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

« 2011/1 »

  • 1
  • 9
  • 10
  • 11
  • 12
  • 13
  • 14
  • 15
2011. 1. 16. 11:33

OSX 용 파티션 만들기 macOS2011. 1. 16. 11:33

추가 : http://cafe.naver.com/uefi/600





OSX 용 파티션 만드는 방법

OSX를 사용하시는 분들의 고민 중 하드디스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파티션 문제에 고민하게 됩니다.

다음과 같은 개념을 가지고 파티션을 해주면 좀 더 하드디스크를 깔끔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Windows(Linux등 기타 OS)와 OSX는 가능한 물리적으로 하드디스크를 다르게 가져갑니다.
  •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하나의 디스크에 Windows(Linux등 기타 OS)와 OSX를 나누어 사용함으로써 파티션 구성에 실패하여 다른 OS의 파티션을 지워 버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안정화시켜 놓은 파티션을 한순간의 실수로 날려 버리는 안타까운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죠.
  • 그래서 가능한 하드디스크를 2개이상 사용하는 것을 권고합니다.
    당근 노트북에서는 파티션을 나누어서 사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이기종 OS 와 멀티부팅도 가능하구요.
    이때는 멀티부팅이 오히려 더 쉬울 수도 있습니다. 
OSX 부팅용 하드디스크는 가능한 적어도 120G이상을 설정하여 줍니다.
  •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르겠지만 OSX용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다보면 120G도 부족한 경우가 생깁니다.
  • 이를테면 PhotoShop CS4, ProTools, FinalCut 등을 설치하다보면 하드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경우가 생깁니다.
  • 또한, p2p 등에서 소프트웨어나 영상자료를 다운로드 받다보면 하드디스크 용량은 신중히 고려되어져야 합니다.
  • 그래서 하드디스크 용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250G 이상을 권고합니다.
  • 물론, Maintenance용은 대략 8-10G 정도가 적절할 것 같군요. Lion(10.7) 이상부터는 Recobery HD 파티션이 생성되므로 더이상 maintenance용 파티션은 의미 없음. 
하드디스크 파티션 설정은 윈도우즈에서는 Paragon HardDisk Manager 2010 이나 Acronics Disk Utility를 이용하여 백업합니다.
  • OSX의 설치 디스크에서 파티션설정을 하거나 다른 OSX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설정할 경우 다음 그림과 같이 오렌지색의 EFI 파티션이 생깁니다.
  • 또한 Paragon NTFS for Mac, Mac Drive 같은 응용프로그램 설치는 가급적 자제하시기를 권고합니다.
  • Paragon NTFS 프로그램 역시 어떤분들은 OSX자체의 파티션을 날려버리는 버그가 발생하여 OSX를 재설치하여 주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 따라서 기본적으로 OS X용 파티션은 윈도우즈 응용프로그램인 Acronics Disk Utility 같은 응용프로그램으로 shage OS swap파티션 구성을 하여 줍니다.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가급접 Mac OS X 나 해킨 배포본DVD로 부팅하여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파티션을 만들어 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 그리고 OSX 설치 디스크로 부팅하거나 기존 OSX로 부팅하여디스크 유틸리티의 지우기 기능 을 이용하여 파티션 설정을 하여 줍니다.
  • 또한디스크 백업 복원 기능 을 활용하여 기존에 설치된 OSX를 날리지 마시고 활용합니다.

Partition


스크린샷 2011-01-16 11.46.13 AM-1

* 가능한 GUID 파티션으로 해주는 것이 적절합니다. 하드디스크 하나에 OS X와 Windows를 파티션을 나누어 설치해야 할 경우에도 GUID 파티션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물론, USB 같은 경우에는 "마스터 부트 레코드(MBR)"로 해주어도 무방합니다.
Partition

* 먄약 파티션이 FAT32로 되어 있거나 설치되지 않을 경우 위 그림과 같이 지우기를 하게 되면 파티션을 hfs 포맷으로 재 포맷해줍니다.

다음은 추가로 파티션크기 재조정입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빨간 동그라미 부분을 위로 끌어올려주어 기존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여 줍니다.   

Resize01


 OS X와 Windows 시스템간의 데이타 공유 파티션은 OS X 10.6.5 이상에서 지원해주는 ExFat 파티션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  자주 파티션을 날립니다.

