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11/1 »

  • 1
  • 9
  • 10
  • 11
  • 12
  • 13
  • 14
  • 15
2011. 1. 31. 18:24

맥에서 디스크 이름 바꾸기 macOS2011. 1. 31. 18:24

디스크 이름 바꾸기


1. 바꿀 디스크를 우측마우스로 클릭

Disk Nam


2. 다음 그림과 같이 Name & Extension 에서 이름을 입력 끝
Disk Nam

윈도우즈에서는 다음글의 3번 그림을 참조하기 바란다.

http://osx86.tistory.com/1244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OS X 활용하기  (0) 2011.07.26
지정 어플리케이션으로 항상 열기 지정하기  (0) 2011.07.07
OS X driver 설치 방법  (0) 2011.01.21
OSX 용 파티션 만들기  (0) 2011.01.16
HP Officejet 6310 all-in-one  (0) 2010.09.20
:
Posted by Ritz®™

Price List


해킨토시를 설치하기전에 우선 시스템 상황(사양)을 파악하여야 합니다.


사양이 안맞는다면 포기하는 것이 정신건강상 좋습니다.

사양도 안되는 장비를 설치한다고 마냥 시도하는 것은 시간낭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냐하면 드라이버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호환성 검증을 하는 것이기도 하구요.
ASUS P5W DH DELUXE(간단한 작업으로 Lion까지 설치가 가능합니다.), 국민보드나 혹은 기가바이트 시리즈 보드가 아닌 이상 PC에 맥을 설치하기란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닙니다. 1달 정도 걸리는 분도 있지만 어떤분은 10개월 걸리신 분도 있습니다.
그래서 자기 자신 pc의 메인보드를 파악하는 것이 그만큼 중요합니다.자신의 메인보드를 제대로 파악만 한다면 설치시간을 확실하게 줄일 수 있으며 모르는 부분이 있어도 질문을 정확하게 하여 경험이 많은분들의 정확한 답변을 끌어내기가 쉬우니까요. 
또한 넷북이나 노트북 같은 경우에는 ATI 그래픽 칩셋을 탑재한 시스템이라면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Geforce 그래픽 카드 칩셋이 잘 되는 경우입니다. 다음글에서 설치가능한 랩탑계열 시스템을 확인해 보세요.
http://j.mp/bh3xaX
다음은 데스크탑일 경우를 고려한 사항입니다. 맥에서는 DPCI Manager 나 lspci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쉽게 Device ID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ec
lspci


1. CPU

- SSE2 만 지원하는가 혹은 SSE3까지 지원하느냐에 따라 상황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 만약 SSE2까지 지원한다면 바닐라 커널(오리지날 Apple사 커널)은 포기하셔야 합니다.
- 또한 ATOM CPU는 AMD CPU 와 같이 Apple사의 원본 커널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스템 안정성을 위해서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대신 Legacy 커널(Voodo, Anv, Toh 등등)을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 따라서, 오리지날 Vanilla 커널을 사용하지 못하면 예기치 못한 버그들이 발생합니다.
- 때문에 AMD시퓨를 가지신 분들이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다고 보시면 적절할 것 같습니다.
-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으며 가능하면 SSE2까지만 지원이 된다면 Leopard설치는 포기하시고 Tiger를 설치하시는 편이 정신 건강상 이롭습니다.


Spec

*. 위 그림에서는 VT-x가 없군요. MAC OS X에서 VMWARE 나 PARALLELS 를 사용하지 않는 다면 큰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가상머신에 맥을 설치하는 것은 포기해야 하겠군요.
* cpu 오버클럭에 대해서 질문이 많으신데 가급적이면 오버클럭하지 않은 상황에서 OS X를 설치하고 OS X 안정화를 시킨후에 오버클럭을 시도합니다. 

