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5 »

  • 1
  • 2
  • 3
  • 25
  • 26
  • 27
  • 28
  • 29
  • 30
  • 31

다음과 같은 상황에 이런 방법을 적용하면 유용하다.


- 기존 시스템을 잘 사용하다가 생각치 못한 문제로 다시 설치해야 할 경우
- 처음 설치되었던 부분을 백업 받아 두고 싶은 경우
- 그래픽 카드등의 설정진행시에
- 파티션을 다시 잡아 주어야 할 경우

물론 이러한 경우 설치에 익숙하다면 문제없이 설치할 수 있지만 가령 익숙하더래도 귀차니즘은 어쩔 수 없는 듯....

아래 그림 많이 보셨지요? 네 유틸리티 > 디스크 유틸리티 를 실행한다. 복원 탭을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랍으로 소스와 대상을 지정하여 준다. 물론, 대상파티션은 소스 파티션보다 적어도 동일하거나 커야 합니다.

Backup-1

screen-capture-7-1

당근 이렇게 하드디스크를 통째로 복사하고 난 후 리얼맥은 바로 부팅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반 PC에 설치한 OS X 는 반드시 Boot Loader(Chameleon, XPC, Boot Think 등)는 다시 하드디스크에 설치해 주어야만 부팅이 가능합니다.
:
Posted by Ritz®™
2011. 10. 14. 19:09

해킨토시 설치 개요 Hackintosh/Install2011. 10. 14. 19:09


Update :  그동안 수 많은 사용자들이 macOS를 일반PC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전체적인 개념 정리를 위한 것일 뿐 안정적이고 전문적으로 사용하려는 사용자들을 위한 글은 아니다.  일반적인 개념보다는 조금 더 전문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원한다면 아래 카페의 글들에서 다양한 견적들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스펙에 대한 정보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단 OS X 를 pc에 설치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I. VMware 등의 가상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설치방법

VMware 등의 가상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가상머신에 Retail DVD이미지 나 해킨배포본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쉽게 설치할 수 있지만 사용상의 제약이 따릅니다. 이를테면 iWork나 iLife 등은 사용할 수 없어 키노트 등의 프리젠테이션용 소프트웨어 등은 사용 불가능합니다.
단순히 그리고 오로지 Xcode를 이용한 아이폰 앱개발용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j.mp/e536VK


II. Native 설치방법

가상머신에 설치하는 방식에 비해 시스템 스펙을 심하게 고려해야 하고 설치방법이 아주 어렵습니다. 하지만 한번 설치한후에는 OS X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II-1. 해킨배포본 DVD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
시스템 스펙을 알면 사용자화에서 시스템칩셋에 맞게 옵션선택을 할 수 있어 비교적 쉽게 설치할 수 있지만 Appl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이용한 업그레이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하고 난 이후 다시 자신의 시스템에 맞는 해킨 드라이버를 재설치해야 합니다.

II-2. boot 시디와 Apple사의 정품 Retail DVD이미지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설치사례가 있다면 쉽게 설치할 수 있겠지만 노트북 같은 경우 설치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Apple사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하여 업그레이드가 손쉽게 가능합니다.


참고 ; http://j.mp/lsKy34



1. 아이폰 앱개발용이라면 VMware 가상머신에 설치하여도 앱개발은 가능합니다. 네 앱개발만 가능합니다. iLife, iWork 등 그래픽 가속을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맥어플리케이션은 구동할 수 없습니다. 당연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행하면 부팅불가능하게 됩니다. ^ ^
사실 이 방법을 권하는 것은 Native설치방법에 비해 가상머신에 설치하는 것이 훨씬 간단하고 쉽기도 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법으로 설치할때는 반드시 버전을 정확하게 매치해야 합니다. 물론, Native 설치시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하나라도 이렇게 저렇게 조금이라도 바뀐다면 네 설치 안됩니다.

2. 물론 VMware 가상시스템에 설치하지 않고 Native 설치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설치할려면 시스템 스펙이 아주 아주 중요합니다.

