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5/11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09. 2. 16. 12:00

Devonthink Pro Office Real Life2009. 2. 16. 12:00



  • Windows 에서 MAC으로 시스템을 전환하며 다양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마음에 든다.
  • 마치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의 X-windows/Motif 를 보았을때의 감흥이라고 해야 할까?
  • 당근 최근에 나온 OS이므로 확실히 강력하고 기능 또한 탁월하다.
  • iTunes로 음악듣고 혹은 Mojo로 음악을 듣거나 필요한 음악을 다운로드 한다.
  • 한화면에는 필요시마다 Vmware로 XP 정말 가끔식 실행해준다.
  • 동시에 Linkinus 나 Coolquy로 irc 채팅하며 기타 정보를 확보한다.
  • 그리고 MACJournal로 메모 혹은 필요한 글을 쓴다.
  • 동시에 Safari로 웹서핑을 한다.
  • DeavonAgent로 웹서치해서 통계치 받아오고 그걸 DevonThink Pro로 개인DB화(KMS, 개인지식DB)시켜 저장한다.
  • Sticky로 간단한 그림은 수정해서 MACJournal에 가져다 붙인다.
  • 동시에 비즈니스 Mail 확인하구 iCal로 스케줄 점검하고 5분 간격으로 SmartPhone으로 외부에서도 확인가능하게 Google Calandar와 연동시킨다.
  • 또한 메일 전송후 수신자에게 Nateon 월 100건 무료문자를 이용해서 문자 보낸다.
  • 가끔 Adobe PhotoShop돌린다.
  • 다른 화면에는 Spore Game 가끔식 해 준다.
  • 또 다른 화면에는 Moviest 돌려서 심심하면 미드 한편씩 보고 있다.
  • MoneyWell로 실시간 재정관리한다.
  • 신한은행 EzPlus로 인터넷 뱅킹이용해주고 있다.
  • Numbers로 엑셀파일 열어서 보고서 작성한다.
  • 동시에 담주에 고객에게 전달할 제품소개자료 KeyNotes로 만든다.
  • 제품소개서 작성시 필요한 그림파일을 찾기 위해 Cooliris 로 검색해주면서 가끔식은 iWeb으로 학원 알림장 써준다.
  • Speed Download로 햔편에서는 다운로드도 받는다.
  • 이 모든 것을 한화면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Space/Expose를 이용하여 화면전환하여 가며 작업할 수 있다는 것이 환상적이다.

  • DevonThink


    DevonThink


:
Posted by Ritz®™
quick look at features of OSX 10.6 A.K.A Snow Leopard 


  • Support for connecting to Microsoft Exchange 2007 servers will be included in Address Book, Mail, and iCal.
  • Faster installation times and smaller hard drive footprint. About 13 minutes versus an hour plus for 10.5. 
  • Support for up to a theoretical 16TB RAM[2] by further developing 64-bit kernel technologies.
  • Grand Central: a parallel-programming technology that aims to have the OS take greater advantage of multi-core CPUs.
  • QuickTime X which will feature optimized support for modern codecs.
  • OpenCL (Open Computing Language): allowing developers to code applications to use the GPU for non-graphics purposes.
  • A 64-bit kernel which provides a complete 64-bit environment for applications, along with 32-bit support for older Macs. This completes a long running attempt by Apple to completely unify their products in 64-bit capabilities, dating back to Apple’s original adoption of the PowerPC in 1994 which was planned to become natively 64-bit with the PowerPC G5 and slowly built into OS X starting with Mac OS X v10.3 “Panther” in 2003
:
Posted by Ritz®™
Mac OS X 10.7~10.8에서는 맥북에어,맥미니,레티나 맥북프로 기종만 8GB USB메모리를 이용하여 윈도우7 설치가 가능하다.
Mac OS X 10.4~10.6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맥북프로만 8GB USB를 이용하여 윈도우7 설치가 가능하다.

MA199KH 아이맥

iMac [Core Duo] 1.83 17-Inch

2006년 1월 1일 처음 인텔아이맥 출시

MacOS X 10.4.4  기본 제공, 부트캠프 1.4 베타버전 별도 애플사에서 다운로드 제공함


MB323KH 아이맥

[Core 2 Duo] 2.4 20-Inch (Early 2008)

2008년 4월28일 출시

MacOS X 10.5.2 제공. 부트캠프 2.0 정식버전 MacOS X에 기본 포함 제공함


MB950KH 아이맥

iMac [Core 2 Duo] 3.06 21.5-Inch (Late 2009)

2009년 10월 20일 출시

MacOS X 10.6.1 제공. 부트캠프 3.0 정식버전 MacOS X에 기본 포함 제공함



MC978KH 아이맥
iMac [Core i3] 3.1 21.5-Inch (Late 2011)
2011년 8월 8일 출시
MacOS X 10.7 제공. 부트캠프 4.0 정식버전 MacOS X에 기본 포함 제공함
(별도 설치CD는 제공하지 않고 아래 그림과 같이 다운로드 받는다.)
-------------------------

BootCamp 드라이버 다운로드 받기 및 BootCamp에 Windows 설치하는 방법

준비물: 8G USB
사전 준비작업 : http://osx86.tistory.com/1200 혹은 http://osx86.tistory.com/715 , 둘중의 편리한 방법을 사용한다.



- 위 그림에서 파티션 설정시 기본적으로 20G가 BootCamp파티션에 할당되어지고 사용자는 필요한 공간만큼 주황색 부분을 좌우측으로 조절하여 윈도우즈 파티션 크기를 설정하여 준다.

