810p.exe (contains the files to do the conversion)

Ubuntu 8.10 USB Flash Drive 설치과정

  1. Download 한 후 U810p.exe를 실행시키면, PC에 자동으로 풀린다. AU810p 폴더가 자동생성된다.
  2. Download Ubuntu 8.10 ISO 를 다운로드 하고 U810p 폴더에 복사하여 준다.
  3. U810p 폴더에서 U810.bat 화일을 클릭하여 설치과정에 따라 설치하여 준다.
  4. 스크립터 실행이 끝나면 PC를 재시작하고 BIOS 나 혹은 Boot Menu 에서 USB device로 세팅하여 저장하고 재부팅한다.

진행과정에 따라 제대로 설치되었다면 Live Ubuntu 8.10 USB 로 부팅될 것이다.

Persistence size: 기본적인 casper-rw loop file 크기는 변경된 것이 1GB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 좀더 많은 공간을 원한다면 자기 usb크기에 맞는 다음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기존 파일을 변경하여 준다.


DSDT 덤프 받는 커맨드

#sudo cat /proc/acpi/dsdt > dsdt.aml

:
Posted by Ritz®™
Boot-132이용하여 
Leopard설치하실려는 분이 많습니다.  

i945칩셋 이상 권장, i975, p35, p45 칩셋 권장, Leopard 10.5.4 이상의 Retail DVD / 10.4.5 고스트 이미지

방법이 오히려 처음 해킨토시를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쉽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또한 USB메모리 스틱(주의 : 외장형 하드디스크가 아닙니다.  외장형 하드디스크와 USB 메모리 스틱은 다릅니다.  제품 구매시 재확인 부탁드립니다.)이용하면 작게는 30MB조금 여유있게는 60MB정도의 공간을 이용할 있으며CD이용한 BOOT-132 방법보다 첨가 수정이 훨신 간단한 방법입니다
더구나 CD이용하다 INITRD.IMG 화일 안에 엉뚱한 드라이버를 집어 넣어 수정해야 경우나 추가해야될 드라이버가 있으면 새로운 CD이용해야 합니다
USB이용하면 INITRD.IMG 파일을 윈오우즈에서 TRANSMAC등으로 간단하게 수정할 있으니 CD 낭비도 적고효율적이라 있습니다

준비물 

USB 메모리 스틱
* 주의  USB 메모리 스틱은 다음과 같이 생겼습니다.



* Axxen, HP I-Clip, Sky 등등 좋은 제품이 많이 나오더군요.
외장형 하드디스크와는 다른 제품입니다.

- Original ISO with project kexts: http://www.mediafire.com/?uwd9dtttjfk 


위의 ISO이용하여 CD굽는 것이 아니라 CD이미지 안에 있는 INITRD.IMG 화일만 DAEMON TOOLS드의 가상시디 소프트웨어를 이용 추출하여 사용합니다

1. USB 메모리 스틱에 BOOT-132 부트로더 설치하기        
- Syslinux 패키지를 c:\syslinux 폴더에 압축화일을 풀면 win32폴더에 syslinux.exe 실행명령어가 보일 것입니다.        
- 윈도우즈에서 시작>실행>“CMD”입력하고 엔터를 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cd    c:\syslinux\win32
- syslinux.exe -ma E:        
- USB STICK 메모리가 E: 드라이버라고 가정한 명령어입니다. 이제 USB부팅이 가능합니다

 
-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받은 USB화일을 USB 최상위 폴더에 압축을 풀어 줍니다. 

 


2. USB 메모리 스틱에 INITRD.IMG 화일 심어주기 

- 다운로드 받은 Original ISO 시디 이미지를 데몬툴 등으로 만운트합니다
- 마운트 된 Original ISO CD 이미지안에 INITRD.IMG 화일을 USB 최상위 폴더에 복사하여 줍니다. 

 

3. USB 메모리 스틱을 이용한 BOOT-132 부트로더 설치는 끝났습니다. 

- 복사한 initrd.img 화일은 TransMAC 등의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안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제 Leopard Retail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습니다.


'Hackintosh > Inst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5.X Combo Update  (0) 2009.04.10
10.5.X Combo Update  (1) 2009.04.10
신혜파파님의 환상적인 설치후기  (5) 2009.03.30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0) 2009.03.21
멀티부팅 XP/Vista 와 MAC OSX  (0) 2009.03.10
:
Posted by Ritz®™
Boot-132를 이용하여
Leopard를 설치하실려는 분이 많습니다. 