  • FAT32에서의 여러가지 제약사항이 개선 되었습니다. 4G 이상 파일크기 지원
  • Windows 와 OS X에서 읽기,쓰기 지원

스크린샷 2011-02-23 10.10.37 AM

다음글도 참조 하세요.
http://j.mp/qMZab8

 하드디스크 파티션 제거하는 방법

- 아래 그림과 같이 선택하여 (-)버튼을 클릭하여 제거합니다.



하드디스크 파티션은 하드디스크 하나에 2개의 파티션만 설정합니다.


  • OSX의 설치 디스크에서 파티션설정을 3개 이상하면 위 그림과 같이 hidden 속성을 가진 efi파티션이 3개가 만들어져 디스크 낭비가 심해지게 됩니다.  당근 3개의 파티션을 만들어 OS X, Windows, Linux등으로도 설치가 가능합니다만, 단순히 권장사항이니 자신의 시스템 사용도에 따라 응용하면 됩니다.
  • XYuM6FBrY3



'mac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맥에서 디스크 이름 바꾸기  (0) 2011.01.31
OS X driver 설치 방법  (0) 2011.01.21
HP Officejet 6310 all-in-one  (0) 2010.09.20
서비스 포트  (0) 2010.04.05
더블클릭하여 사용하던 어플 윈도우즈 감추기  (0) 2010.03.20
:
Posted by Ritz®™
2011. 1. 11. 00:04

Sandy Bridge LGA Socket-1155 with OS X Hackintosh/Mainboard2011. 1. 11. 00:04

Information:

Update:
Intel사가 Sandy Bridge 칩셋 결함을 발견하고 운송중단 및 리콜 진행중이군요.
출처: http://www.engadget.com/2011/01/31/intel-finds-sandy-bridge-chipset-design-flaw-shipments-stopped/
Homepage: http://www.engadget.com/2011/01/31/intel-finds-sandy-bridge-chipset-design-flaw-shipments-stopped/
기존 글:

익히 아시겠지만 샌드브리지 시스템은 OS X 원본 커널이 아직 지원되지 않습니다.

Mac 신제품이 나오면 오리지날 커널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모르는 일이죠.

현재로서는 Lgacy 커널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역시나 불안정합니다.

물론, 향후 지원 여부는 Apple사에 달려 있으므로 OS X를 사용하실려는 분들은 권장하지는 않습니다.

Note:
다음은 각 CPU의 차이점입니다.
* 참고로 해외 사이트에서는 k버전과 아닌 버전의 가격이 동일한데 한국에서는 많은 차이가 나는 군요.


Slide8T


: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 1. 8. 17:45

10.6.6(10J567) Update macOS/Update2011. 1. 8. 17:45

10.6.6(10J537)에서 바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습니다.

특이하게도 지금까지 개발자 버전의 업데이트가 공식 업데이트가 되어 왔었는데 이번 만큼은 업데이트 지원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버전을 10.5.5 로 설정해주고 난 후, 콤보 업데이트를 다운로드 받아서 업데이트를 하여주면 됩니다.

기존의 10.6.6(10J537)보다 안정적입니다.

10.6.6(10J537)에서 Parallels 를 설치하여 운용하였었는 데, 가끔 시스템이 맛이가는(현상이 특이합니다. 마우스 잘 움직입니다. Finder를 비롯한 기존의 실행되던 프로그램들이 행업 걸립니다.) 경험을 하였었습니다.

업데이트한 후 아직까지 별다른 이상이 없습니다.

AMD CPU나 샌드브리지 시스템은 Legacy 커널을 사용해야 합니다. SleepEnabler.kext 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dl.nawcom.com/Kernels/10.6.0/legacy_kernel-10.6.0.pkg.zip

10.6.6(10J567)

'macOS > Upd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unes 10.1.2  (0) 2011.02.01
10.6.7(10J842) released  (0) 2011.01.21
IWork 5, GarageBand, iMovie 9.0.1 Update  (0) 2011.01.06
Safari 5.0.3 Update!!  (0) 2010.11.19
Mac OS X 10.6.6(Build 10J521) Released?  (0) 2010.11.05
: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 1. 6. 08:56

IWork 5, GarageBand, iMovie 9.0.1 Update macOS/Update2011. 1. 6. 08:56

Software Update!!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macOS > Upda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6.7(10J842) released  (0) 2011.01.21
10.6.6(10J567) Update  (0) 2011.01.08
Safari 5.0.3 Update!!  (0) 2010.11.19
Mac OS X 10.6.6(Build 10J521) Released?  (0) 2010.11.05
Apple Releases Mac OS X 10.6.5(Build 10H568) to Developers  (0) 2010.11.01
: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 1. 5. 19:18

YoruFukurou Application/Internet2011. 1. 5. 19:18

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윗 클라이언트입니다.

