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0

« 2025/10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Update : https://cafe.naver.com/uefi/3388 

http://cafe.naver.com/uefi/5370


OSX 설치 이미지의 종류

인텔맥의 버전은 다음과 같고 버전에 따라 pc에 설치할 수 있는 여러종류의 설치 이미지가 있습니다.

1. Tiger(10.4.X)

2. Leopard(10.5.X)

        ❑        2-1. iDeneb 시리즈 : 호환성이 떨어지는 이를테면 AMD CPU, VIA, ATI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용, PCEFI 등의 부트로드 필요
  • 당근 Apple사에서 제공하는 “”Software Update“를 해주면 시스템 재부팅 불가합니다.
  • 사용자화에서 설치 옵션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설치는 성공하였지만 부팅은 실패 등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2-2. iATKOS 시리즈 : 호환성이 떨어지는 이를테면 AMD CPU, VIA, ATI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용, PCEFI 등의 부트로드 필요
        • 당근 Apple사에서 제공하는 “”Software Update“를 해주면 시스템 재부팅 불가합니다.
        • 사용자화에서 설치 옵션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설치는 성공하였지만 부팅은 실패 등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2-3. Kalyway 시리즈 : 호환성이 떨어지는 이를테면 AMD CPU, VIA, ATI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용, PCEFI 등의 부트로드 필요
        • 당근 Apple사에서 제공하는 “”Software Update“를 해주면 시스템 재부팅 불가합니다.
        • 사용자화에서 설치 옵션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설치는 성공하였지만 부팅은 실패 등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2-4. Leo4All 시리즈 : 호환성이 떨어지는 이를테면 AMD CPU, VIA, ATI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용, PCEFI 등의 부트로드 필요
  • 당근 Apple사에서 제공하는 “”Software Update“를 해주면 시스템 재부팅 불가합니다.
  • 사용자화에서 설치 옵션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설치는 성공하였지만 부팅은 실패 등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2-5. XxX_OS_x86 시리즈: 호환성이 떨어지는 이를테면 AMD CPU, VIA, ATI 칩셋을 사용하는 메인보드용, PCEFI 등의 부트로드 필요
  • 당근 Apple사에서 제공하는 “”Software Update“를 해주면 시스템 재부팅 불가합니다.
  • 사용자화에서 설치 옵션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설치는 성공하였지만 부팅은 실패 등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2-6. Leopard Retail 시리즈 : Intel CPU(코어듀어 이상), Ich7, p35, p45 칩셋을 가진 메인보드에 적합합니다.
          • 이 이미지는 오리지날 맥 Leopard 10.5.6 설치 이미지로서 OSX와 호환성이 좋은 메인보드인 경우 사용합니다. 이 이미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BOOT-132, PCEFI 방식의 부트로드가 필요합니다. 사용자화 참조
          • 이 방식을 이용하여 잘만 설치하여 주면 Apple사에서 제공하는 “”Software Update“를 이용하여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
          • 사용자화에 별달리 해줄게 없습니다. 오리지날 OSX 설치와 거의 유사합니다. 사용하기 편하죠.
          • Boot-132 방식에는 CD를 이용한 부팅방식과 USB Memory stick을 이용한 부팅방식이 있습니다.
          • 초기에는 USB Memory Stick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안정화 되고 난 후 CD방식으로 부팅한다던가 PCEFI 방식을 이용하여 하드디스크로 직접 부팅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USB 메모리 스틱을 이용한 방식을 선호합니다.


:
Posted by Ritz®™
2009. 2. 24. 16:15

BlueStack 제거하는 방법 Application2009. 2. 24. 16:15



우선 다음 폴더들을 제거한다.
1) C:\ProgramData\BlueStacks 
2) C:\Program Files (x86)\BlueStacks 혹은 C:\Program Files\BlueStacks 
3) C:\Users\ \AppData\Local\BlueStacks 

마지막으로 아래 링크를 다운로드 받고 실행하여 레지스터리를 제거한다. 
https://getsatisfaction.com/bstk/topi... 


