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국민의힘 내부에서 12·3 비상계엄 1주년을 앞두고 “당 차원의 공식 사과를 해야 한다”는 초·재선 개혁파와, “지금은 아니다”라며 버티는 장동혁 대표·지도부 간 갈등이 정면충돌 직전까지 치닫고 있다. 김재섭 의원이 “12월 3일까지 장 대표가 사과하지 않으면 20여 명 의원이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공개 경고하면서, 12·3 계엄 사태 후유증이 당 진로·정체성·대선 전략을 가르는 분수령으로 부상했다.mk+5


12·3 비상계엄 사태 복기 ⚠️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7분, 윤석열 당시 대통령은 긴급 대국민 담화 도중 ‘비상계엄’을 전격 선포하며, 야당을 “반국가 세력”으로 규정하고 예산·탄핵 정국을 명분으로 들었다. 국무회의 사전 의결 없는 일방적 선포, 야당·여당 인사 체포 지시 정황 등이 드러나면서 국내외 여론은 이를 “자기 쿠데타(셀프 쿠데타) 시도”, “민주화 이후 첫 군사통치 시도”로 규정했고, 국회는 즉각 계엄 해제 결의·탄핵 절차에 나섰다.wikipedia+8

계엄은 수 시간 만에 국회·여론·군부 내부 반발로 사실상 무력화됐지만, 이후 윤 전 대통령과 관련 군·관료들이 내란음모·직권남용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 한국 민주주의·동맹 신뢰도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윤 전 대통령은 사흘 뒤 뒤늦게 사과했지만, 이후에도 “계엄은 반국가 세력에 맞선 정당한 통치행위”라고 주장해 논란을 키웠고, 결국 탄핵·파면으로 임기를 마감했다.internationalaffairs+5


국민의힘 내부 갈등: “사과로 강 건널 때 vs 아직 아니다” ⚔️

매일경제·조선일보 영문판 등에 따르면, 김재섭·김용태·김영호·박정훈 등 수도권·초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12·3 계엄에 대한 명확한 반성과 사과 없이 당 쇄신·중도 확장은 불가능하다”는 기류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일부 의원들은 “지도부가 움직이지 않으면, 우리끼리라도 국민 앞에 고개 숙이겠다”며 10~20명 규모의 공동 사과 성명·기자회견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chosun+5

반면 장동혁 대표와 지도부 핵심은 “현재는 이재명 정부·여당 견제와 민생·사법 이슈에 집중해야 할 때”라며, 계엄 사태 사과에 선을 긋고 있다. 장 대표는 “아직 그 얘기를 할 단계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12월 3일 국회 ‘12·3 다크 투어’ 행사에도 민주당의 정치쇼에 들러리 설 수 없다며 당 차원의 불참 기류를 형성하고 있다.chosun+2

인포그래픽 표 ① 국민의힘 ‘계엄 사과’ 전선 구조 🧩

진영주장대표 목소리정치적 계산아이콘
초·재선 개혁파 12·3 계엄에 대한 당 차원 사과·반성 필수.mk+4 김재섭, 김용태, 박정훈 등 수도권·비주류.mk+2 계엄과 결별해야 중도·청년 신뢰 회복. 🔄
지도부·친윤 잔류파 “지금은 아니다”, 사과 시기·형식 최대한 지연.mk+2 장동혁 대표, 일부 중진.mk+1 계엄 책임·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 두기 부담.
 
 

20여 명 집단행동 시나리오: 어떤 그림인가? 🧮

김재섭 의원은 YTN·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12월 3일까지 지도부가 사과 메시지를 내지 않으면, 본인이 먼저 사과하고 최소 10명, 많게는 20명 수준의 의원이 함께 메시지를 낼 것”이라고 했다. 그는 “협상단 구성 가능한 ‘교섭단체급 20명 정도’가 모인다면, 당내 역학을 흔들 수 있다”는 취지로 말하며, 필요 시 별도의 모임·모임명 공개 가능성도 시사했다.koreajoongangdaily.joins+2

조선·중앙 보도에 따르면, 이들은 당 지도부가 끝내 공식 사과를 거부할 경우

  • ① 국회 로텐더홀·광화문 등에서 ‘계엄 사과’ 기자회견,
  • ② 당내 ‘12·3 계엄 진상·책임 규명’ 기구 설치 요구,
  • ③ 전당대회·공천 국면에서 지도부·친윤계와의 차별화
    등을 단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당내 분당급 균열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반(反)계엄·반극단주의 보수”를 표방하는 새로운 계파·플랫폼 형성 신호로 읽힌다.biz.chosun+4

인포그래픽 표 ② ‘집단행동’ 예상 수순 🧭

단계내용정치적 효과아이콘
1단계 12·3 전후, 초·재선 중심 공동 사과 성명·기자회견.mk+3 지도부와 분리된 ‘계엄 책임 인정’ 프레임 형성. 📜
2단계 당내 진상 규명·규약 개정·인적 쇄신 요구.chosun+1 계엄 책임론을 공천·지도부 평가와 연결. 🧱
3단계 차기 지도부·대선 구도에서 개혁보수 플랫폼 구축.chosun+2 ‘반윤·개혁보수’ 독자 브랜드 가능성. 🚀
 
