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11/1 »

  • 1
  • 9
  • 10
  • 11
  • 12
  • 13
  • 14
  • 15

'2011/01/16'에 해당되는 글 2

  1. 2011.01.16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2
  2. 2011.01.16 OSX 용 파티션 만들기
2011. 1. 16. 15:38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Hackintosh/Install2011. 1. 16. 15:38

추가: Snow Leopard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SnowOSX Universai 3.6.ISO 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다음은 Leopard(10.5.x)버전설치와 동일하다.
  • 개요: 해킨 Leopard ISO 이미지를 임시 내/외장 혹은 USB HDD 파티선에 넣어서 이 HDD 파티션을 이용하여 Leopard를 최종적으로 다른 하드디스크에 설치한다. USB나 DVD가 필요없다.
  • 물론, USB MEMORY Stick( 8기가 이상)이 있으면 윈도우즈에서 Transmac을 이용하여 USB에 해킨 배포본이나 Retail DVD 이미지를 넣어주고 설치하여 주어도 좋다.
  • DVD이미지를 구울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실패확률이 적다.  간혹 Media Error를 경험한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 DiskUtilLity의 복원 방법을 이용하여 ISO 이미지를 설치용 파티션에 복원하여 설치시도하여 보았지만 안된다.
  • 하지만,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 이 그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 이 소프트웨어는 chinese GUI 환경이었지만, twilight.lee chinses 를 english로 수정하였다.

Windows XP , 2000 , 2003 only , vista NOT Tested!
Notice : 파티션 관리 중요하다. PC 전문가인 사용자도 윈도우즈 파티션을 날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윈도우즈 파티션의 데이타는 꼬옥 백업 받아두고 진행하는 것이 적절하다. =========================================== 방법: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위 파티션 순서는 차후를 생각해서 순서를 바꾸어 주셔도 무방하다.

  1. Step 1: Install 파티션(임시)을 만드는 데 PRIMARY FAT32 파티션으로 만듭니다. 포맷 유무에 따라 설치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 파티션만 만들고 포맷을 하지 않아야하는 경우도 있다.
  2. Step 2: Destination Partition을 만드는데 이 파티션이 Leopard가 최종 설치될 파티션이며 PRIMARY 파티션으로 만든다. 참고. See here <--- 이것을 Destination Partition 으로 지정한다.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3. Step 3: "Leopard HD install helper"를 실행하여 ISO 파일을 선택한다. 보통 아래 그림과는 달리 기본적인 선택사항은 그대로 두는 것이 적절하다.
  4.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5. Step 4: 1 단계에서 만들었던 Install Partition 을 선택하고 "Start" 버튼을 클릭하여 준다.
  6. Step 5: 끝나면 재부팅한다.
  • 자 이제부터 HDD를 통하여 설치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는 DVD를 설치하는 방식과 동일하다. 다음단계 가기
  • 주의: Install Partition에 file 이나 혹은 directory 가 있을 경우, "Start"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는다. "System volume Information"을 점검하여야 한다. "Start" 버튼이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iso 화일을 다시 선택하거나 target partition을 다시 선택하여 시도한다.
  • 또한, try check , uncheck "write" checkbox를 시도하여 본다. 이 단계가 이상한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 단계이니 유의한다.
  • 만약 이 툴을 이용하여 ISO 이미지를 USB Stick 에 심을려면, "Gray Start Button" 툴을 구글링해서 관련글을 찾아보기를 권한다.
실행가능한 ISO 이미지 File: Leo4allv3.iso Kalyway_10.5.2_DVD_Intel_Amd.iso Leopard-10.5.2-AMD-EFI-Rev2.iso iDeneb 10.5.4 v1.1.iso iATKOS v5i.iso, Snow Leopard Hazard 배포판, SnowOSX3.6 ISO

Use as your own RISK!
======================================





주의사항:
  • 만약 Install Partition 으로 부팅이 안된다면, 파티션이 active 되어 있는지 ID 가 AF 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 그렇지 않다면, Paragon Partition Manager 등의 파티션 툴을 이용하여 변경한다.
  • 다시 한번더 주의사항: 일단계의 Install Partition을 포맷하지 않는다. 단지, Install Partitionactive 되어있는 상황인지 그리고 Install Partition ID를 AF 로 변경하여 주면 된다.
  • 첨부된 파일중 boot1h , boot_v8 , boot 은 반드시 필요한 파일이다. 주 프로그램인 ddmac.exe 파일이 있는 동일한 폴더에 있는지 확인한다.
======================================= 추가1:
  • iPC , iDeneb v1.4 , XxX 등의 해킨 이미지는 Leopard HD Install Helper 로 설치되지 않지만 시도해볼만 하다.
  • 이 이미지들은 Chameleon-1.0.11 이나 혹은 PC_EFI v9 부트로더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 부팅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코드가 화면에 뜬다.
CODE H0000003F ]-00000041 =00000001 }*!-007C87D7 =007C007E Y
  • 다음글에서 Post #3 해결방안을 찾으면 된다.
  • 또한, 최근에 발표된 10.5.5 나 10.5.6 관련 해킨설치 이미지에서는 ISO이미지의 루트폴더에 “ boot ” 파일만 TransMac으로 교체하여 주면 쉽게 설치가능하다.
  • 첨부화일
Attached File(s) EnglishGUI.png ( 15.12K ) Number of downloads: 457 Leopard_hd_install_helper_v0.3.zip ( 441.12K ) Number of downloads: 1018
  • 다운로드 받기위해서는 가입을 해야 한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추천 꾸욱 눌러 주세요.


