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11/5 »

  • 29
  • 30
  • 31
2011. 5. 31. 16:18

Apple사가 맥북 하단부 무상교체 제공 News2011. 5. 31. 16:18

Apple사는 케이스 하단에서 고무부분이 분리가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9년 10월 부터 2011년 4월 사이에 출하되는 맥북을 보유중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교체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현재의 워런티와 관계없이 맥북 소유자에게 해당됩니다.

Apple사는 케이스 교체에 대한 세 가지 선택사항을 제공합니다 :
1. Apple사에 연락하여 약속을 정하고 애플 매장 방문,
2. 또는 애플 공인 서비스 제공 업체를 방문
3.
온라인으로 대체부품을 주문하여 셀프 서비스,  대체 케이스 키트에는 새로운 바닥 케이스, 나사, 필립스 헤드 드라이버와 구 부품과 새로운 부품의 설치 제거에 대한 지침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제로 인하여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비용을 지불한 고객은 또한 Apple사에 환불에 관한 문의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교체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 ^

이 프로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구입 일로부터 2 년 동안 제공될 것입니다, 하지만 보증기간을 연장하지 않습니다.

:
Posted by uno-ani

많은 사용자들이 멀티부팅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HDD 구성을 고려한다.
1TB HDD 2개, 2TB HDD 1개, SSD 의 액세스 속도, 

성능을 고민하여 본다면 OS X는 우선 AHCI 콘트롤러를 이용

물리적으로는 SATA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진 각각의 채널의 독립적인 성능을 보장
과거 IDE 방식처럼 상호간의 채널간섭에 의해 가장 속도가 느린 HDD 액세스 속도에 성능이 맞추어졌다면 SATA방식은 각각의 채널의 독립적인 성능을 보장받을 수 있다.  만약 두개의 제각기 다른 크기의 HDD액세스 속도가 동일하다는 조건이라면 이론상으로는 섹터수가 적은 1TB HDD를 2개 사용하는 것이 성능상 우위를 확보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수 ms 정도밖에 차이가 나질 않아서 체감상 느끼지는 못하겠지만 이론적으로는 그렇다. 


CASE 1. 우선 윈도우즈와 OS X하드디스크를 따로 사용할때

아래와 같이 기존 윈도우즈가 설치된 하드디스크 앞부분이 뒤부분에 대략 320MB 정도의 크기를 할당하여 Chameleon 부트로더를 설치하여 줍니다.

그림1.

스크린샷 2011-05-03 11.10.56 PM-1

위 그림에서와 같이 disk1s1 에 Chameleon을 설치하여 윈도우즈(disk1s2)와 OS X(disk2s2)를 멀티부팅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 유틸리티로 본다면 다음과 같이 되겠지요.

그림2.

스크린샷 2011-05-31 9.48.27 AM

응용

물론, disk1s1을 기존에 설치된 윈도우즈로 이용하고 부트로더 파티션(disk1s2, 대략 320MB이상)을 하나 추가하여 disk1s2에 Chameleon을 설치하여도 멀티부팅이 가능합니다.

*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파티션 크기 조절하는 방법(재포맷하지 않고 기존 데이타를 보존할 수 있어 좋다.)
   마우스로 빨간 부분을 클릭하여 위로 끌어올려서 파티션 크기를 조정한다. 

Resize01


파티션 조절은 윈도우즈에서 Acronics나 Paragon HDD Manager 등을 이용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림3. 파라곤 하드디스크 매니저를 이용한 파티션 크기 조정

Move_or_Resize_Partitions_with_Paragon_Hard_Disk_Manager_1

그림4.

Move_or_Resize_Partitions



CASE 2. 파티션을 나누어 윈도우즈와 OS X하드디스크를 동일한 한드디스크에서 사용할때

위 그림 1과 2에서 1번째 파티션이 윈도우즈(disk0s1)이고 2번째 파티션이 OS X(disk0s2)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OS X파티션에 Chameleon을 설치하여주면 멀티부팅이 가능합니다. 즉, 그림 1과 2에서처럼 따로 부트로더 파티션을 만들지 않고 윈도우즈 파티션(disk0s1)은 그대로 유지하고 OS X 파티션(disk0s2)을 추가하여 OS X를 설치하고 OS X 파티션에 Chameleon을 직접 설치하는 방법이다.