 

12·3 계엄과 한국 민주주의: 대외 평가 🌐

국내외 연구·싱크탱크 보고서는 12·3 계엄 사태를 “민주화 이후 첫 본격적 자기 쿠데타 시도이자, 제도·시민사회의 방어능력을 시험한 사건”으로 평가한다. 카네기·CSIS·호주 국제문제연구소 등은 군·국회·사법부·언론·시민사회가 몇 시간 만에 계엄을 되돌린 점을 ‘민주적 회복탄력성’ 사례로 들면서도, 보수정당이 계엄 책임을 명확히 인정·정리하지 못할 경우 향후 유사 상황 재발 가능성을 경고했다.carnegieendowment+5

또한 미국 의회조사국(CRS)·국제 언론은 윤 전 대통령의 계엄 시도가 한미 동맹의 ‘가치 동맹’ 정당성을 훼손하고, 한국 보수 진영 전체의 민주주의 신뢰를 떨어뜨렸다고 분석한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이 계엄에 대한 당 차원의 평가·사과·재발 방지 약속을 내놓느냐 여부는, 국내 선거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 한국 보수의 정통성을 회복하는 데도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congress+3


네이버 블로그용 핵심 해시태그 세트 🔖

  • #12월3일비상계엄 #윤석열계엄사태 #셀프쿠데타 #민주주의위기 #한국정치
  • #국민의힘 #장동혁 #김재섭 #초선의원집단행동 #계엄사과논란 #보수개혁
  • #국회탄핵 #정권교체 #민주주의복원 #정당책임정치 #한국보수미래
  • #남한정치위기 #국제평가 #민주주의회복탄력성 
  1. https://www.mk.co.kr/en/politics/11479262
  2. https://www.chosun.com/english/national-en/2025/11/26/VWHMVBMWO5AYVM5NKFY5D5ARRU/
  3. https://www.chosun.com/english/national-en/2025/11/25/PDACPCBKR5BTNJQQAPJIJ76MBA/
  4. https://www.mk.co.kr/en/politics/11478654
  5. 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2025-11-27/national/politics/PPP-voices-urge-party-apology-as-Dec-3-martial-law-anniversary-approaches/2464997
  6. https://biz.chosun.com/en/en-policy/2025/11/26/QA3V4O3ASBFCFKMEITMVQ7ZDWM/
  7. https://en.wikipedia.org/wiki/2024_South_Korean_martial_law_crisis
  8. https://www.internationalaffairs.org.au/australianoutlook/2024-martial-law-crisis-in-south-korea-and-democratic-resilience/
  9. https://carnegieendowment.org/emissary/2024/12/south-korea-martial-law-foreign-policy-us-alliance?lang=en
  10. https://www.csis.org/analysis/yoon-declares-martial-law-south-korea
  11. https://blog-iacl-aidc.org/2024-posts/2024/12/5/martial-law-in-south-korea
  12. https://www.congress.gov/crs-product/IN12474
  13. https://carnegieendowment.org/research/2024/12/yoons-failed-political-coup-and-south-koreas-mounting-crisis?lang=en
  14. https://www.grkorea.com/insights/news/declaration-repeal-overnight-martial-law-korea
  15. https://www.iconnectblog.com/a-nightmare-of-emergency-martial-law-in-south-korea-followed-by-charges-of-insurrection-and-impeachment/
  16. https://en.wikipedia.org/wiki/Draft:Martial_law_under_Yoon_Suk_Yeol
  17. https://en.asiatoday.co.kr/view.php?key=20251127001018418
  18. https://www.chosun.com/english/national-en/2025/11/21/XZPLKWJZMBB37M7JTYT5VWC3CI/
  19. https://www.msn.com/ko-kr/news/politics/%EC%86%8D%EB%B3%B4-%EA%B5%AD%ED%9E%98-%EC%B4%88%EC%84%A0-%EC%9E%A5%EB%8F%99%ED%98%81-%EB%8C%80%ED%91%9C-%EC%82%AC%EA%B3%BC-%EC%95%88%ED%95%98%EB%A9%B4-20%EC%97%AC%EB%AA%85-%EC%A7%91%EB%8B%A8%ED%96%89%EB%8F%99-%ED%95%A0-%EA%B2%83/ar-AA1RifWC?ocid=socialshare&cvid=7b53b77e1a1e4386e3a5499b63400f23&ei=16
  20. https://en.wikipedia.org/wiki/2024_South_Korean_protests?oldformat=true
  21. https://ggachi.substack.com/p/post-123-martial-law-chronology
  22. https://en.yna.co.kr/view/AEN20250512001052315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