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12/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29
  • 30
  • 31
CPU :Core i3 CPU 2310m, vanilla 64 bit kernel (Core i5 / i7 포함)
Graphic : Intel HD3000- Full QE/CI (SMBIOS 세팅 MacbookPro8,1)
Atheros 9285- 동작
4 G RAM
Audio - AppleHDA!
트랙패드와 키보드 - 기본적인 제스처 동작
DVD 
잠자기 - 작동
불루투스- 재부팅 과 잠자기 제외한 동작됨.
랜 - 작동
HDMI 와 VGA: Full resolution & HDMI audio

Lion USB 와 unibeast 를 이용하여 설치

준비물 
  • 설치용 Mac OS X Lion.app 화일
  • 첨부된 화일
  • Unibeast 최신버전
  • USB 키보드
  • OS X 설치과정에 진입하기 위하여 Lion/Snow Leopard 혹은 Leopard 시스템이나 Vmware/Native 해킨토시가 있는 것이 좋다. 추가 : http://osx86.tistory.com/1302
  • 8G 이상 USB 메모리 스틱.

1. Mac where Install Mac OS X Lion.app 화일이 있는 곳으로 간다. 만약 어플리케이션 폴더로 보이지 않는 다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지만 어플리케이션 폴더로 보인다면 2단계로 간다.

-Install Mac OS X Lion.app 폴더에서 우측마우스 클릭하여 Show Package Contents를 클릭한다.
-"Contents/Shared Support" 로 가서 InstallESD.dmg파일을 클릭하여 마운트 한다.

2. 8G USB 메모리 스틱을 넣고 Disk Utility를 실행한다.  MBR 파티션맵으로 파티션하고 Mac OS X Extended (Journaled)로 포맷한다. 이름은 Installer로 준다.

3. Disk Utility를 마치고 Unibeast를 실행하여 8G USB에 설치한다.   설치하는 동안 "Retail App Store Install"과 "Laptop Support"를 선택하고 다시 8G USB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4. HP Probook Installer 를 8G USB 메모리스틱에 복사하여 준다.

5. 이제 랩탑에 내장형 GPU HD 3000 이외에 GPU가 있다면 BIOS SETUP에서 disable 시킨다. 만약 부팅이 안된다면 BIOS세팅을 Default로 재세팅하고 추가 GPU가 있다면 다시 disabled로 설정한다.

6. 8G USB를 연결하고 부팅한다.

7. 부팅이 시작되면 esc키를 눌러주고 F9를 누른다.  그리고 USB 메모리 스틱을 선택하여 부팅하고 Installer를 선택하여 enter를 입력하여 설치화면으로 진입한다. 
 - http://osx86.tistory.com/1026 , 설치과정동안 디스크유틸리티를 실행하여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 설치하는 과정이 설명되는데 파티션명을 영문으로 "Machintosh HD"로 설정하여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
 - http://osx86.tistory.com/1030, 이번에는 "Machintosh HD"를 선택하여 계정 세팅을 하는데, 가끔 한글계정으로 로긴이 안되는 불상사를 막기위하여 가능한 한글계정보다는 영문으로 설정하여 주는 것이 좋다.  또한 USB키보드가 필요할 수 있으니 USB키보드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한다.

8. 일반적인 셋업과정이 끝나면 데스크탑을 보게 될 것이고 Installer라고 명명된 8G USB 메모리 스틱을 열고 HP Probook Installer를 바탕화면으로 드래그앤 드랍으로 복사하여 준다.

9. Installer를 클릭, 실행하여 아래 항목을 선택한다.:
- 설치한 OS X 버전 선택
- Chimera 부트로더 선택
- DSDT 항목 아래 자신의 BIOS를 선택
- i5 혹은 i7 CPU 선택

10. 이제 8G USB 메모리 스틱을 빼고 하드디스크로 직접 부팅해 본다.

11. 시스템 환경 설정을 열고 네트워크를 선택실행하여 wifi가 추가되어 있다면 활성화(activate)를 적용(apply)한다. 



Software Updates:

간단하게 한번에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  한번더 Lion을 설치하였고 HP Probook Installer를 실행하여 모든게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어야 한다.  이제 Apple사에서 직접 combo update를 직접 다운로드 받아서 진행한다. 

10.7.1- 
- 간단하게 Apple사에서 다운로드하고 업데이트한다. http://support.apple.com/kb/DL1437 
- 이제 HP Probook Installer를 실행하여 OS X 버전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이제 재부팅한다.

10.7.2- 
- Standalone 버전이나 혹은 Combo 버전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 이제 HP Probook Installer 를 실행하고 OS X 버전을 선택하여 설치한다.  재부팅한다.