'Appli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Picasa 무료 사진 관리 소프트웨어  (0) 2009.03.02
Cooliris  (1) 2009.02.28
ControllerMate 쓸만 하던가요?  (0) 2009.02.20
Remote Control an Apple Mac from a Windows PC and vice-versa  (0) 2009.02.18
CandyBar 사용하기  (0) 2009.02.15
:
Posted by Ritz®™
2009. 2. 24. 16:15

AUDIO 드라이버 실제 잡힌 상황 Hackintosh/Install2009. 2. 24. 16:15

  • AUDIO 드라이버 실제 잡힌 상황
  • 보시다 시피 ALC 882 디바이스 아이디는 1458AA20이군요.
:
Posted by Ritz®™
2009. 2. 23. 23:14

해킨토시 설치하는 방법 FAQ2009. 2. 23. 23:14

1. 일반 PC에 Mac OS X 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성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 부품이 아주 중요합니다.   

☆. 또한 10.1 버전은 아주 구 버전이어서 일반 PC에는 설치가 안됩니다.  아래 2번 답변을 참고하여 최소 10.6.8 이상을 설치해 주는 것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특히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3종 세트가 중요한데 그래픽 카드가 내장형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여 그래픽 드라이버가 없어서 설치 의미가 업습니다.


- 기본적으로 

☆. CPU : Intel CPU 

☆. 메인보드 : 가능한 ASUS, 기가바이트 사의 메인보드, 일부 Aslock, Foxconn 사의 메인보드 가능. 그런데 메인보드가 너무 구형이라 P5W DH DELUXE 같은 경우는 Tiger(10.4)부터 Mountain Lion(10.8) 최신버전까지 설치가 가능하지만 P5GZ(I945칩셋) 은 Snow Leopard(10.6)까지는 설치가 가능하지만 불안정할 듯 하군요.

☆. 해킨토시 - 2. 하드웨어


☆. 그래픽 카드  

- 지포스 게열은 8600, 8800, 9500, 9600, 9800, GTS-250, GTX460 까지 

- Radeon HD 4870, 5870, 6870 이 경험상 무난합니다.

- 노트북이라면 GPU(그래픽 카드 칩셋)가 중요한데 Optimus 기술이 적용되었다면 내장형GPU가 반드시 Intel HD 3000칩셋 이어야 합니다.

- 반면에 Intel HD 3000칩셋을 인젝션하는 기술이 여전히 불안정하여 안정적인 사용은 안되지만 램이 8G이므로 그나마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으리라 여겨집니다.


☆. 램은 최소 4G에서 8G까지 업그레이해 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구형이라고 여유가 있다면 차라리 새로운 시스템 구매를 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 http://osx86.tistory.com/1120

아래와 같이 CPU-Z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의 정확한 부품명을 확인하세요.



 
 
 


2.  어떤 Mac OS X 버전을 설치해야 할까요?

- Mac OS X 버전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하세요.

http://osx86.tistory.com/847

- 추가로 Lion 버전부터 Apple사가 일반 PC에 직접 설치 못하게 몇가지 폴더 구조를 변형하였습니다.
- 우선 제안하는 방법은 Vmware의 Mac OS X, 혹은 해킨토시 또는 기존의 맥 시스템에서 설치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참고 : http://osx86.tistory.com/1302


3. 설치방법

- 일반적으로 Mac OS X 설치방법은 정답이 없습니다.

- 다만, 다음과 같이 일반적인 방법은 있습니다.

http://osx86.tistory.com/category/FAQ


4. 추가
- 일반 PC에 Mac OS X 를 설치할 때 많은 사용자들이 대부분 3-4일 부터 보통 일주일 심하게는 1년 걸리는 사람도 있습니다.
- Bios 버전에 따라 cpu, 메인보드 칩셋, GPU칩셋 심지어는 BIOS 버전에 따라 설치방법이 제각각 경우의 수가 있으므로 달라지게 됩니다.