다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상용버전을 능가하는 기능들이 많습니다.

http://sites.google.com/site/yorufukurou/home-en


YoruFukurou

'Application > Inter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플러스, 트위터 연동하기  (0) 2011.07.21
트윗 사칭 스패머  (5) 2011.07.17
mixero 트윗 클라이언트 설정하기  (0) 2010.10.13
Socialite Version 1.0 Beta 3 (917) Update  (0) 2009.11.21
Linkinus 2.0.3 Update  (0) 2009.11.02
:
Posted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1. 1. 5. 16:53

TransMac을 이용하기 Hackintosh/Tip2011. 1. 5. 16:53

Update : http://cafe.naver.com/uefi/2396

TransMac  사용법 : http://osx86.tistory.com/350

주요사항:

  • 하드디스크를 하나 준비한다. 여기에 OS X 을 설치할 것이다. SATA 포트의 첫번째 포트에 연결한다. 물론, OS X 설치시에는 기존의 윈도우즈나 기타 운영체제 하드디스크는 빼어놓는다.  
  • CMOS SETUP에서 AHCI Mode로 설정한다.
  • 8기가 이상 USB 메모리 스틱이나 혹은 외장형 USB 하드디스크를 준비한다.
  • 이 방법은 CD/DVD 드라이버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설치속도나 안정성면에서 CD/DVD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방법보다 훨씬 빠르고 많은 장점이 있다.

Table of Contents

  1. 하드웨어 호환성(Hardware Compatibility)
  2. 드라이버 준비
  3. 설치
  4. 설치과정
  5. 구성
  6. 추가사항

1. 하드웨어 호환성(Hardware Compatibility) 

녹색 동작
오렌지색 몇가지 트릭이 필요
빨간색 전체적으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부품

  • Card Reader (Realtek)
  • Sound (Some crap I don’t remember)
  • Sleep / Hibernation
  • USB Ports
  • Touchpad (Synaptics)
  • Ethernet (Realtek PCIe)
  • Accurate Battery Stats
  • Wireless (Atheros AR5007 802.11b/g)
  • Graphics (Intel X4500MHD)
  • DVD+-RW Drive (Optiarc AD-7560S)

  2. 드라이버 준비(Requirements and Kernel Extensions)

DVD 드라이버와 HD 가 동시에 운용이 안되는 경우에 이 가이드가 적절한 답이 될 수 있다.

Software:(소프트웨어)

  1. 기 설치된 Windows, 맥이나 해킨토시에서 ISO 혹은 DMG 화일을 USB메모리 스틱이나 USB 외장형 하드디스크에 복원시키는 방법이다.
  2. 외장형 USB하드디스크 나 USB 메모리스틱 > 10GB, DVD는 사용하지 않는다.
  3. 10.5.5 Leopard ISO화일 이미지 혹은 최신 버전의 이미지(iDeneb 10.5.8 Lite 등등)
  4. TransMac (trial버전이고 한번만 사용한다.)
  5. KisMAC

Kernel Extensions:

  1. Touchpad drivers (these worked out of the box for me)
  2. Ethernet and Wireless (Wireless is unstable, but this fixed Ethernet in the process)
  3. Battery Support
  4. Graphics (No QE as of yet, cross your fingers)



—- 3. Getting the Installer Running : (핵심 설치 과정)—-

이 과정이 설치 가이드의 핵심인 TransMac을 이용하는 부분이다. 제대로 실행되지 않을 경우, 많은 인내력을 요구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뭐 잘 되기만 한다면 CD/DVD보다 설치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된다.

  1. Install TransMac(TransMac 설치)
    Windows 환경에서 TransMac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이므로, 위링크를 클릭하여 다운로드 하여 설치해야 한다. 만약, Mac 이나 해킨이 있다면, 다음 몇 단게를 지나치고 간단하게 외장형 디스크나 USB하드디스크를 HFS+로 포맷하여 배포본이나 리테일 이미지를 복원하여 주는 단순한 과정만 진행하면 된다.