보통 OS X 설치 질문을 할때는 cpu-z를 이용하여 시스템 사양을 자세히 올려야 설치가능한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3. 시스템 스펙이 파악이 되었다면 시스템 스펙에 맞는 설치가이드가 있던가 아니면 일반적인 설치방법을 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설치방법
참고1 : Rebel EFI (1)
참고2 : iBoot CD (2)

기타 다양한 설치방법 : 해킨토시 - 5. 다양한 설치방법
그래픽 카드 설정하는 일반적인 방법 : NVidia/ATI 계열 그래픽 카드 설정하는 방법- 해킨토시

4. 기존 윈도우즈를 건드리지 않고 OS X 를 설치하고 선택부팅(멀티부팅?)하기 위해서는 Paragon HDD manager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티션을 새로이 만들어 줍니다. 이때 기존 윈도우즈 파티션 크기를 조절(resize)하여 주고 난 후 Mac OS X 용 파티션을 생성하여 줍니다.

OS X 10.6.6 in Intel dh67cl mobo

5. 왜 윈도우즈 처럼 대충 시디넣고 설치하면 되지 않을까?라는 의문이 들텐데 Mac OS X 운영체제가 원래 일반 PC에 설치할 수 없는 운영체제입니다. 이걸 일반PC에 설치가능하게 일부 무명의 개발자들이 부팅가능하게 하기 위한 부트로더와 일반PC를 위한 드라이버를 개발했습니다.
따라서 모든 PC 부품을 위한 드라이버가 개발되어 있지 않습니다.
결과적으로 Mac 에 가장 근접한 하드웨어를 사용한 시스템이 설치하기도 쉽고 안정성도 뛰어납니다.
그래서 보통 다음과 같은 하드웨어가 좋습니다.

5-1. Intel CPU
5-2. Intel chipset 마더보드, 보통 기가바이트 보드나 asus 보드가 호환성과 안정성이 뛰어납니다. MSI 보드나 Aslock 메인보드 같은 경우 특히 국내 메이커의 메인보드는 상대적으로 OS X 를 설치한 사례가 드물고 관련 드라이버가 취약합니다.
5-3. 그래픽 카드 Snow Leopard이상은 가능한 지포스 8600 이상 ATI Radeon HD라면 4870 이상의 XX70 시리즈 여야만 그래픽 가속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노트북쪽에서는 만약 옵티머스 기술을 채용한 최신 노트북이라면 내장 그래픽 칩이 HD 3000 이라야 가능합니다.




* 네 시스템 제약이 무척 많고 설치가 대단히 까다로와 보통 설치만 3일 걸리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설치방법을 알아내는 데 대부분의 시간이 할애되고 그래서 모 카페 같은 경우는 설치비만 25만원씩이나 받고 있기도 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아래 추천 꾸욱 눌러 주세요.



:
Posted by Ritz®™
참고 ; http://support.apple.com/kb/HT4796?viewlocale=ko_KR&locale=ko_KR

1. 응용프로그램> 유틸리티 > Migration 을 이용해서 기존 하드디스크에서 메일 데이타 및 Linkinus 등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든 계정 데이타를 동일하게 가져올 수 있다.

심지어는 기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시스템 공유설정환경도 아래 그림과 같이 동일하게 가져올 수 있다.


1122025A4D080A43356C96

스크린샷 2011-06-14 3.21.28 PM

스크린샷 2011-06-14 3.21.38 PM

스크린샷 2011-06-14 3.22.12 PM

여러가지 옵션이 있는데 하드디스크대 내외장 하드디스크로도 가능하고 네트웍을 통하여 이미 설치된 맥으로도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하다.

특히, 이 방법은 상위버전에서 하위 버전으로 옮길시에 활용하기 좋다.

2. 매뉴얼로 계정 옮기는 방법


132BA9484D080A44187D56

2-1. /Users/"계정명" 을 압축하여 저장하여 두었다가 새로운 시스템에 /Users/"계정명" 으로 압축을 풀어준다.

2-2. 해당 계정명을 새로이 추가하여준다.

이때, /Users/"계정명" 과 동일하게 계정을 생성해야 동일한 계정이 생성될 것이고 당연히 새로운 시스템에서는 /Users/"계정명"이 존재하지 않아야 새로이 생성할 수 있다.