-BootCamp 드라이는 "Apple에서 최신 Windows지원 소프트웨어 다운로드"를 선택하였다면 8G USB메모리 스틱에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면 된다. 

재부팅하여 옵션키(ALT)를 누르고 있으면 USB 혹은 윈도우즈 설치 DVD를 선택하여 BOOTCAMP 파티션에 윈도우즈를 설치한다.

- 윈도우즈를 설치할때 위 그림과 같이 BootCamp파티션이 fat32로 포맷되어 있으므로 반드시 NTFS(빠른 포맷)을 실행하여 주고 설치진행한다.

- 만약 윈도우즈를 로딩하고 블랙 스크린이 보인다면 맥에 rEFit을 설치하고 다시 진행하세요.

[rEFit 다운받기]

* 만약 위 그림에서 파티션 결함으로 Windows 파티션 생성이 되지 않는 다면 다음 글과 같이 파티션 복구를 하고 그래도 안되면 지우기를 실행하여 Mac OS X 를 재설치하여 주어야 한다.

http://osx86.tistory.com/1145


최종적으로 윈도우즈를 성공적으로 설치하였다면 WinClone을 이용하여 백업을 받아두면 차후 윈도우즈 문제 발생시 재설치하지 않고 바로 복원을 하여 BootCamp윈도우즈를 사용할 수 있다.

Boot Camp

WinClone으로 부트캠프 파티션 백업/복원하기 : http://osx86.tistory.com/1345

- 마지막으로 부트캠프 파티션의 윈도우즈 제거하는 방법 

 2012-10-09  3.19.58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iceOver Utility  (0) 2009.10.24
Mac OS X 10.6.2 build 10C531  (0) 2009.10.23
Mac OS X 에서 시동디스크 설정하기  (0) 2009.05.11
새로운 사용자 계정 생성하는 방법  (0) 2009.03.09
10.6: Enable native NTFS read/write support  (0) 2009.02.02
:
Posted by Ritz®™
2009. 2. 16. 00:00

디스크 이름 바꾸기 Hackintosh/Tip2009. 2. 16. 00:00

디스크 이름 바꾸기 

1. 바꿀 디스크를 우측마우스로 클릭

   

2. 다음 그림과 같이 Name & Extension 에서 이름을 입력 끝

:
Posted by Ritz®™
2009. 2. 15. 23:31

전력선 모뎀 etc2009. 2. 15. 23:31

집에 랜선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존 벽면에 시공되어 있는 전력선을 랜선으로 사용하는 제품

미관상 덕지 덕지 랜 케이블 설치할 필요없이 전원 콘센트에 아래 그림과 같이 전력선 모뎀만 연결하여 주면 끝.

- 한쪽은 인터넷 공유기 혹은 인터넷 라인,

- 그리고 다른쪽은 컴퓨터에 연결


전력선 모뎀


:
Posted by Ritz®™
2009. 2. 15. 23:31

CandyBar 사용하기 Application2009. 2. 15. 23:31

CandyBar 사용하기 

Update : 공개키를 입력하는 방법.
Panic 사에서는 공개키를 제공하고 있다.  물론, 기술지원은 안된다. 
Universal serial number: PPQA-YAMA-E3KP-VHXG-B6AL-L




의외로 간단합니다. 

1. CandyBar를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합니다. 

2.웹사이트에서 CandyBar용 아이콘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3. 다운로드 받은 Icon 패키지를 클릭하면 CandyBar가 실행됩니다. 

4. 그림과 같은 순서대로 적용합니다. 

걍 클릭 클릭 클릭 끝! 




:
Posted by Ritz®™
2009. 2. 15. 12:10

Space 사용 macOS/Snow Leopard2009. 2. 15. 12:10

Leopard가 출시되면서 기존 Tiger에서 추가된 기능중 하나가 Expose와 Space기능이 아닌가 한다. 
특히 포토샵을 하면서 동시에 이메일 확인, 웹검색, 일정관리, 메신저, 기타 등등을 동시에 수행해야 할 때가 많다. 
이럴때 윈도우즈에서 흉내내지 못할 기능중의 하나가 이 space기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 
즉, 추가 어플리케이션 설치가 필요없이 기본적으로 지원이된다는 애기이다.
물론, 윈도우즈에서도 추가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면 이런 기능 정도는 사용할 수 있다라고 하겠지만,,,,,
 Leopard에서는 기본 기능중의 하나이다. 

1. 먼저 환경설정을 클릭한다.
mk200000000000.jpg

2. 환경설정에서 Expose/Space를 클릭한다. 

kk360000000000.jpg

3. 다음 그림과 같이 Space 기능을 활성화한다. 물론 그림과 같이 행/열 수도 추가/감소가 가능하다. 

lk350000000001.jpg

4. 이제 F8 펑션키를 눌러보자. 그리고 그림과 같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마우스를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랍으로 다른창으로 옮겨보자. 



5. 이 기능들 때문에 맥을 한번 사용하기 시작하면 윈도우즈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게 아픔이다.

:
Posted by Ritz®™



  • 사파리(Safari)를 실행한다.
  • 사파리의 환경설정(Preferences)을 실행한다.
  • 환경설정의 확장프로그램(Extensions)을 선택한다.
  • 확장프로그램에서 “Yontoo” 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제거한다.
  • 확실히 하기 위해서 확장 프로그램을 끔(Off)으로 설정한다.








  •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