2. 메인보드 모델명/칩셋


- 메인 보드 칩셋이 어떤 칩셋이냐에 따라 이부분도 사용자화에서 달라지는 부분이 많습니다.
당연히 인텔계열 메인보드가 호환성이 좋으며 안정성 또한 AMD 시스템보다 뛰어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우선 i945 칩셋 이하이면 Leopard인 경우 JAS ??? Patch 를 적용하여야 합니다.
- 제일 호환성이 높은 칩은 965, ich7(975), G31, P35, P45, EX58, P55, H61, P67, H67, Z86 등 이상의 계열입니다.
- 하지만 예외적으로 ASUS사의 P5W DH DELUXE가 국민보드라는 명성을 얻었던 바와는 달리 ASUS P5Q계열은 BIOS부터 수정된 BIOS를 적용하여야 하는 특이한 경우도 있습니다.
- i945칩셋 이하 역시 Leopard를 설치는 포기하시는 편이 정신 건강상 이롭습니다.
- Tiger를 설치하시는 게....
- 아래칩은 82801(ICH8-ME)로 나오는 군요. 일단은 ICH7 칩셋 이상이 설치하기 용이합니다.
Spec




3. 그래픽 카드

- 그래픽 카드는 아시다시피 국민보드는 Snow Leopard(10.6.X)에서는 nVidia 8600, 9800, GTS-250/260 계열이거나 ATI Radeon HD 4870 입니다. Lion은 역시나 8600 이상으로 가야 하겠지요.
- NVKush.kext 만 설치하여 주면 제대로 잡힙니다만, Snow Leopard에서는 "GraphicEnabler"로 걍 잡힙니다.
- 물론, 눈범(Snow Leopard)에서는 가능한 8600이상 GTS시리즈로 가는게 적절합니다.
- Chameleon Boot Loader를 사용한다면 "Graphic Enabler"로 한방에 잡힙니다.
- Boot Think나 XPC등을 사용한다면 GFX-String을 사용하여 잡아 줍니다.
- ATI의 1960 계열 카드도 좋습니다.
- 추가로 Device ID, Vendor ID를 장치관리자의 해당 카드의 등록정보에서 확인하여 둡니다.
- 아래 그림에서 8086, 2562 보이시나요?
- 요즈음은 주로 Geforce 8600, 8800, 9600, 9800, GTS-250 시리즈나
- ATI 그래픽 카드 계열은 현재 HD 4870 과 5xxx 계열이 Snow Leopard 까지 지원되고 있으며 Leopard에서는 ATI Mobility 36XX. ATI HD 3650등이 지원가능하였으며 Snow Leopard에서는 아직까지 ATI Mobility 드라이버 없습니다.
- HD 3650, 3850 은 Leopard까지만 지원되고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 위에서 언급한 시스템을 보유하신 분들은 시스템을 교체하시던가 아니면 vmware를 이용하여 설치해봅니다.  http://osx86.tistory.com/957

Spec



4. 사운드 카드

- 사운드 카드는 ALC882 계열인지 ADI 계열인지 여부도 아주 중요합니다.
- 추가로 Device ID, Vendor ID를 장치관리자의 해당 카드의 등록정보에서 확인하여 둡니다.



5. 랜카드

- 랜카드도 RealTek 8139 계열은 그냥 잡힙니다만, 대부분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주어야 합니다.



* 부팅시디(boot-132 방식 포함) 를 이용한 Retail DVD설치방법은 현재 가장 리얼맥에 가까운 설치 방법으로 널리 애용이 되고 있습니다.
물론, EFI칩을 장착한 메인보드를 이용하여 Apple사의 EFI롬을 이식하는 방법을 시도하기도 하였었지만, 아직 성공한사레는 없습니다. 아직까지는 까다로운 방법이어서 일부 개발자들에 의해 시도되어지고 있습니다.


이제 다음 설치 단계중 하나를 골라서 다음 단계로 넘어 갑니다.



:
Posted by Ritz®™
2011. 1. 31. 14:35

iaslMe Hackintosh/DSDT2011. 1. 31. 14:35

준비물: iaslMe

당근 어플리케이션>> 유틸리티에서 Terminal 을 실행하여 관리자 권한을 획득한 다음 아래 커맨드를 입력한다.
 

Terminal

perl -e 'open(CMD, "ioreg -lw0 \| grep DSDT|") or die; while(<CMD>) { chomp; if($_ =~ /\"DSDT\.?\d?\"=<([^>]*)>/) { $buff = $1; open(PIP, "|xxd -r -p > ~/Desktop/dsdt.aml") or die; print PIP "$1"; } }'



당근 이 dsdt.aml화일은 윈도우즈에서 추출한 값과 비교를 해보는 것이 좋다. 
바탕화면에 dsdt.aml 화일이 생겼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끌어다 당겨놓으면 iaslMe 어플리케이션이 compile 혹은 decompile하여 준다. 

