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0

« 2011/10 »

  • 2
  • 3
  • 4
  • 5
  • 6
  • 7
  • 8

Update :  Win32DiskImager 



Windows에서는 Apple +HFS 파티션을 읽고 쓸 수 없다. 

이러한 경우 TransMac이 좋은 Tool이 될 수 있다. 

또한 DMG 이미지를 윈도우즈 운영체제에서 USB에 넣어주는 목적이라면 Win32DiskImager도 좋다.

기존 Mac Drive등의 어플리케이션과 비교하여 시스템과 관련된 부작용도 거의 없는 아주 뛰어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아래 글은 포맷을 통한 USB 에 Mac OS X 이미지를 복사해 주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지만, 포맷을 하지 않는다면 간단하게 Windows에서 맥 파티션에 읽고 쓰기가 가능한 강력한 툴이다. 


I. TransMac을 이용하여 Retail OS X DVD 이미지(보통 dmg로 끝나는 이미지)를 8G USB에 이미지 복사하기
Usbit을 사용하는 방법은 여기로 : 
http://osx86.tistory.com/861

Retail OS X 용 DMG 화일을 TransMac의 Format with Disk Image기능을 이용하여 USB에 복사한다.


TransMac 사용법


참고 : http://osx86.tistory.com/828

또한 추가로 설치 이미지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쓰기 가능
(read/write)하게 만들어 수정한다.



TransMac 사용법

- 이렇게 설정하여 주고나면 맥 파티션에 읽고 쓰기가 가능하다.  Copy here 와 copy to 기능을 활용하면 된다

가. Copy here : 맥파티션에 파일을 복사해야하는 경우, 
- 해킨토시 설치와 유지보수를 위한 목적과 혹은 매킨토시 HDD가 가득찼을 경우 이 방법을 이용하면 좋다.
 
나. Copy to : 맥파티션으로 부터 윈도우즈로 파일을 복사해오는 경우

-재부팅하여 usb로 부팅할려면 ALT(옵션)키를 눌러서 USB를 선택해서 부팅하여야 한다.
- 물론 맥과는 달리 일반 PC에서는 부트로더가 포함된 부팅 CD나 부팅 USB가 추가로 필요하다.

II. Lion 설치방법

Mountain Lion

- Lion(10.7) 설치방법은 Mountain Lion(10.8)과 유사하므로 참고하면 된다.

III. Snow Leopard 설치방법

 OS X Installation Guide -2

물론, 아래 글은 이미 읽었으리라 가정한다.

http://osx86.tistory.com/1309

:
Posted by Ritz®™

다음과 같은 상황에 이런 방법을 적용하면 유용하다.


- 기존 시스템을 잘 사용하다가 생각치 못한 문제로 다시 설치해야 할 경우
- 처음 설치되었던 부분을 백업 받아 두고 싶은 경우
- 그래픽 카드등의 설정진행시에
- 파티션을 다시 잡아 주어야 할 경우

물론 이러한 경우 설치에 익숙하다면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지만 가령 익숙하더래도 귀차니즘은 어쩔 수 없는 듯....

아래 그림 많이 보셨지요? 네 유틸리티 > 디스크 유틸리티 를 실행한다. 복원 탭을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랍으로 소스와 대상을 지정하여 준다. 물론, 대상파티션은 소스 파티션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커야 합니다.

Backup-1

screen-capture-7-1

당근 이렇게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복사하고 난 후 리얼맥은 바로 부팅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 PC에 설치한 OS X 는 반드시 Boot Loader(Chameleon, XPC, Boot Think 등)는 다시 하드디스크에 설치해 주어야만 부팅이 가능합니다.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