:
Posted by Ritz®™
2011. 1. 16. 11:33

OSX 용 파티션 만들기 macOS2011. 1. 16. 11:33

추가 : http://cafe.naver.com/uefi/600





OSX 용 파티션 만드는 방법

OSX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고민 중 하드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파티션 문제에 고민하게 됩니다.

다음과 같은 개념을 가지고 파티션을 해주면 좀 더 하드디스크를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Windows(Linux등 기타 OS)와 OSX는 가능한 물리적으로 하드디스크를 다르게 가져갑니다.
  •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하나의 디스크에 Windows(Linux등 기타 OS)와 OSX를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파티션 구성에 실패하여 다른 OS의 파티션을 지워 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안정화시켜 놓은 파티션을 한순간의 실수로 날려 버리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죠.
  • 그래서 가능한 하드디스크를 2개이상 사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당근 노트북에서는 파티션을 나누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이기종 OS 와 멀티부팅도 가능하구요.
    이때는 멀티부팅이 오히려 더 쉬울 수도 있습니다. 
OSX 부팅용 하드디스크는 가능한 적어도 120G이상을 설정하여 줍니다.
  •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OSX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다보면 120G도 부족한 경우가 생깁니다.
  • 이를테면 PhotoShop CS4, ProTools, FinalCut 등을 설치하다보면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경우가 생깁니다.
  • 또한, p2p 등에서 소프트웨어나 영상자료를 다운로드 받다보면 하드디스크 용량은 신중히 고려되어져야 합니다.
  • 그래서 하드디스크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250G 이상을 권고합니다.
  • 물론, Maintenance용은 대략 8-10G 정도가 적절할 것 같군요. Lion(10.7) 이상부터는 Recobery HD 파티션이 생성되므로 더이상 maintenance용 파티션은 의미 없음.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은 윈도우즈에서는 Paragon HardDisk Manager 2010 이나 Acronics Disk Utility를 이용하여 백업합니다.
  • OSX의 설치 디스크에서 파티션설정을 하거나 다른 OSX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설정할 경우 다음 그림과 같이 오렌지색의 EFI 파티션이 생깁니다.
  • 또한 Paragon NTFS for Mac, Mac Drive 같은 응용프로그램 설치는 가급적 자제하시기를 권고합니다.
  • Paragon NTFS 프로그램 역시 어떤분들은 OSX자체의 파티션을 날려버리는 버그가 발생하여 OSX를 재설치하여 주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 따라서 기본적으로 OS X용 파티션은 윈도우즈 응용프로그램인 Acronics Disk Utility 같은 응용프로그램으로 shage OS swap파티션 구성을 하여 줍니다.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가급접 Mac OS X 나 해킨 배포본DVD로 부팅하여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파티션을 만들어 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 그리고 OSX 설치 디스크로 부팅하거나 기존 OSX로 부팅하여디스크 유틸리티의 지우기 기능 을 이용하여 파티션 설정을 하여 줍니다.
  • 또한디스크 백업 복원 기능 을 활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OSX를 날리지 마시고 활용합니다.

Partition


스크린샷 2011-01-16 11.46.13 AM-1

* 가능한 GUID 파티션으로 해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하드디스크 하나에 OS X와 Windows를 파티션을 나누어 설치해야 할 경우에도 GUID 파티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물론, USB 같은 경우에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로 해주어도 무방합니다.
Partition

* 먄약 파티션이 FAT32로 되어 있거나 설치되지 않을 경우 위 그림과 같이 지우기를 하게 되면 파티션을 hfs 포맷으로 재 포맷해줍니다.

다음은 추가로 파티션크기 재조정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빨간 동그라미 부분을 위로 끌어올려주어 기존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여 줍니다.   

Resize01


 OS X와 Windows 시스템간의 데이타 공유 파티션은 OS X 10.6.5 이상에서 지원해주는 ExFat 파티션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  자주 파티션을 날립니다.

  • FAT32에서의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개선 되었습니다. 4G 이상 파일크기 지원
  • Windows 와 OS X에서 읽기,쓰기 지원

스크린샷 2011-02-23 10.10.37 AM

다음글도 참조 하세요.
http://j.mp/qMZab8

 하드디스크 파티션 제거하는 방법

- 아래 그림과 같이 선택하여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합니다.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하드디스크 하나에 2개의 파티션만 설정합니다.


  • OSX의 설치 디스크에서 파티션설정을 3개 이상하면 위 그림과 같이 hidden 속성을 가진 efi파티션이 3개가 만들어져 디스크 낭비가 심해지게 됩니다.  당근 3개의 파티션을 만들어 OS X, Windows, Linux등으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만, 단순히 권장사항이니 자신의 시스템 사용도에 따라 응용하면 됩니다.
  • XYuM6FBrY3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에서 디스크 이름 바꾸기  (0) 2011.01.31
OS X driver 설치 방법  (0) 2011.01.21
HP Officejet 6310 all-in-one  (0) 2010.09.20
서비스 포트  (0) 2010.04.05
더블클릭하여 사용하던 어플 윈도우즈 감추기  (0) 2010.03.20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