Attachments:
File comment: Version 3.1.1
 HP Probook Installer.zip [22.51 MiB] 
Downloaded 691 times 

_________________
Dell Inspiron 6000, Leopard(10.5.8)

HP Probook 4530s Lion(10.7.2) 설치가이드
- http://www.tonymacx86.com/viewtopic.php?f=259&t=41546

HP Probook 4530s Snow Leopard(10.6.?) 설치가이드 
- http://www.tonymacx86.com/viewtopic.php?f=259&t=41547&start=10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추천 꾸욱 눌러 주세요.


'Hackintosh > Note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nkPad E420  (3) 2012.04.03
해킨토시 Mountain Lion설치 - HP Elitebook 8540P / W  (9) 2012.02.23
Dell Studio 1749 + Retail 10.6.3 DVD  (0) 2012.01.19
HP hdx18-1108tx  (0) 2011.09.18
Samsung R580 해킨토시 설치하기  (0) 2011.07.24
:
Posted by uno-ani
Update :  http://osx86.tistory.com/79 


1. 응용프로그램>유틸리티 에 있는 Bootcamp Assistant(부트캠프 지원)를 실행한다.

BootCamp01


2. 윈도우 파티션 크기를 결정하고 파티션(Partition)한다.
(32GB까지는 FAT32포맷이 가능하지만 32GB이상사이즈는 NTFS포맷을 해야하므로 가능한 NTFS포맷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지만, FAT32포맷은 맥오에스 부팅시에 맥에서 윈도우파티션에 데이타를 넣을수가 있으나, NTFS포맷은 맥에서 데이타를 넣지를 못한다). 그러므로 우선 FAT32로 파티션 한 다음 차후 disk utility를 이용하거나 Paragon HDD Manager를 이용하여 파티션 크기를 재조정하는 것이 좋다.

bootcamp02




3. 윈도우 Xp Sp2 시디를 넣고 윈도우 XP 설치.. Start installation을 누른다.

 

4. CD 부팅시에 도스화면에 Press anykey to boot from CD........가 나오면 아무키나 누른다.
CD로 부팅이 되고 설치과정이 나오는 과정중에 설치 드라이브는 반드시 드라이브중 C드라이브를 선택 설치한다.(다른 드라이버 특히 D 드라이브등을 지우거나 하지 않는다.)

- 만약 다음과 같은 항목이 나온다면 4번을 선택한다.

1.Machintosh HD

2.Recovery HD

3. Windows

4. EFI Boot

 

5. 설치완료후.. 윈도우로 부팅이 된다.
(윈도우 설치과정중 맥북이나 맥북프로는 반드시 키보드종류를 3번으로 해야 한영전환시 쉬프트+스페이스바를 사용할 수 있다.)

 

6. 윈도우 부팅후에 레오파드 DVD 설치CD를 넣고 윈도우 장치드라이버를 설치한다.
그리고 추후 악성코드 검사 치료프로그램과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한다.




Boot Camp로 Lion(10.7)에서 윈도우즈7 설치하는 방법
http://manuals.info.apple.com/ko_KR/boot_camp_install-setup_10.7_kh.pdf

단축키 참고 : 
http://support.apple.com/kb/HT1171?viewlocale=ko_KR


Tips)
Mac OS X 10.7 Lion 부터는 Boot Camp 지원 어플리케이션에서 Windows 7을 USB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구형 시스템인 경우 Boot Camp 지원 어플리케이션에 제한이 있어 최신 기종이 아니면 USB를 이용한 설치가 불가능하다.

이때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usb로 윈도우즈를 설치해 보자.

Spotlight(Command+Space)에서 “System Information” 입력
시스템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하드웨어 탭에 Boot ROM 버전: 에서 앞의 코드명을 기억(예 MBA31)해 두자.
system_profiler

Finder에서 응용 프로그램->유틸리티의 Boot Camp 지원 우클릭 후 패키지 내용 보기를 클릭한다.
Contents/Info.plist 파일을 바탕화면에 복사한다.
텍스트 편집기로 열고 아래로 스크롤하여 USBBootSupportedModels 을 찾는다.
아래<array></array> 사이의 string들 중 하나를 변경한 후 저장한다.
예):<string>IM130</string>을 <string>MBA31</string> 로 변경
저장한 파일을 원본 파일에 드래그하여 덮어쓴다.
이제 Boot Camp 지원 어플에서 USB 설치관련 옵션이 사용 가능하다.
------------------------------------------------------------------------------------------------------------------

출처 : http://reviews.cnet.com/8301-31012_7-20020513-10355804.html http://iamghost.kr/b/archives/4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Update for Mountain Lion  (0) 2012.03.01
Font Location and Use  (0) 2012.02.19
Terminal 환경설정  (0) 2012.01.19
Mac Virtual Memory – Swap 파일 위치와 Disable 시키는 방법  (0) 2011.12.06
스케줄 & 잠자기 설정  (0) 2011.10.11
:
Posted by uno-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