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10. 3. 00:22
‘트럼프 거짓말’ 폭로한 일본…“투자금 5500억 달러 아냐” 주장 나와 News2025. 10. 3. 00:22
‘트럼프 거짓말’ 폭로한 일본…“투자금 5500억 달러 아냐” 주장 나와
트럼프 는 단순히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일단 극딜을 박고 본다.




‘트럼프 거짓말’ 폭로한 일본…“투자금 5500억 달러 아냐” 주장 나와
한국보다 앞서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일본이 대미 투자금 5500억 달러(한화 약 772조 원) 중 실제 투자는 1~2%에 불과할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았다. 이번 발언은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하는
www.msn.com
미국의 과도한 요구에 맞서 한국이 미군기지 사용료를 요구하거나 전략적 반격을 시도할 경우, 한미동맹의 균형 재조정 논의가 본격화될 수 있으며, 향후 방위비 협상·기지 운영·외교 전략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지만 오히려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트럼프의 '기지 소유권' 발언: 협상용 뻥카?
- 2025년 8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주한미군 기지의 소유권을 요구.
- “한국은 땅을 빌려준 것이지 준 게 아니다”라며 임대가 아닌 소유권 확보 주장.
- 전문가들은 이를 방위비 분담금 협상용 압박 카드로 해석.
🇰🇷 한국의 대응 가능성: 사용료 요구는 현실적 카드인가?
- 현재 한국은 미군에 기지 부지를 무상 제공 중. 일본·독일 등은 임대료를 받음.
- SOFA(주둔군지위협정)에 따라 미국은 사용권만 갖고, 필요 없을 시 한국에 반환해야 함.
- 헌법상 영토 양도 불가, 소유권 이전은 위헌 소지 있음.
🔄 등가법칙적 반격 시나리오
대응 카드효과리스크
| 기지 사용료 요구 | 협상 지렛대 확보, 동맹 균형 재조정 | 미국의 반발, 동맹 갈등 |
| 기지 운영 조건 재협상 | 전략적 자율성 강화 | SOFA 개정 필요, 국회 비준 |
| 기지 축소·재배치 요구 | 중국 견제 완화, 외교 유연성 확보 | 안보 공백 우려, 미군 감축 가능성 |
| 대미 투자 조건 재조정 | 경제적 부담 완화 | 관세 인상 등 보복 가능성 |
📉 향후 향방 분석
- 방위비 분담금 협상 격화
- 미국은 기지 소유권을 협상 카드로 활용해 분담금 인상 압박.
- 한국은 기지 사용료 요구 또는 투자 조건 재조정으로 맞대응 가능.
- 한미동맹의 구조적 균형 논의
- 한국 내에서 “안보 무임승차” 프레임에 대한 반발 증가.
- 전략적 자율성 확보를 위한 외교·군사적 재설계 필요.
- 중국·북한 견제와 지정학적 줄 세우기
- 미국은 한국을 중국 봉쇄의 핵심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전략.
- 한국은 균형외교 또는 다자안보체제로 탈피 시도 가능.
🧭 결론: 극딜엔 극딜로?
트럼프의 발언은 협상용 과장 카드이며, 한국도 기지 사용료·투자 조건·전략적 자율성 확보 등으로 맞대응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합니다. 단, 감정적 대응보다는 제도적·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미국과 NATO 수준의 한미동맹의 재정의가 불가피할 수 있습니다.
관세협상에서 미국의 강경 요구는 ‘MASGA 프로젝트’를 통한 전함 건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무역 협상이 아니라 미국의 해양 패권 전략과 직결된 산업·안보 연계 협상입니다.
⚓ 관세협상과 전함건조의 연결고리
- MASGA 프로젝트란?
- 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의 약자로, 미국 조선업 재건을 목표로 한 한미 협력 프로젝트.
- 한국 조선사들이 미국 현지에 조선소를 건설하고, 미 해군 함정 정비·건조·공급망을 지원하는 대규모 산업·안보 패키지.
- 왜 관세협상에 포함됐나?
- 미국은 쇠락한 자국 조선업을 되살리기 위해 한국의 기술력과 인프라를 필요로 함.
- 관세 인하를 미끼로 한국에 1500억 달러 규모의 조선 투자를 요구.
- 한국은 이를 통해 자동차 관세 인상(0%→15%)을 일부 상쇄하고, 조선업 수주 확대를 노림.
- 트럼프의 전략적 계산
- 중국 조선업의 급성장(미국 대비 232배 건조 능력)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을 해양 동맹의 핵심 파트너로 끌어들임.
- MASGA는 단순 산업 협력이 아니라 미·중 해양 패권 경쟁의 전선에서 한국을 미국의 ‘군함 공급기지’로 삼는 전략.
🧭 향후 전망
- 한국 조선업의 기회: 미 해군 7함대 정비 수주, 한화·HD현대·삼성중공업의 미국 진출 확대.
- 정치적 리스크: 미국 내 보호무역 법률(존스법 등)과 노동조합 반발, 중국의 보복 가능성.
- 외교적 균형 필요: 미국과의 해양 협력 확대와 동시에 중국과의 산업 협력 유지가 과제.
요약하자면, 관세협상은 단순히 수출입 품목의 세율을 조정하는 문제가 아니라, 미국의 해양 전략과 한국의 산업 역량이 맞물린 지정학적 빅딜입니다. MASGA는 그 중심에 있으며, 전함 건조는 그 핵심 동력입니다.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종묘 차담회’ 황후놀이 김건희, 왕실 신주 공간도 열었다…“용산 지시” (0) | 2025.10.03 |
|---|---|
| 트럼프, 전함 부활시키겠다. 20세기 ‘배틀십’의 부활?… 트럼프 “포탄이 미사일보다 싸” (0) | 2025.10.03 |
| 해병대 오빠 면회 온 예쁜 동생 (0) | 2025.10.03 |
| 흔한 소비자 트렌드를 정학히 파악한 야쿠르트 근황甲. (0) | 2025.10.02 |
| 병무청이 빛삭한 사진 (0)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