:
Posted by Ritz®™
  • 먼저 시스템 상황을 점검하였으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유의하여 설치를 진행하여 보도록 하자.
  • 현재 보유하고 있는 CPU가 SSE2만 지원이 되고 SSE3는 지원이 되지를 않는다.
  • 메인보드 칩셋은 ich7칩셋으로 비교적 구형칩에 속하지만 호환성은 가장 뛰어나다.
  • 사운드 카드는 AC97칩셋으로 ALC882 칩셋으로 작동 가능할지는 미지수이다.
  • 그래픽 카드는 nVidia Geforce 4500 칩셋으로 QE/CI 지원은 힘들 것 같다.
  • 네트웍 카드는 RealTek8139시리즈이므로 무난하게 설치할 수 있을 것 같다.
  • 먼저 SATA/USB DVD에 설치DVD를 넣고 DVD를 선택하여 부팅한다.
  • ASUS 메인보드는 보통 F8, 기가바이트 보드 계열은 F12를 메모리체크시에 입력하면 부팅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면 설치할 가능성이 높다.
  • 다음은 사용자화 설치 선택부분이다.
  • 대부분의 유저가 이 단계에서 설치 실패를 한다.
  • 만약 자기 시스템의 칩셋을 제대로 파악하였다면 성공확률이 높아진다.
  • 스스로 칩셋을 파악하지 않고 다른 살람에게 질문을 하여도 만약 그 사람이 다른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면 백번 물어도 정확한 답변을 받기는 어렵다.
  • 아래 그림과 같이 10.4.11을 설치해야 하므로 Apple Combo 10.4.11 Update를 선택하여 준다.
  • 그리고 PC EFI Bootloaders에서 efi_v8 GUID를 선택하였다. 윈도우즈와 머팅부팅을 위하여는 efi_v8 MBR을 선택하여 주는 것이 좋다.
  • 커널은 8.11.1.EFI Kernel을 선택하였다.
  • SSE3를 지원하지 않는 CPU이므로 SSE3에 관련된 사항은 제외된다.
  • 그리고 “”Recommended Patches“는 기본적으로 선택하여 준다.
  • ”“Optional Kernel/Patches”에서 “dsmos.kext”는 기본적으로 선택하여 주어야 한다.
  • “”OptionalPatches“는 전부 선택하여 준다.
  • 다음은 메인보드 칩셋 부분이다.
  • 메인보드 칩셋을 제대로 파악하였으면 메인보드가 ich7이나 ich8, ich9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 한가지만 선택한다.
  • 위와 같이 선택하고 ”“continue”를 누르면 설치가 계속 진행될 것이다.
  • 마지막으로 설치가 마무리 되면 재부팅한다.
:
Posted by Ritz®™
2009. 2. 23. 22:35

Metro Hero in Seoul, Korera Real Life2009. 2. 23. 22:35





:
Posted by Ritz®™
  • 아수스 메인보드 ‘M4A79T 디럭스’가 3DMark 06 35698점과 CPU-Z AMD 부분 6665.69MHz의 세계 신기록
  • 시피유도 보니 SSE3를 지원하니 Leopard를 설치하면 시스템 성능 죽이겠는 데요.
  • “VT” 기능이 빠져 있는 것은 안타깝군요.
  • 다만 HD 4870 그래픽 드라이버가 안나와 있으니 그 밑 사양으로 하더래두 “”GeekBench“ 돌리면 환상적일 듯.......
  • 아 이런걸 돌려줘야 하는데.......
:
Posted by Ritz®™
  • 이 설치 방법은 아직은 완전하지 않습니다.
  • 또한 스노우 레오파드는 아시다시피 개발자 버전으로 개발자에게만 주어진 버전이므로 불완전한 부분이 있습니다.
  • 오늘 2월 19일 이후부터 2주간 다른 웹사이트에 첨부된 자료는 올리지 마세요.
  • 안타깝게도 개발자 진영에서 태클이 들어왔음을 유의해주세요.
1) 기존의 Leopard가 설치된 시스템이 있어야 합니다.

가능한 10.5.6 이 설치된 시스템 환경에서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XxX_x86_10.5.6_Install_Disc_Universal_Final이든 아니면 ideneb든 상관없습니다.