스크린샷 2011-06-12 4.33.36 PM


공통사항

* Tip Maintenance HD(대략 10-20G 정도)를 추가 생성한 이유는 OS X 재설치를 하지 않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동일하게 Machintosh HD(OS X) 와 Maintenance HD 파티션을 생성하여 Mac OS X 를 두 파티션에 설치한 후 /Extra 폴더까지 동일하게 설치한다.

즉, 부팅할때 Windows, Machintosh HD, Maintenance HD로 부팅이 가능하게 만든다.

이때 Maintenance HD에는 Machintosh HD의 /Extra 폴더만 동일하게 복사하여 준다.

만약 Machintosh HD에 드라이버 설치, 시스템 구성이 잘못되어 부팅이 안되어도 Maintenance HD로 부팅하여 수정이 가능하게 이중으로 만들어 주는 방법으로 반복적인 시스템 설치작업을 피할 수 있다.

이 즈음에서 HDD에 반복적인 Mac OS X 설치는 간단하게 HDD 피로도 이외에도 다음글과 같이 다양한 이슈를 발생할 수 있다.

http://osx86.tistory.com/1508http://osx86.tistory.com/1515

물론, 최근의 HDD와 SSD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이 40K 부트블락 이슈 등도 있다.  즉, 부트로더 재설치시 혹은 윈도우즈 설치후 부트로더를 설치하면 윈도우즈가 부팅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하거나 부틀더를 재설치하여도 부트로더가 설치가 안되는 다양한 이슈가 발생한다.


다음 단계는 Chameleon을 Multibeast로 설치하여 주고 Chameleon Wizard를 이용하여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줍니다. 물론, 기존에 Chameleon을 사용하고 있었다면 Extra폴더를 백업받아 두었다가 Chameleon을 설치하고 난 이후 Extra 폴더를 복원시켜 주면 된다.


위와 같이 파티션을 나누어 윈도우즈들과 Linux를 설치해준 다음 마지막으로 OS X 를 설치하고 난 후 멀티비스트를 이용해서 카멜레온 부트로더만 설치해 주면 멀티부팅작업은 끝난다.
물론, OS X 에서 /Extra  폴더는 자기 메인보드와 시스템에 맞는 화일들로 대체하여 주어야 한다. 
 
그림5.

스크린샷 2011-05-30 7.18.52 PM


만약 필요하다면 Chameleon Wizard를 이용하여 최신 부트로더로 업데이트하여 줍니다.

그림6.

Chameleon Wizard


:
Posted by uno-ani
2011. 5. 31. 02:39

CUDA 4.0 Update macOS/Update2011. 5. 31. 02:39

CUDA 4.0 Update

스크린샷 2011-05-31 2.27.25 AM

:
Posted by uno-ani

Apple on Friday seeded the third build of Mac OS X 10.6.8(10K531) to developers, with no known issues.

스크린샷 2011-05-29 9.22.07 AM


:
Posted by uno-ani
2011. 5. 27. 09:33

Mountain/Lion 복구 또는 재설치하는 방법 macOS/Lion2011. 5. 27. 09:33


사전지식 : http://osx86.tistory.com/389

- 재설치를 할때는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 또한 Apple ID와 암호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 모르면 설치가 안된다. 그래서 똥팔이들이 이를 악용하여 무조건 재설치를 권하기도 한다.  똥팔이 덫에 걸려들면 똥팔이들 쇠고기 먹는 날을 알아서 진상하게 되는 셈이다. ^ ^
- 물론 일부 유저들은 폰트를 잘못 설치하여 맥 시스템이 윈도우즈 처럼 느려진다고 불평하는 경우도 있다.  뭐 어쩔 수 없다.
- 머리가 나쁘면 손발이 힘든 법이다. 

하지만 재설치를 하게되면 기존의 iLife제품, iMovie, iPhoto, iWeb 등은 재설치되지 않는다.  즉, 구매를 해야 하므로 재설치할때는 이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물론, 기존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도 재설치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디스크 복구, 디스크 포맷, Mac OS X 재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므로 각기 해당부분만 참고하기 바란다.

우선 부팅이 안될때 디스크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복구하는 방법

I. 디스크 복구하는 방법

1. 맥부팅시 키보드에서 커맨드 +R키를 계속 누르고 있는다.
([Recovery HD]로 부팅이 된다)

Recovery HD
순서대로
- 타임머신 백업 데이타 복구
- Mac OS X 재설치
- 온라인 도움말
- 디스크 유틸리

2. [디스크 유틸리티]를 선택 실행한다.