'Hackintosh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OS X 시스템 유지/관리 방법  (0) 2011.07.19
Dashboard 사용하기  (0) 2011.06.17
해당 어플리케이션 / 드라이버만 설치 혹은 추출하기 -Pacifist 등  (1) 2011.02.13
한글 설정하기  (0) 2011.02.11
kernel 다루기  (0) 2011.02.11
:
Posted by Ritz®™
2011. 5. 14. 18:51

Homefront Intro Application/Game2011. 5. 14. 18:51

'Application > G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Diablo 3 in Mac  (0) 2012.05.29
BattleField 3 4800  (0) 2011.11.20
Star Craft II Patch  (0) 2011.11.15
BATTLEFIELD 3 최소사양 과 권장사양  (0) 2011.11.15
Change Resolution(Wide Screen)- Red Alert 3 with OS X 10.6.6(Build 10J537)  (0) 2010.12.29
:
Posted by uno-ani


I. Pacifist

우선 한글 패키지 설치및 설정방법은 여기로 클릭!! http://j.mp/bILPSD즉, 사용중 일부 어플리케이션 재설치시 유용합니다.

물론, 해킨 배포반 버전으로 설치한후 Retail 로 전환시에도 이 방법을 활용하면 아주 좋습니다.설치가 되었다면 우선 다음과 같이 자신의 해킨드라이버들을 확인하거나 혹은 처음 설치시 자기 시스템 스펙을 알아두어야 하겠지요. 예를들자면 사운드카드인 경우 ALC882,883, 889, 889A 등등이 있습니다. 랜카드도 종류가 많지요. 이런 사양도 파악하지 않은채 드라이버를 설치할려고 하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더듬는 것과 다를바 없겠지요.
pacifistabout01

pacifist

Pacifist로 관련 드라이버만 설치하기 안전모드로만 부팅이 가능하면 Leopard 를 재설치해줄 필요없이 관련드라이버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아주 자주 어떤 시디를 가지고 몇번 설치했다는 대단한 듯한 애기들이 영웅담처럼 들리는 데, 이거 좋지 않습니다.시스템 설치하고 밀고 다시 설치하고 CD 다시 굽고 ,,,,,,,, 이런 단순반복 작업은 이제는 그만 하시는 게 시스템에도 좋을 듯 합니다.준비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어쩡쩡하게 설치된 Leopard
  2. Pacifist, 구글에서 검색하여 보면 다 나옵니다. http://soft.macx.cn/indexen.asp?page=4&classid=5&cpu=&keyword=
  3. 혹은 http://thepiratebay.org/browse/302
  4. 혹은 http://www.demonoid.com/files/?category=5&subcategory=3&language=0&seeded=0&external=2&query=&uid=0&sort=
  5. Kalyway, xxx, ipc, Retail DVD Image 등등의 해킨토시 CD, 위 링크들에서 쉽게 구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6. BOOT-132 방식은 아시다시 Retail Leopard DVD(오리지날 맥용) 을 구하셔두 되구요.
가. 위 항목을 준비하셨다면 다음 그림과 같이 더블클릭하여 마운트된 설치 DVD를 선택하여 줍니다.

pacifist

나. 다음 그림과 같이 저는 IPC 10.5.6 설치 DVD를 선택하였습니다.

pacifist

다. 선택을 하고 나면 관련 설치 패키지를 로딩할 것입니다. 시간이 좀 걸립니다.

pacifist
라. 아래 그림과 같이 설치시 “사용자화”에서 낯익은 패키지 들이 보이실 겁니다.

pacifist

마. 부팅이 안되신다구요?카멜레온 관련 패키지를 설치하시겠습니까?한글 랭귀지 팩만 설치하고 싶으시다구요? Retail DVD 이미지를 이용하세요.드라이버만 인스톨하시구 싶다면 아래와 같이 관련 패키지를 클릭하세요.

pacifist

바. 만약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만 설치해 줄려면 다음 그림을 참고하세요.
pacifist

사. 그림과 같이 관련 드라이버의 우측버튼을 눌러주시면 메뉴가 나옵니다.저는 HD3650, 디폴트 디스크(현재부팅되어 있는 디스크)로 설치를 선택하였습니다.물론, 해킨배포본에서 Retail로 전환하시는 분들은 /Extra/Extensions/ 폴더로 Extract to Custom Location을 선택해서 해당 드라이버를 추출해야 겠지요.
pacifist