I. 다운로드받은 이미지가 ISO파일 형식일 경우


TransMac 사용법
  1. Plug in USB Stick / Hard Drive, Prepare Installer ISO
    이 과정에서, USB메모리 스틱이나 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연결하고 해킨배포본 ISO이미지를 준비한다. 그리고 TransMac을 이용하여 Open한다. 이어서, 다음 그림과 같이 USB메모리 스틱이나 USB외장형 하드디스크를 선택하고 우측마우스 버튼 > Format Disk > Format with Disk Image를 선택하여 주고 해킨 배포본 이미지를 선택한다.
  2. ISO 화일을 USB외장형 하드디스크 혹은 USB 메모리 스틱에 복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윈도우즈 팝업 메뉴가 뜨면 ISO 디스크 이미지를 선택하여 주고 진행한다.
  3. 이미지 복사작업이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4. CMOS에서 부팅순서를 바꾸어 주거나 ASUS보드인 경우 F8, 기가바이트 보드인 경우 F12를 눌러주어 USB외장형 하드디스크 혹은 USB메모리 스틱을 선택하여 부팅하면 설치과정에 진입한다.

만약 이 방법으로 부팅이 되지 않는 다면 다음 방법을 이용한다.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II. 다운로드받은 이미지가 DMG파일 형식일 경우 만약, dmg화일 형식의 OS X Retail DVD 이미지라면 다음과 같이 Expand를 실행하여 다른 화일명으로 준 다음, 위의 작업을 다시 진행한다. 유의할 점은 이 Retail 이미지는 해킨배포본과는 달리 BootCD나 부트로더가 설치된 USB 없이 스스로 부팅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에는 윈도우즈에 BOOT THINK를 설치하고 난 후  혹은 USB메모리 스틱에 XPC를 설치하여 부팅하면 Mac OS X 파티션을 선택할 수 있게 메뉴에 나타다고 좌우측 화살표와 엔터키를 눌러 Retail 이미지가 탑재된 USB를 로딩할 수 있다.

############################################### TransMac 사용법



새로이 저장된 화일을 이용하여 BootCD를 넣어 부팅하여 USB 외장형 하드디스크나 메모리 스틱을 선택하여 설치과정을 진행한다.



III. Mac 파티션 내부의 화일을 추가/변경/복사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Option> mac setting에서 그림과 같이 read/write가 되게끔 설정해주어야 한다.

###############################################

TransMac 사용법

—- 4. Installation (설치과정):  OS X Installation Guide -2


*주의사항: 이 단계는 iDeneb 10.5.8 Lite 버전을 사용하고 부트로더와 관련된 시스템 구성화일 그리고 kext 화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디스크로 재부팅하면 설치과정이 시작된다.  여기에서 Disk Utility를 이용하여 Mac OS X가 설치될 파티션을 Mac OS Extended (Journaled)로 포맷해 주는 것이 적절하다. 설치과정을 계속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은 용어들에 약간의 지식이 필요하다.

  1. Chameleon 부트로더 : 이 블로거에서 검색하면 정보가 나온다.
  2. Vanilla kernel 사용 : Intel 시스템이라면 당연하게도 Apple사의 mach_kernel 을 원본 그대로 사용가능하다.  AMD는 AMD용 커널이 있다.
  3. CMOS셋업에서는 반드시 SATA/IDE HDD를 AHCI 로 설정해야 한다.
  4. 필요하다면 Card reader (SD/SDHCI Drivers)
  5. Realtek 네트웍 드라이버는 설치과정중 사용자화에서 설치해 주는 것이 좋다.
  6. Atheros 드라이버나 Graphics 카드와 관련된 드라이버는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차후에 Multibeast나 혹은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kext 드라이버를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Wait for the installation finish and all should go just fine!

—- 5. Configuration —-After you’ve finished installing OS X, the fun part comes along: driver installation! Hooray! tongue.gif

OSX86Tools and KextHelper are both included with the graphics card kext package. If you didn’t download it in advance, that’s your problem.

  1. Use KextHelper to install IOPCMCIFamily.kext, IONetworkingFamily.kext, and IO80211Family.kext from the Ethernet and Wireless drivers link above. Do not restart
  2. Use OSX86Tools to install the kernel that is supplied with the drivers in step 1.
  3. Click “View PCI Device/Vendor ID” in OSX86Tools and install what it tells you to. Now restart.
  4. Following the rest of that guide, you should be able to get wireless up and running or, at the very least, ethernet - install all software updates. If anything breaks, just repeat step 1 afterward.
  5. Install the rest of the kernel extensions that I linked above using KextHelper, following whatever steps their respective guides say.