Snow Leopard를 설치할때 diskutility를 이용하여 필요한 파티션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10.5.6 환경이 필요합니다.

Windows시스템을 포함하여 4개의 필요한 파티션을 만들어야 하지만 OSX만 사용할 경우 3개의 파티션만 이용할 것입니다.

Partition 1 (20 gig) : 임시로 Snow Leopard를 설치할 파티션입니다. 20G를 권고합니다.

Partition 2 (10 gig) : “DVD” 드라이버 대용 - 복원기능을 이용하여 “Snow Leopard”이미지를 설치할 것입니다. 10G를 권고합니다.

Partition 3 ( 20G 이상) : 최종 Snow Leopard가 설치될 파티션입니다. 테스트용으로는 20G로도 충분할 것입니다.

Partition 4 ( Optional) : 굳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만, Windows 시스템이 필요하신 분들만 필요하신 만큼 잡아서 사용하세요.

설치하는 동안 PCEFI V9 botloader 옵션을 선택합니다. 몇가지 버그가 있긴 하지만 추후 수정할 예정입니다. 만약 PCEFI V9 옵션이 없다면 chameleon으로 부팅될 것이고 OSX내에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and install it within OSX after you get your system up and running.

lk100000000002.gif  PCefi_v9_Installer_Final_2.dmg

2) 디스크유틸리티의 복원기능을 이용하여 Snow Leopard DVD image를 Partition 2에 복원합니다.

“Snow Leopard 10A261 DVD”를 DVD드라이버에 넣거나 혹은 “Snow Leopard 10A261 DVD“이미지를 더블 클릭하시면 이미지를 마운트합니다.

‘Disk Utility’를 실행하시고 ”“Snow Leopard 10A261 DVD”“를 선택하시면 ”“복원”기능이 있습니다. “”Source“박스에는 ”“Snow Leopard 10A261 DVD”“나 혹은 이미지를 끌어다 놓으시고 Destination 박스에는 Partition 2를 끌어다 놓으십시요. 그리고 ”Erase destination“을 체크하세요.

이 방법은 bootable DVD 를 쉽게 수정하거나 혹은 dual-layer DVD가 없을 경우 혹은 이미지 변경이 필요할때 DVD로 다시 구워야 하는 단순반복적인 작업을 줄여 줍니다. 그리고 PCEFI V9를 통해서 쉽게 복제된 드라이버로 부팅 가능하며 여러가지 설치방법중의 나름 효율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며 또 다른 버전의 OSX설치에도 응용이 될 것입니다.

3) 숨긴 파일 보기

Some of the files on this DVD, as well as other places you might need to access, are “hidden”.  To show hidden files open up Terminal and type

숨긴 파일을 보기위해서는 터미널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숨긴 화일을 볼 수 있습니다.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TRUE

killall Finder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TRUE
killall Finder

Alternatively, if you perfer working from a graphic user interface, there is a tool below that you can download and simply double-click to show or hide all files

다른 방법으로는 GUI환경에서 작업하기를 좋아하신다면 다음 첨부된 화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더블 클릭하여 설치하시면 숨김속성을 가진 화일을 보실 수 있습니다.

nk010000000000.gif  ShowAllFiles.zip - Toggle 'Hidden' OSX File Visibility

4) 파티션에 “복원된(cloned) DVD” image를 수정합니다.

복원된 DVD 파티션을 열어서 숨김속성을 가진 “”System“ 같은 폴더를 보실 수 있습니다.

/System/Installation/Packages/로 들어가십시요.

“osinstall.mpkg”를 삭제하시고 다음에 첨부된 화일로 교체하십시요. 그렇지 않으면 하드디스크로 설치가 안될 것입니다.

nk010000000001.gif  261OSInstall.mpkg - OSInstall.mpkg for 10A261

다운로드 받은 이 화일을 /System/Installation/Packages/에 교체하여 주세요.

5) 임시파티션에 Snow Leopard 설치하기

거의 마지막 단계에 접어 드는 군요. 아까 DiskUtility로 Partition 1 (20 gig)파티션을 만들지 않았다면 지금 만들어 주세요.