즉, aml은 dsl로 dsl은 aml로 바꾸어(컴파일하여) 준다. 

dsl화일은 TextEdit등을 이용하여 추가 혹은 수정이 가능하지만, 컴파일된 aml화일은 기계어 코드 형식이므로 Text Edit등으로 열리지 않는다.

iaslMe]


'Hackintosh > DSD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만의 DSDT생성하기  (0) 2012.03.01
Fix DSDT: sleep, shutdown, SATA, No restart  (0) 2010.07.12
Aslock P55 FireWire DSDT 설정하기  (0) 2010.07.09
Asus Mainboard Firewire DSDT  (0) 2010.07.05
DSDT 생성  (4) 2010.06.19
:
Posted by Ritz®™


대부분의 BootCD를 이용한 방법입니다. 즉, Rebel EFI BootCD가 아니라 다른 BootCD를 이용할 경우에도 적용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bel EFI/OS X 설치 가이드

- 구매하지 않아도 부팅이나 설치 와 안전모드 부팅정도는 됩니다.- 일단 설치하고 난 후, 부트로드 설치나 드라이버를 잡아주면 됩니다. 또한, 이 설치방식은 제약성이 있습니다. 즉, 호환성 리스트에 없는 메인보드는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만, 시도해볼만은 합니다. 아 덧붙이자면 실패하면 다른 부팅시디를 이용하세요. 호환성 리스트에 없는걸 가지고 질문할 필요는 없습니다.
* Checklist
http://wiki.psystar.com/index.php/Hardware_Compatibility_List


  • 1. ✒Rebel EFI 관련 ISO이미지를 다운로드한다. 당연히 Snow Leopard Retail용 dvd 이미지를 다운로드 받는다.
  • 2. 다운로드 받은 Rebel EFI ISO화일을 CD에 굽는다. 당연히 Snow Leopard Retail용 dvd 이미지도 DVD에 굽는다.
  • 3. 구운 Rebel EFI disc CD 드라이버에 넣는다.
  • 4. 컴퓨터를 재시작한다.
  • 5. 부팅시에 기가바이트 보드는 F12, 아수스 보드는 F8을 눌러준다.
  • **메인보드마다 펑션키가 다르다.
  • 6. CD ROM 을 선택한다.
  • 7. CD 를 로딩한 후 Snow Leopard를 설치 DVD를 로딩하기 위해 엔터키를 입력한다.
  • 8. 프람프트가 뜨며, CD 를 빼고 Snow Leopard DVD 를 넣어달라고 메시지가 뜬다.
  • 9. Snow Leopard DVD를 넣어준다. (이때, ATI 그래픽 카드인 경우, 안전모드를 선택하여 부팅시도한다.)
  • PsystarRebelEFI
  • 10. Main Language 를 선택한다. 참고: 설치매뉴얼
  • 11. “Continue”(계속)을 클릭하여 Snow Leopard 설치를 진행한다.
  • 12. 사용계약 동의서에 “Agree”(동의)를 클릭한다.
  • 13. Snow Leopard 를 설치할 하드디스크를 선택한다.
  • **주의: Snow Leopard가 설치될 하드디스크의 자료가 몽땅 날라가니 백업을 해 두어야 한다. **
  • a. 만약 설치할 하드디스크가 보이질 않으면, tool바의 Utilities 를 클릭하여 ✒Disk Utilities를 실행한다.
  • b. 왼쪽 메뉴에 하드디스크가 보일 것이다. 안보인다면 대략 난감.
  • c. 만약 안보인다면 하드디스크 연결케이블을 확인하거나 CMOS SETUP으로 들어가 하드디스크 인식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 d. ✒하드디스크를 선택한 후 Partition메뉴를 선택한다.
  • e. Volume Scheme에서 current 를 선택한 후, 1 partition을 선택한다.
  • f. Volume Information에서, 하드디스크 이름을 “MachintoshHD” 혹은 원하는 이름으로 입력한다.
  • g. 포맷(Format)은 Mac OS Extended (Journaled)로 선택하여 준다.
  • h. 윈도우 아래의 “Options” 버튼을 클릭한다.
  • i. ✒“GUID Partition Table”을 선택한다.
  • j. “OK”를 누른다.
  • k. 적용(Apply)를 누른다.
  • l. 파티션(Partition)을 누른다.
  • m. “Disk Utilities”를 끝마친다.
  • 14. Snow Leopard 를 설치할 하드디스크를 선택한다.
  • 15. 설치(Install)를 클릭하여 진행한다.
  • 16. 설치가 끝나면 컴퓨터를 재부팅한다.
  • 17. “Rebel EFI CD”를 넣는다.
  • 18. 부팅시에 기가바이트 보드는 F12, 아수스 보드는 F8을 눌러준다.
    • **메인보드마다 펑션키가 다르다.
  • 19. “CD ROM”을 선택하여 부팅한다.
  • 20. CD 가 로딩된 후 하드디스크와 “Rebel EFI CD”가 보일 것이다.
  • 21. 화살표 키를 이용하여 하드드라이버를 선택한다.
  • 22. 엔터(Enter)를 누르면 하드디스크로 부팅될 것이다.
  • 23. CD로부터 “Rebel EFI”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24. 화면의 authentication 과정대로 입력하여 준다.
  • 25. “Continue”를 클릭한다.
  • 26. 키보드를 선택한다.
  • 27. “Continue”를 클릭한다.
  • 28. “Do not transfer my information now”를 선택한다.
  • 29. Continue 를 클릭한다.
  • 30. 만약, Apple ID가 있다면 입력한다.
  • 31. 그렇지 않다면, “Continue”를 클릭한다.
  • 32. 자신의 “Registration Information”을 입력한다.
  • 33. “Continue”를 클릭한다.
  • 34. 자신의 “Account Information”을 생성한다.
  • 35. “Continue”를 클릭한다.
  • 36. “Time Zone”을 선택한다.
  • 37. “Continue”를 클릭한다.
  • 38. “Done”을 클릭한다.