3. 디스크 파티션을 선택하고 검사/복구 탭을 선택한 다음 다음 두가지 작업을 한다.
 - 디스크 권한 복구
 - 디스크 복구



diskutility

II. 재설치하지 않고 공장 초기화하는 방법

이 방법은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무언가 문제가 있을때 기존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타를 유지하면서 공장초기화하는 방법이다. 

- http://osx86.tistory.com/389


III. 디스크 포맷하는 방법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지우기 탭을 눌러서 해당 파티션을 지우기 한다.
- 이때, Recovery HD 파티션은 절대 지워서 포맷하면 안된다.  이후 Mac OS X 를 설치하거나 맥시스템 유지보수를 해야할때 반드시 필요한 파티션이다.

diskutility

- 파티션 추가하는 방법
partition



IV. Mountain Lion 혹은 Lion 재설치하는 방법

IV-1.  [Recovery HD]도 지운경우

인터넷 복구 모드(부팅시 커맨드 +옵션 + R키를 누른다.)를 실행하여 사용할수 있는 와이파이 신호를 연결해서 진행한다.

1) 지구본 모양이 나오고..그 밑에서 무선 와이파이를 선택하여 연결한다.
2) 와이파이로 인터넷이 연결이 되면 지구본그림하단에 진행막대가 보인다.(충분히 기다려야 한다)
3) 인터넷모드로 부팅이 되면 주 사용언어를 선택하고 [디스크 유틸리티]를 선택하고 내장하드를 포맷한다.
4) MacOS X 설치를 진행한다.
참고 : [인터넷 복구 모드 동영상 보기]

IV-2. 디스크 유틸리티를 끝마치면 첫번째 그림으로 돌아갈 것이다. 이때 재설치를 선택하여 설치한다. 
- 재설치를 할때는 반드시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 또한 Apple ID와 암호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
- 가능한 재설치는 USB를 이용하여 재설치하는 방법을 권한다. : http://osx86.tistory.com/1456

하지만 재설치를 하게되면 기존의 iLife제품, iMovie, iPhoto, iWeb 등은 재설치되지 않는다.  즉, 구매를 해야 하므로 재설치할때는 이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물론, 기존에 설치된 모든 어플리케이션도 재설치해야 한다.

Recovery HD

- 설치과정 : http://osx86.tistory.com/1320

-Mountain Lion 설치과정이지만 유사하다.




'macOS > L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on DP4-2 Update(11A494a)  (0) 2011.06.16
Lion DP4  (0) 2011.06.11
Lion Update DP3(11A459E)  (0) 2011.05.14
Lion용 Atom CPU를 위한 커널  (0) 2011.05.02
Lion DP2 Update 10.7  (0) 2011.05.01
:
Posted by uno-ani

Intego라는 회사에서 새로운 "MACDefender" 멀웨어 변종 바이러스를 발견했다고 하는데 윈도우즈시스템처럼 설치시에 관리자 패스워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고 합니다.


UNIX특성상 관리자 패스워드 없이 어플리케이션 폴더에 설치되므로 사용중인 계정에 한해 실행되어지는 지극히 초보적인 바이러스입니다.  즉, 시스템이나 다른 계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맥에서도 바이러스 다운 바이러스를 보고 싶어하는 이 열정,,  T  T 


자동 실행되는 avRunner라는 다운로더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폴더에 패키지가 설치되어지는데 동시에 이 패키지는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해 스스로 제거되어집니다. 

나름 바이러스 모양새를 취할려고 노력한 흔적이 역력해 보입니다.

두번째 파트의 멀웨어는 MacGuard라는 새로운 버전의 MacDefender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이것은 avRunner에 의해 avRunner 어플리케이션의 리소스 폴더에 숨겨진 이미지 화일 형식으로 특정 ip주소에서 다운로드 되어집니다.

어제 늦게 Apple사에서 Mac Defender malware 에 대한 제거방법을 발표했었는데 이 새로운"MacGuard"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사항이 Apple사에서 배포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에 포함될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었지만 이미 포함되었군요.

좀 내버려 두지 ...

몇 년 만에 한번 볼까 말까하는 바이러스인데 그걸 싹둑 잘라버리면 어떡하냐구....  된장!!

