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기존 Leopard, Snow Leopard 를 간단하게 설치 또는 부팅할 수 있다. 아래 FTP세팅 자료는 P5W DH DELUXE 메인보드 기준으로 만들어졌지만 해당보드 화일만 자신의 메인보드에 맞게 바꾸어주면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제약 사항
- XPC는 하드디스크에 설치할 경우 반드시 MBR 포맷으로 해야하고 첫번째 파티션에 설치해야 한다.
- Lion은 전통적으로 OS X 가 그러하듯이 GUID+GPT 파티션에 설치해야 한다.
- 반드시 USB 마우스/키보드를 준비한다.
- 익히 아시겠지만 CPU, ATOM, AMD 는 반드시 Legacy Kernel을 이용해야 합니다. 수반되는 여러가지 이슈들은 너무나 버라이어티 퐌타스틱하기 때문에 스스로 극복해 나가실 수 밖에 없습니다.
1. 준비물 및 설치과정 Summary:
① CMOS에서 AHCI설정을 한다.
② "당그니"님의 엡TV 사이트에서 위 그림의 1번 경로로 가서 USB용 부트로더를 설치하기 위한 2번 Tool을 다운로드 받아 USB에 부트로더를 설치한다.
③ USB에 3번 그림 XPC_Lion 폴더내의 EFI폴더와 Efildr20을 USB에 복사하여 준다. FTP 사이트에 있는 setting.plist, dsdt.aml 화일은 P5W DH DELUXE 메인보드 기준이므로 자신의 메인보드에 맞게 이 파일들을 수정, 교체하여 준다.
④ 4번 그림의 DP2를 다운로드 받아 USB나 혹은 하드디스크에 복원한다.
⑤ 이제 재부팅하여③XPC_Lion 부트로드가 설치된 USB로 부팅하여④번의 복원된 Lion 설치 이미지를 선택하여 설치과정에 들어간다.
현재로서는 다른 부트로더들이 업데이트를 하기전까지는XPC-EFI 를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하다.
물론, 기존 Leopard, Snow Leopard 를 간단하게 설치 또는 부팅할 수 있다.
제약 사항
- 아직까지는 Extra_kext를 로딩하지 못한다. 즉, 모든 드라이버는 반드시 /System/Library/Extensions/ 에 설치해야 한다.
- XPC는 하드디스크에 설치할 경우 반드시 MBR 포맷으로 해야하고 첫번째 파티션에 설치해야 한다.
- Lion은 전통적으로 OS X 가 그러하듯이 GUID+GPT 파티션에 설치해야 한다.
- 반드시 USB 마우스/키보드를 준비한다.
- 익히 아시겠지만 CPU, ATOM, i3, AMD 는 반드시 Legacy Kernel을 이용해야 합니다. 수반되는 여러가지 이슈들은 너무나 버라이어티 퐌타스틱하기 때문에 스스로 극복해 나가실 수 밖에 없습니다.
1. 설치하기 위한 Skill
설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UEFIShell 커맨드에 능숙해야 한다.
UEFI Shell 실전 사용예
Shell>> map -b <<<EFIShell 에서 파티션 맵을 확인하기 위한 커맨드, 뒤의 -b 는 ls -b 등 한페이지씩 보기 위해 유용하게 다른 커맨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닉스의 “| more” 혹은 도스커맨드의 /p 와 유사하다. 만약, 하드디스크가 하나이고 파티션이 윈도우즈이던 맥이든 둘이라면 fs0: 는 Apple사의 efi 파티션으로 잡히고 fs1: 이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fs2: 가 두번째 파티션이 될 것이다.
Shell>> fs0: <<< 도스 커맨드의 c: 드라이버로 가기위한 커맨드와 유사.
Shell>> ls fs:0\ <<< fs0: 드라이버의 화일목록을 보기 위한 커맨드
Shell>> ls fs3:\efi\drivers\VBoxAppleSim.efi <<< VBoxAppleSim.efi 가 위치한 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커맨드
Shell>> load fs3:\efi\drivers\VBoxAppleSim.efi <<< VBoxAppleSim.efi 를 로드해야만 사자를 춤추게 할 수 있다.
Shell>> fs3:\efi\xpc\xpc.efi 부팅하기 위해 파티션을 선택할 수 있다.
- startup.nsh << 도스커맨드의 autoexec.bat 나 유닉스의 쉘스크립터와 유사하다.
- XPC EFI - CLICK . 다운로드 받아서 XPC 부트로더를 설치하여 주고 메인보드에 맞는 dsdt.aml 화일을 윈도우즈, 맥 또는 리눅스에서 /efi/xpc/ 폴더에 복사하여 준다.
- 104(?)로 끝나는 "당그니"님의 엡TV 사이트의 Lion폴더에서 수정된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구글신을 영접하면 된다.