'Hackintosh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설정하기  (0) 2011.02.11
kernel 다루기  (0) 2011.02.11
시스템 버전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알파?  (0) 2011.01.05
디스크 권한 수정  (0) 2010.07.05
맥에서 인터넷 설정 잡아주기 - 해킨토시 & Mac 공통  (0) 2010.01.22
:
Posted by Ritz®™
현재 가지고 있는 설치 이미지 버전이 궁금할때는 아래 그림처럼 SystemVersion.plist 화일을 확인해보면 된다.
우선 설치이미지는 더블클릭하여 마운트하거나 혹은 DVD 를 마운트하면 다음과 같은 경로에 Systemversion.plist 라는 화일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윈도우즈에서는 Transmac등을 설치하여야 확인가능합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Plist Editor Pro등의 프로그램이나 터미널 명령어로 시스템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rminal에서도 다음과 같이 확인 가능합니다.

#cat "/Volumes/Mac OS X Install DVD/System/Library/CoreServices/SystemVersion.plist"

물론, 저 경로를 하드디스크에 설치된 시스템 버전 확인용 및 버전 속이기로 응용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버전 속이기는 권고하지 않습니다.  버전에 맞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변경할려고 하신다면 여러가지 원하지 않는 에러나 문제점들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만,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하는 분들이 있겠지요.
iPhone 개발을 위해 설치하시는 분들이 많으신 것 같은데 발생하는 문제점은 어쩔 수 없겠지요.


'Hackintosh >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rnel 다루기  (0) 2011.02.11
TransMac을 이용하기  (4) 2011.01.05
디스크 권한 수정  (0) 2010.07.05
맥에서 인터넷 설정 잡아주기 - 해킨토시 & Mac 공통  (0) 2010.01.22
The way of mount EFI Partition  (0) 2009.12.08
:
Posted by Ritz®™








































설치하기전에 먼저 다음글을 읽어보시고 설치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물론, 이 글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는 분과 도움을 전혀 받지 못하실 분이 계실 것입니다.

여기 몇몇 링크에는 Ritz님과 해커들의 숨은 뜻이 있습니다.

뭐냐구요?  금방 답이 나올 것입니다.  

누구나 이 글을 볼 수 있지만,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을 선택할 수도 있다는 거,,,,,,,

물론, 이해하실 수 있는 분은 응용스킬을 시전하여 고수의 지름길을 찾을수 있다는 거,,,,


아실 수 있는 분은 아실 것입니다.


추가로 당근 이 글을 보기 싫으신 분들은 안보시면 됩니다.  

시간이 흘러넘쳐서 이 글을 쓰는 건 아니니까요.


전체적인 설치간략개념(간략 개념이 아니라 아주 복잡한 장문의 글이 되어 버렸습니다.) 시스템 상황 파악하기(시스템 스펙 파악하기)
  • Windows설치할때처럼 그냥 대충 해킨이미지를 가지고 설치해볼려는 분들이 아직도 많이 있는 것 같더군요.
  • 사전에 자신의 시스템 스펙을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이렇게 설치시도하면 설치실패 확률 90% 이상입니다.
  • 이를테면, MSI Neo시리즈, ASUS P5Q 시리즈 마더보드인 경우 Bios 수정부터 해주어야 합니다.
  • 이걸 수정하지 않고 설치시도하게 되면 해킨이미지에서 사용자화를 하여야 합니다.
  • 이를테면, P5Q메인보드나 AMD 시스템인 경우, 사용자화에서 CPU=1 이런 패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 혹은 부팅 옵션에 "cpu=1 -v -f"을 주어 부팅을 해야 합니다.
  • 즉,CPU를 코어 하나만 사용하여 부팅하게 되는 것입니다.
  • 자신의 시스템 스펙 파악을 자세하게 하신분들마저도 설치하는데 6개월 걸리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 자신의 시스템 스펙을 정확하게 알면 해킨이미지 설치시 사용자화에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성공확률이 그만큼 높아지게 됩니다.
  • 그리고 한번 이렇게 자세하게 정리하여 두면 차후 시스템 복구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Windows 처럼 범용성을 지닌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시스템 모듈별로 드라이버가 따로이 있습니다.
  • 물론, 드라이버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 자기 시스템 스펙을 파악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 메인보드가 인텔계열의 ASUS P5W, 기가바이트 보드 계열이면 설치가 아주 무난할 것입니다.
  • 시스템 스펙 파악하기
  • 메인보드별 설치방법-1, 메인보드별 설치 방법-2
  • 노트북별 설치 방법
이미지의 종류(해킨 배포본 이미지와 Retail 정품 이미지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파티션 설정하는 방법(파티션 설정 중요합니다.)