- Snow Leopard용은 여기로 : Snow Leopard용 Boot -132 

i945칩셋 이상 권장, i975, p35, p45 칩셋 권장, Leopard 10.5.4 이상의 Retail DVD / 10.4.5 고스트 이미지

이 방법이 오히려 처음 해킨토시를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더 쉽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또한 USB메모리 스틱(주의 : 외장형 하드디스크가 아닙니다.  외장형 하드디스크와 USB 메모리 스틱은 다릅니다.  제품 구매시 재확인 부탁드립니다.) 을 이용하면 작게는 30MB나 조금 여유있게는 60MB정도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으며CD를 이용한 BOOT-132 방법보다 첨가 수정이 훨신 간단한 방법입니다.
더구나 CD를 이용하다 INITRD.IMG 화일 안에 엉뚱한 드라이버를 집어 넣어 수정해야 할 경우나 추가해야될 드라이버가 있으면 새로운 CD를 이용해야 합니다.
USB를 이용하면 INITRD.IMG 파일을 윈오우즈에서 TRANSMAC등으로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으니 CD 낭비도 적고효율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 

-USB 메모리



















































* USB 메모리 스틱은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즉,  USB외장형 하드디스크와는 다른 제품입니다.


- Original ISO with project kexts: http://www.mediafire.com/?uwd9dtttjfk 

주위) 등록하여야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위의 ISO를 이용하여 CD를 굽는 것이 아니라 CD이미지 안에 있는 INITRD.IMG 화일만 DAEMON TOOLS드의 가상시디 소프트웨어를 이용 추출하여 사용합니다

1. USB 메모리 스틱에 BOOT-132 부트로더 설치하기        
- Syslinux 패키지를 c:\syslinux 폴더에 압축화일을 풀면 win32폴더에 syslinux.exe 실행명령어가 보일 것입니다.        
- 윈도우즈에서 시작>실행>“CMD”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cd    c:\syslinux\win32
- syslinux.exe -ma E:       
- USB STICK 메모리가 E: 드라이버라고 가정한 명령어입니다. 이제 USB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받은 USB화일을 USB 최상위 폴더에 압축을 풀어 줍니다.

 


2. USB 메모리 스틱에 INITRD.IMG 화일 심어주기

- 다운로드 받은 Original ISO 시디 이미지를 데몬툴 등으로 만운트합니다.
- 마운트 된 Original ISO CD 이미지안에 INITRD.IMG 화일을 USB 최상위 폴더에 복사하여 줍니다.

 

3. USB 메모리 스틱을 이용한 BOOT-132 부트로더 설치는 끝났습니다.

- 복사한 initrd.img 화일은 TransMAC 등의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안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제 Leopard Retail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습니다.

만약, boot-132 usb를 이용하여 부팅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에러메시지를 보았다면 다시 처음부터 작업을 하여 주어야 합니다.  부트로더가 제대로 설치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
EBIOS read error : Error 0xbb
   Block 0 Sectors 64
#########################

'Hackintosh > BOOT-132' 카테고리의 다른 글

Snow Leopard용 Boot -132  (0) 2009.10.29
Ubuntu 9.04를 이용한 Chameleon usb stick 만들기  (0) 2009.05.28
Boot-132, Adobe After Effects  (0) 2009.03.28
:
Posted by Ritz®™
2009. 3. 10. 16:06

MAC용 외장형 하드디스크 Hackintosh/etc2009. 3. 10. 16:06

USB용 하드디스크는 기본적으로 지원이 잘 됩니다.
대용량의 파일을 복사할때는 속도 문제가 좀 있지요.
하지만 USB용 하드디스크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을정도로 가능합니다.
조금더 욕심을 내자면 IEE1349, E-STAT까지 접속방식이 지원되고 컴퓨터 보드에서 지원만 된다면 E-SATA로 부팅이 가능하구요.
IEE1349로 부팅을 지원하는 메인보드가 거의 없으므로 1EEE1349로 부팅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단지 복사나 데이타 저장용으로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겠군요.

1. USB접속방식의 하드디스크
  - 이건 요즈음 디자인도 깔끔하고 사이즈가 작은 제품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2. USB, E-SATA 접속방식의 하드디스크
  - 이것두 디자인과 사이즈를 고민하시면 될 것 같구요.
3. USB, IEE1349, E-SATA 접속방식의 하드디스크
  - 보통 이 세가지 접속방식을 제공하는 제품들은 사이즈가 위 두제품군들보다 조금 큽니다.