Video Card Issues

만약 OS X 부팅시에 blue/grey/white 스크린이 나타난다면, Video Card문제이므로, Video 카드를 바꿔주어야 한다.

BIOS Settings

만약, OS X 부팅시에 Apple 로고와 함께 멈추어 “no smoking” 싸인이 보인다면, “BIOS” 세팅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진행한다.

  • 1. 컴퓨터를 재부팅하여 BIOS 에 들어간다. (노트북들은 주로 F2 혹은 일반 데스크탑 PC는 “DEL”키를 눌러주면 된다.)
  • 2. “Advanced BIOS Features” 메뉴에서 다음과 같이 세팅한다. :
    • HDD S.M.A.R.T. Capability [Enabled]
    • CPU Enhanced Halt [Disabled]
    • CPU Thermal Monitor [Disabled]
    • CPU EIST Function [Disabled]
  • 3. “Integrated Pereprhals” 메뉴에서 다음과 같이 세팅한다.:
    • USB Keyboard Function [Enabled]
    • USB Mouse Function [Enabled]
    • SATA RAID/AHCI Mode [AHCI]
    • Onboard SATA/IDE Device [AHCI]
  • 4. “Power Management Setup”메뉴에서 다음과 같이 세팅한다.:
    • HPET Mode [64-bit Mode]
  • 5. F10을 눌러 저장하고 끝마친다.
  • 6. BIOS 세팅은 끝났다 이제 다시 설치해 본다.

“Installation failed” message

“OS X 설치 마지막 단계에서 이러한 메시지가 보인다면 불필요한 메시지이니 무시해도 좋다. 대부분 제대로 설치가 되니 안심해도 좋다.

* 다음은 ✒호환가능한 Hardware List이다.

http://wiki.psystar.com/index.php/Hardware_Compatibility_List

* 보시면 아시겠지만 Gigabyte 보드는 P55 칩셋 보드이외에는 거의 다 호환가능한 메인보드로 등록이 되어 있습니다.


PsystarRebelEFI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