설치를 하기 위해서는 복원된 dvd 이미지 하드디스의 /System/Installation/Packages/로 가세요.

osinstall.mpkg를 더블클릭하면 OSX설치가 시작됩니다. 당신만의 특별한 “”Snow Leopard“” 설치방법을 만끽하세요.

Snow Leopard를 설치하면서 유념해야 할 것은 현재 설치되어 있는 10.5.6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임시 Partition 1 (20 gig)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continue” 를 눌러주시고 다음화면에서 “Customize”를 하단왼쪽에서 볼수가 있는데 이걸 선택하여 주세요.

권고안은 “”essential system software“”이외에는 체크하지 마세요.

자 이제 Snow Leopard설치는 대부분 끝났습니다. 이제 몇가지만 더 해주면 됩니다. 아직 재부팅하지 마세요.!

6) 이제 pc를 위한 Extension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Snow leopard는 몇가지 kext파일을 추가 또는 수정하여야 합니다.

decrypt화일을 교체해야 합니다. 다음 아래 화일을 다운로드 받으세요.

lk100000000003.gif  This is the dsmos kext file for 10A261

다운로드 받은 화일을 압축을 풀어서 Kext Helper를 이용하여 /System/Library/Extensions/ 폴더에 설치하여 주면 됩니다.

설치방법은 아래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osx86.tistory.com/search/kext%20helper

자! 이제 다음 화일들도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시면 됩니다.

PS2 Keyboard and Mouse kext files - touchpad 와 keyboard 를 위해서 다음 화일을 설치하여 주세요.

mk200000000017.gif  Snow Leopard 10A261 ps2 Kext

cpu power management disabler 입니다. 혹은 appleintelCPUpowermanagement.kext를 지우셔도 되지만 다음 첨부 화일을 설치할 것을 권고합니다.

  Disabler (7.9 KiB, 8 hits)

7) PCEFI boot의 wait times 설정하기

만약 PCEFI9가 설치되어 있다면 좋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Step 1의 PCEFI9 를 설치해야 합니다.

chameleon이 시간설정이 되어 있지 않다면 BIOS 로딩이 끝난 다음 F8을 연타해야 합니다.

만약 타이머를 설정하였다면 좀더 편하게 F8키를 이용하여 부팅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Library/Preferences/SystemConfiguration/com.apple.Boot.plist 화일을 수정하여 줌으로써 시간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다음 항목을 수정하여 주시면 됩니다. 저는 보통 5초 정도를 줍니다.

<key>Timeout</key>
<string>5</string>

8) Snow Leopard 부팅가능하게 하기.

PCEFI9를 설치합니다.

Leopard최상위 디렉토리에 있는 PCEFI9 bootlloader 화일“”boot“를 아래 화일로 바꾸어 줍니다.

ok060000000002.gif  Snow Leopard bootloader to be used with PCEFI9 for 10A261

다음은 DSDT patcher 입니다. 이 단계는 어떤 마더보드에는 이 과정없이 바로 부팅이 되긴 하지만 좀 더 완벽한 시스템을 위해서 필요하신 분만 진행하십시요.

다음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실행하십시요.

  PCwiz DSDT Patcher with GUI

실행하시면 “”darwin/macosx“가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고 “Apply DSDT patch to:”를 체크하여 Snow Leopard를 설치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부분을 선택하여 줍니다.

9) Snow Leopard 를 시작합니다.

만약 위 단계까지 모든 것을 잘 진행하였다면 또한 Snow Leopard가 마더보드와 호환성이 좋다면 이제 부팅될 것입니다.

재부팅하시고 부팅 진행과정을 위/아래 화살표 키를 이용하여 지금 설치된 Snow Leopard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부팅옵션키을 입력하여 줍니다.

-v -f

-v -f -x

-v -f -legacy -x

이와 관련하여 다음글을 참고하십시요.

http://osx86.tistory.com/13

Welcomes you to Snow Leopard!

Thanks for reading!

Thanks Fujilives & Ridgeline again,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