바이러스가 UNIX의 강력한 보안기능을 뚫기에는 힘들겠지만 점점 진화하고 있군요 라고 생각했는데 개발자가 개발 포기했군요.  T T

윈도우즈 시스템에서는 그나마 개발이 쉬웠는데 UNIX는 더 이상 진화할 hole이 안보인다는 것이 개발자의 변이었답니다.


Mac OS X 에서도 백신 프로그램이 필요한 시대가 올 수 있을까요?

무료 백신도 있긴 합니다만, 당최 백신이라는 것이 생소한 맥에서... ㅋ ㅋ 혹시나 해서 백업을 위해서,,,

http://www.sophos.com/en-us/products/free-tools/sophos-antivirus-for-mac-home-edition.aspx

Mac OS X 에서 백신 설치할 날이 언젠가는 있을까? 라고는 하지만 절망적이다.

UNIX는 너무 완벽해져 버린건가?

하지만 용팔이들은 사용자들에게 백신 프로그램 설치 권유를 주저하지 않는다.  왜? 소고기 먹어야 하니까....ㄷ ㄷ ㄷ ㄷ ㄷ ㄷ

참고 : 용팔이들의 세가지 수법

'macOS > Vir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Defender malware 제거방법  (0) 2011.05.25
피싱 멀웨어 이메일  (1) 2011.05.23
:
Posted by uno-ani
2011. 5. 25. 12:28

Mac Defender malware 제거방법 macOS/Virus2011. 5. 25. 12:28

Apple사에서 Mac Defender malware 에 대한 제거방법을 발표하였습니다.
원문 : http://j.mp/mqxJSQ

해결방안

1. malware설치를 피하는 방법

바이러스나 혹은 security software 를 설치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사용중인 Safari 나 혹은 다른 브라우저를 즉시 종료합니다. 만약 일반적인 방법으로 종료되지 않는 다면 왼쪽위 사과마크를 클릭하여 강제종료를 이용하여 종료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브라우저에서 자동다운로드를 하여 멀웨어 소프트웨어 설치가 시작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관리자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말고 즉시 설치를 취소하고 다음 단계를 수행합니다.

  1. 먼저 다운로드 폴더나 혹은 브라우저에서 지정된 다운로드 폴더로 이동합니다.
  2. Installer(인스톨러)를 휴지통에 드래그하여 버립니다.
  3. 휴지통을 비웁니다.

2. malware 제거 방법

만약 멀웨어를 이미 설치하였다면 다음 단계를 진행하여 주세요.:

  • 어떤 상황에서도 신용카드 정보를 입력하지 마세요.
  • 그리고 다음과 같이 제거과정을 실행하세요..

3. 제거 과정

  • 검색중인 윈도우를 이동하거나 닫으세요.
  • 어플리케이션 폴더의 유틸리티에서 활성상태보기를 실행합니다.
  • 모든 프로세서를 선택합니다.
  • 스크린샷 2011-05-25 12.32.33 PM-1
  • 프로세서 이름 중에서 다음과 같은 프로세서를 선택하여 주세요. : MacDefender, MacSecurity 혹은 MacProtector
  • 그리고 프로세서 종료를 클릭합니다.
  • 활성상태보기를 종료합니다.
  • 어플리케이션 폴더를 열어봅니다.
  • MacDefender, MacSecurity, MacProtector 혹은 관련된 프로그램 을 선택합니다.
  • 휴지통에 버리고 휴지통을 비웁니다.

멀웨어는 또한 시스템 환경설정의 계정의 로그인 항목에도 설치가 됩니다. 로그인 항목에서 멀웨어는 굳이 제거하지 않아도 되지만, 다음 과정과 같이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시스템 환경설정의 계정에서 로그인 항목을 선택합니다.
  • 역시나 위 과정에서 제거하였었던 MacDefender, MacSecurity, MacProtector 등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합니다.
  • 다음그림과 같이 마이너스(빼기)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하여 줍니다.

스크린샷 2011-05-25 12.51.37 PM-1

다시 다운로드 폴더로 가서 위 1. malware설치를 피하는 방법을 수행합니다.

Note: Apple사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나 혹은 Apple Support Downloads 사이트에서 보안업데이트를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민감한 온라인 개인정보를 물어올때 주의하여야 합니다.

'macOS > Vir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MACDefender" 멀웨어 바이러스 발견!!  (0) 2011.05.26
피싱 멀웨어 이메일  (1) 2011.05.23
:
Posted by uno-ani



"LOogic 9.1.4" Update


:
Posted by uno-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