- 64MB 이상의 FAT32로 포맷된 USB 메모리 스틱. XPC EFI를 설치할 것이다.
- 10.7 DMG 화일를 복원한 4GB 이상의 USB 메모리 스틱 혹은 내/외장형 하드디스크. 물론, 복원시에 몇가지 수정및 추가가 필요하다.
3. 설치과정1 .
1. 우선 dmg 화일을 마운트한다. 윈도우즈에서는TransMac을 이용하여 설치하여 주면 된다.
물론, 당그니님 앱tv 사이트에서 Lion 폴더에서 "Mac OS X Base System By Uno-ani.amg"화일을 이용하여 윈도우즈에서 7z로 Extract 하여 0.hfs 화일을 복원하여 주거나 해킨이나 맥을 사용할 수 있다면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복원하여 주면 된다.
2. 마운트한 이미지안의 / 폴더에서BaseSystem.dmg 를 다시 마운트하고 이 이미지를usb 메모리 스틱이나 외장형 하드디스크에 복원해 줄때 10.6.2 이상에서 사용하던 fakesmc.kext를 /System/Library/Extensions/ 폴더에 복사하여 준다. 당근104 엡피사이트에서받았다면 바로 복원해주면 된다.
XPC EFI로 부팅하여 이 DMG 가 복원된 USB 메모리 스틱을 로딩할 것이다. 이 부분을 유의하기 바란다.
물론, 윈도우즈에서는 TransMac을 이용하여 Expand로 풀어서 이미지를 usb메모리스틱이나 내/외장형 하드디스크에 복원하여 준다.
3.부팅하여 XPC를 시작하고 "Bstart!! rt!!" 라는 메시지가 보일 것이고 조금 더 기다리면 "PressESC in 5 second to skipstartup.nsh, any other key to continue." 라는 메시지가 보일 것이다. ESC 키를 눌러준다. 다음 4번 과정으로 넘어간다.
4. Shell 프람프트에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이 과정이 중요한데 위UEFI Shell 실전 사용예를 잘 활용하여 시스템 경로를 정확하게 확인하여야 한다.
Shell>>load fs3:\efi\drivers\VBoxAppleSim.efi <<< fs3: 는 개개인의 시스템 상황에 따라 다르니 map -b 커맨드를 이용하여 파일시스템 위치를 확인한다.
Shell>>fs3:\efi\xpc\xpc.efi<<<
참고.
부팅할 파티션이 보이면 "M"키를 눌러 Machine 세팅에서 다음의 데이타를 입력한다.: 이 부분은 당그니 앱TV에서 받은 이미지를 이용한다면 불필요한 과정이다.
Board Serial: Mac-F4208DA9 Kernel Arguments: -v -s 물론, 기존의 부트플래그 "arch=i386" 를 첨가하여 줄 수 도 있다.
기본적으로 잘 아시겠지만, Jmicron 칩등 기타 비인텔 콘트롤러는 아직 지원이 안됩니다. ASUS 보드중 "Still waiting root device" 메시지를 보게 되면 다음과 같은 부팅 옵션을 추가하여 줍니다.
PCIRootUID=1 -v -f -x
5. 이제 화면에 부팅할 파티션을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이 보일 것이다. Base System을 선택하여 설치과정에 진입한다.
#kextload /Extra/Extensions/Fakesmc.kext<<< 가능한 Fakesmc.kext 드라이버는 역시나 윈도우즈에서는 위에서 링크를 건 TransMac을 이용하여 /System/Library/Extensions/ 폴더에 복사하여 주는 것이 적절하다.
#kextstat -l<<< 굳이 필요하지 않지만, 로딩된 kext를 확인할 때 사용한다.
#exit
8. 부팅이 성공하면 이제 OS X Life를 즐기면 된다. 행운이 함께 하시길....
9. 그래픽 카드 설정은 다음 세가지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1. efi-string 방식 /efi/xpc/dev-prop.dat 화일을 만들어 gfx-string을 넣어주면 된다.
2. dsdt.aml에 적용하는 방법
3. Netkas.org에서 aty_Init.kext를 설치하는 방법 혹은 NVEnabler 64.kext를 /S/L/E/ 에 설치하여 로딩하여 주는 방법
10. 많은 유저들이 메모리 관련 잘못된 사이즈를 인식한다는 Report가 있습니다. 이를테면, 6G를 5G로 인식한다던가하는,, mach_kernel 버그같은데 Apple사에 리포트를 해야 하는지... 댓글로 자신의 시스템 스펙을 올려주시고 잘 못된 사항을 올려주시면 개발시 참고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 물론, Snow Leopard도 설치이미지나 설치된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여 주면 별다른 작업없이 바로 부팅이 가능하다.
SAN DISK Cruser 8G USB 메모리 스틱은 EBIOS READ ERROR 라는 메시지를 뿌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