아. 이제 설치가 마무리 될때까지 느긋하게 기다리시면 됩니다.
자. 마지막으로 유틸리티의 디스크 유틸리티에 가셔서 디스크 권한 복구 한번만 눌러 주시면 됩니다.
      - 디스크 권한복구는 2주에 한번 정도 해주시면 시스템 안정화에 도움이 됩니다.

pacifist

차. 물론, 재부팅시에 옵션을 “-f -v”를 주어서 부팅 관련 메시지등을 확인하며 관련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 지 확인하면 됩니다.


II. Pkg 화일로 간단하게 설치하기.

Retail DVD 이미지를 마운트합니다.다음 경로로 이동을 하면 웬만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들은 다 있습니다.물론, 한글패키지도 있지요./Volumes/Mac OS X Install DVD/System/Installation/Packages
관련 경로를 유의하세요.

pacifist




III. Kext helper 로 드라이버 설치하기 : OS X driver 설치 방법

IV. Kext Utility 로 드라이버 설치하기 : OS X driver 설치 방법



'Hackintosh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shboard 사용하기  (0) 2011.06.17
기존 맥 환경 그대로 새로운 맥으로 마이그레이션  (0) 2011.06.14
한글 설정하기  (0) 2011.02.11
kernel 다루기  (0) 2011.02.11
TransMac을 이용하기  (4) 2011.01.05
:
Posted by Ritz®™
2011. 2. 13. 10:41

맥에서 백업하기 macOS/Leopard2011. 2. 13. 10:41

Update : Lion(10.7) 이상 사용자

OS X Lion 또는 OS X Mountain Lion의 복구 시스템에는 내장 유틸리티 세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Mac을 재시동한 후 Mac이 시동되었음을 나타내는 Apple 아이콘이 나타날 때까지 command 키와 R 키(command-R)를 길게 누릅니다. 복구 시스템 시동이 완료된 후에는 데스크탑에 OS X 메뉴 막대와 "Mac OS X 유틸리티" 응용 프로그램 윈도우가 표시됩니다. 참고: 로그인 윈도우나 사용자의 데스크탑 및 아이콘이 보이는 경우 command-R을 늦게 눌렀을 수도 있습니다. 재시동하여 다시 시도해 보십시오.

 


천신만고 끝에 맥을 설치를 하였다면 다음과 같이 복원 이미지를 만들어 두거나 백업 하드디스크를 만듭니다.

물론, 하드디스크가 여유가 있다면 복원(Restore)을 이용하여 다른 하드디스크에 바로 복원을 해 쌍둥이 하드디스크를 만들어 줄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설치용 해킨 DVD나 혹은 맥컴퓨터라면 설치용 번들 혹은 리테일 DVD/USB를 이용하여 부팅합니다. <<< 중요

DVD/USB를 이용하여 설치에 들어가기전에 utility>>디스크 유틸리티 로 들어갑니다.

OS X Installation Guide -2


* 과정

I. 백업 이미지 만들기

1. 어플리케이션/유틸리티/디스크유틸리티 에서 먼저 다음과 같이 백업할 하드디스크를 선택합니다.

그림과 같이 새이미지를 선택합니다.

2. 원하는 다른 디스크에 저장할 곳을 파일명과 함께 입력합니다.


3. 복원은 DVD로 부팅하여 역시나 Restore(복원) 탭에서 만들어둔 이미지를 선택하고 타겟은 하드디스크를 지정하면 복원이 됩니다.


4. 맥에서는 복원을 하면 바로 부팅이 되지만, 일반PC에서는 바로 부팅이 안됩니다.

그 이유는 GPT+GUID 파티션의 특성에 있습니다만, 힌트를 좀 더 드리자면. diskutil list로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상황을 점검하여 보면 답이 나올 것입니다.


- 이때 좋은 대안이 USB 메모리 스틱에 CloverXPC나 Chameleon 혹은 Boot-132 CD 를 만들어두었다가 비상용으로 부팅시 이용하는 것입니다.