* 반드시 매장에서 직접확인하시고 특히 사이즈나 접속방식, 물론 내부 하드디스크 접속방식은 SATA 방식이 좋음.
IDE방식은 구형 IDE방식의 하드디스크가 많을 경우 케이스만 구입하면 좋음.

참고 상품
디자인만 고려한 제품
http://jimo.co.kr/front/php/product.php?product_no=85&main_cate_no=25&display_group=1


새로텍 FHD-354, USB, IEE1349, E-SATA 지원되지만 사이즈가 큰것이 흠이고 다른 사용자들 말로는 문제점이 많이 발견되고 있지만 본인은 아주 잘 이용하고 있음.



'Hackintosh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 조립  (0) 2012.08.31
8G 이상 USB 메모리 스틱  (0) 2011.12.20
외장하드  (0) 2011.10.13
D-link DBT-120 동글  (0) 2009.10.17
컴퓨터 시스템 견적  (13) 2009.02.16
:
Posted by Ritz®™
2009. 3. 10. 16:06

MAC용 외장형 하드디스크 etc2009. 3. 10. 16:06

USB용 하드디스크는 기본적으로 지원이 잘 됩니다. 
대용량의 파일을 복사할때는 속도 문제가 좀 있지요. 
하지만 USB용 하드디스크로 부팅하여 사용할 수 있을정도로 가능합니다. 
조금더 욕심을 내자면 IEE1349, E-STAT까지 접속방식이 지원되고 컴퓨터 보드에서 지원만 된다면 E-SATA로 부팅이 가능하구요. 
IEE1349로 부팅을 지원하는 메인보드가 거의 없으므로 1EEE1349로 부팅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단지 복사나 데이타 저장용으로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겠군요.

1. USB접속방식의 하드디스크
   - 이건 요즈음 디자인도 깔끔하고 사이즈가 작은 제품들이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2. USB, E-SATA 접속방식의 하드디스크
   - 이것두 디자인과 사이즈를 고민하시면 될 것 같구요.
3. USB, IEE1349, E-SATA 접속방식의 하드디스크
   - 보통 이 세가지 접속방식을 제공하는 제품들은 사이즈가 위 두제품군들보다 조금 큽니다.

* 반드시 매장에서 직접확인하시고 특히 사이즈나 접속방식, 물론 내부 하드디스크 접속방식은 SATA 방식이 좋음.
IDE방식은 구형 IDE방식의 하드디스크가 많을 경우 케이스만 구입하면 좋음.

참고 상품



새로텍 FHD-354, USB, IEE1349, E-SATA 지원되지만 사이즈가 큰것이 흠이고 다른 사용자들 말로는 문제점이 많이 발견되고 있지만 본인은 아주 잘 이용하고 있음.

:
Posted by Ritz®™
2009. 3. 5. 09:40

USB Memory Stick 만들기 Hackintosh/Install2009. 3. 5. 09:40


Update : Apr-14, 2013.
요즈음은 Clover를 많이 사용한다.

                Boot-132를 이용한 Leopard부팅용 USB Memory Stick만들기입니다.
  • 하드디스크는 이미 준비되었습니다.
  • 이제 USB를 이용한 부팅로더를 설치하여 부팅하여 주면 됩니다.
.                 p45 칩셋 용입니다.
  • USB메모리 스틱은 30MB 이상이면 되니까 요즘 나오는 1G나 2G를 이용하시면 충분합니다.
  • CD를 이용한 BOOT-132 부팅방법보다 수정이 훨신 간단한 방법입니다.
                준비물
  1. - Syslinux 패키지 : http://www.kernel.org/pub/linux/utils/boot/syslinux/syslinux-3.63.zip
  2. - USB File: http://www.mediafire.com/file/xuiduwxnzyj/USB.zip
  3. - Initrd.img 화일 다운로드 받기: http://www.mediafire.com/file/gnmdqq3dnhy/initrd_ep45.img
                가. USB 메모리 스틱에 BOOT-132 부트로더 설치하기
  • - 윈도우즈에서 c:\Syslinux 패키지 압축을 풀면 win32폴더에 syslinux.exe 실행명령어가 보일 것입니다.
  • - 윈도우즈에서 시작>실행>“CMD”를 입력하고 엔터를 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 syslinux.exe -ma E:
  • - USB STICK 메모리가 E: 드라이버라고 가정한 명령어입니다. 이제 USB로 부팅이 가능합니다.
  • -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받은 USB화일을 USB 최상위 폴더에 압축을 풀어 줍니다.
  • -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받은 USB화일을 USB 최상위 폴더에 압축을 풀어 줍니다.
  • - 안의 파일내용을 보시면 다음과 같습니다.
  • - bisodev=81의 뜻은 첫번째 하드디스크 일련번호입니다. 두번째 하드디스크는 “82”번이 되겠습니다.
                나. USB 메모리 스틱에 다운로드받은 INITRD.IMG 화일 심어주기
  • - 다운로드 받은 initrd_ep45.img화일명을 Initrd.im화일로 바꾸어 USB 최상위 폴더에 복사하여 줍니다.
                다. USB 메모리 스틱을 이용한 BOOT-132 부트로더 설치는 끝났습니다.                 이제 부팅하시면 됩니다.