- 물론, 복원후 기존 하드디스크의 부트로드를 이용하여 부팅한후 복원한 하드디스크를 선택하여 부팅한 다음, 부트로더(카멜레온,Boot Think, XPC 등)를 복원한 하드디스크에 다시 설치하여 주는 방법이 많이 활용됩니다. 한가지더 부트로더를 위해 추가 파티션을 다시 만들어주지 않아도 됩니다.


II. 하드디스크로 백업

이 방법은 백업용 하드디스크가 반드시 기존 하드디스크보다 용량이 동일하거나 더 많아야 합니다.

1. 이번에는 복원(Restore)를 선택합니다.

http://osx86.tistory.com/43




'macOS > Leop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키보드 매핑  (0) 2013.02.25
root 계정 활성화 하기  (0) 2009.12.16
응용프로그램을 클릭한방으로 알아서 Update해보자 - AppFresh  (0) 2009.12.03
10.5 BootCamp 드라이버  (0) 2009.02.09
:
Posted by Ritz®™
OS X를 설치했지만, 심지어는 드라이버 설정을 제대로 하고난 후에도 설정되었는지조차도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트윗에 있는 여러전문가들로 부터 실시간으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는 원격지원까지도...
원격지원 설정방법 1(윈도우즈와 맥에서 사용가능):

Title:
TeamViewer를 이용하는 방법
윈도우즈용 다운로드: TeamViewer
맥용 다운로드: TeamViewer
Description/instructions: 아래 url을 클릭하여 운영체제에 맞는 팀뷰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http://www.teamviewer.com/download/
Description: 다음과 같은 운영체제를 지원한다.
remote


* 아래 그림과 같이 ID와 패스워드를 댓글이나 아래 url의 트윗 사이트에 원격요청하고 알려준다.  누군가 시간적인 여유있으신 분이 접속할 것이다.
*
remote
Note:
가끔 팀뷰 버전이 맞지 않아 접속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공유기 설정이나 회사의 인터넷 접속 방침에 따라 접속이 안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대부분 이 방법으로 원격 관리가 가능합니다.
만약 위의 방법이 작동안된다면 다음 두번째 방법을 시도하여 봅니다.

TeamViewer
















































원격지원 설정방법 2(맥에서만 사용가능):

Title:
맥에서 설정하는 방법
Version: 3.4.? (이 방법도 버전에 따라 지원이 아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Homepage: http://osx86.tistory.com
Description/instructions: Author:Ritz , ritzcarltn@gmail.com
http://osx86.tistory.com
Description:

1. 아래 그림과 같이 두가지 방법 중 편한 방법으로 시스템 환경 설정을 실행합니다.
Systemremote
2. 공유를 실행합니다.
remote
3. 원격관리와 원격로그인을 선택합니다.
remote
4. 원격관리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선택하여 주고 승인하여 줍니다.
remote
5. 이제 공유기에 dmz를 설정하여 줍니다.
http://osx86.tistory.com/68  
6. 이제 마지막으로 공인 IP를 원격 관리자에게 알려 줍니다.
Note:
공유기 설정에서 dmz설정하는 방법은 추가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Hackintosh > 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fit Lion Issue  (0) 2011.09.23
공유기 DMZ 서버 설정하기  (1) 2011.07.12
부팅 문제  (0) 2010.03.15
DivX Decoder.component Error  (0) 2010.03.14
Leopard 로그인이 안될 때  (0) 2009.12.08
:
Posted by Ritz®™
2011. 1. 31. 18:24

맥에서 디스크 이름 바꾸기 macOS2011. 1. 31. 18:24

디스크 이름 바꾸기


1. 바꿀 디스크를 우측마우스로 클릭

Disk Nam


2. 다음 그림과 같이 Name & Extension 에서 이름을 입력 끝
Disk Nam

윈도우즈에서는 다음글의 3번 그림을 참조하기 바란다.

http://osx86.tistory.com/1244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OS X 활용하기  (0) 2011.07.26
지정 어플리케이션으로 항상 열기 지정하기  (0) 2011.07.07
OS X driver 설치 방법  (0) 2011.01.21
OSX 용 파티션 만들기  (0) 2011.01.16
HP Officejet 6310 all-in-one  (0) 2010.09.20
:
Posted by Ri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