:
Posted by Ritz®™


here's how to install osx 10.5 leopard 9a581 in your intel/amd sse3 machine without the use of a single DVD! 
you need at least 20 GB free space on a ntfs partition and an entire disk to spare. it's all patched with the BrazilMAC patch. 
printer drivers/languages/xcode has been removed from this edition.
####################################################################################################### 
DVD가 없고 USB로 부팅 지원이 불가능한 경우 Leopard 10.5(9A581)을 하드디스크에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이미지는 NTFS 파티션에 20GB정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물리적인 다른 하드디스크(MAC OSX설치용)가 필요합니다.  이 이미지에는 BrazilMAC 패치가 포함되어 있어서 P4급 이상 ich4이상의 메인보드(945칩이상이 좋지만 82845 칩계열도 도전해 볼 만함)를 보유한 사용자에게 권고할만한 설치 방법입니다. 

- 고스트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과 유사합니다.
- 처음부터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칩셋패치와 efi 롬 칩 관련 패치를 적용하여 설치한 이미지를 이용한 것이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는 어려운 최초 사용자화를 Skip하고 이미 설치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환영 동영상과 계정설정만 진행해주는 설치 마무리 단계로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보자에게 쉽게 환경 설정만 완료하게끔 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여 줍니다.  윈도우즈설치시에도 여러가지 드라이버들을 설치하고 재부팅하여 사용자이름과 회사명등만 설정해주는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 
1. grab the torrent. 
2. extract leopard-x86.rar to the folder 
3. open compmgmt.msc and select Disk Management 
4. remember what disk (Disk 0, Disk 1 etc) you want to install to 
5. remove any existing partitions on that disk by right clicking and selecting 'Delete Volume' and 'Delete Partition' 
6. copy the .bat file for the selected disk to the folder 

WARNING!! selecting the wrong file may result in a wiped disk!! 
####################################################################################################### 
1. 토런트를 다운로드 받는다.
2. leopard-x86.rar 화일을 적당한 폴더에 풀어준다.
3. 시작>실행>에서 "compmgmt.msc"를 실행하고 디스크 관리자를 선택한다.
4. 레오파드를 설치할 디스크 위치를 확인한다. (권고안:disk0:XP, disk1:MAC OSX, disk3:DATA(FAT32)
5. 레오파드를 설치할 디스크의 파티션이나 볼륨을 모두 제거한다.
6. .bat화일을 적절한 위치에 복사한다.

경고 : 잘못된 파일을 선택할 경우에는 기존의 XP파티션이나 데이타를 지울수가 있으니 유의한다.  그리고 반드시 OSX용 하드디스크가 따로이 있어야 한다는 걸 유의하자.
####################################################################################################### 
7. execute the .bat file and wait.. 
8. reboot into the created disk [by pressing Esc, F12 or whatever your mainbord wants] and boot into a fresh osX 10.5 install, you can now 
select your login info, location and so on. 
9. if you wanna dualboot from vista, download EasyBCD... 
10. if you're having trouble to boot into os x ,press F8 when booting and type -v at the boot screen to see whats wrong and then consult some osx86 forum.

####################################################################################################### 
7.  .bat 화일을 실행하고 기다린다.
8. 재부팅하여 CMOS를 로딩한 후 바로 F12(기가바이트 보드인 경우, ASUS보드는 F8)키보드를 눌러서 부팅할 10.5가 설치된 OSX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여 부팅시도한다.
9. 만약 VISTA를 사용하고 있었다면 멀티부팅방법이 이 사이트에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10. 만약 부팅실패하면 (엑스가 표시된 검은 화면이나 기타 부팅 실패할 경우, 부팅실패는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보자.) reset키등을 이용하여 재부팅하여 부팅 옵션에 "-f -v -s"등을 주어서 부팅 에러메시지를 확인하고 이 에러 메시지를 가지고 OSX86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도록 하자.
부팅 실패시 해결방안은 여기에도 있긴 하지만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