그래픽 카드 설정하는 방법(파티션 설정 중요합니다.)

  • 처음으로 OS X를 설치하였다면 그래픽 카드 설정이 안되어 있을 것입니다.
  • 물론, 사용자화에서 그래픽 카드를 잘 선택하여 QE/CI, CL까지 설정되어 있다면 특별한 문제는 없지만, 요즈음은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그래픽 카드를 설정하여 주고 있습니다.
  • http://x86osx.textcube.com/category/Compatibility

추가 조치방안 및 질문하는 방법

해당 드라이버만 골라 설치하는 방법

  • 설치한후, 그래픽카드가 설정이 안된다거나 랜이 설정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이때 대부분 설치를 다시 반복하는 사례가 많은 데, OS X는 윈도우즈가 아닙니다.
  • 재설치하지 마시고 그냥 해당 드라이버만 재설치를 하면 됩니다.
  • 이방법을 알아두면 설치 DVD이미지에서 해당드라이버만 골라서 설치할 수 있습니다.
  • 즉, 재설치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습니다.
  • OSX는 윈도우즈 처럼 전체적인 시스템이 잘못되었다거나 뭔가 꼬였다라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 다만, 해당 드라이버를 설치하였는 지 유무가 시스템 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 추가로 관련 드라이버를 설치하였는데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 반드시 Retail DVD이미지를 이용하여 해당드라이버를 원래대로 복원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런 경우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물론, 해당드라이버를 설치하였을 경우에 반드시 다음 부팅옵션에 "-v -f " 부팅옵션을 주어 설치한 드라이버를 로딩하여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싱글유저로 부팅한 후에 "exit"라는 커맨드를 주면 정상적인 부팅과정을 수행하거나 혹은 업그레이드 이후라면 재부팅하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때 재부팅하시면 됩니다.
  • Leopard 드라이버 설치하기
  • 해당 드라이버만 설치하기

자기 시스템에 맞는 설치사례 찾아보기

  • 보유하고 있는 메인보드를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가 이미 설치한 사례가 있다면, 그 사례에 따라 설치할 경우 설치하기가 쉬워집니다.
  • 이럴때 이 방법을 사용하면 설치하기가 쉬워집니다.
  • 만약 설치사례가 없다면 당신이 세계최초의 해당시스템의 설치시도자가 될 것입니다. ^ ^
  • 혹은 설치후에 부팅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설치사례 찾아보기 (메인보드가 GA-EP45 인 경우에 해당되며 응용하시면 됩니다.)

부트로더 설치 방법

  • PC에 설치하는 해킨토시에서 부트로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 부트로더를 설치하여 주지 않으면 부팅이 안됩니다.
  • 물론, 해킨 배포본에서는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어 설치되어지고 윈도우즈와의 멀티부팅도 부트로드에서 제공됩니다.
  • 결과론적으로 멀티부팅이 한결 쉬워졌습니다.
  • Chain0 방식보다 진보된 멀티부팅 방식입니다.
  • Boot-132 설치방법 Leopard용과 Snow Leopard용이 따로 있습니다.
  • Chameleon 설치방법 맥용만 있으며 Tiger, Leopard, Snow Leopard를 지원합니다.
  • Boot Think 설치방법 윈도우즈용과 맥용이 따로 있으며 Tiger, Leopard, Snow Leopard를 지원합니다.
  • XPC(UEFI) 설치방법 XPC 설치방법은 최근에 디시 Snow Leopard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중입니다. Tiger, Leopard, Snow Leopard까지 지원합니다.
  • PC_EFI 설치방법, Tiger시절 이래로 가장 오래된 부트로더입니다. Snow Leopard를 지원합니다.
  • Snow Leopard ✒RebelEFI CD 설치방법


 USB Memory Stick 나 DVD가 없을때 설치 방법

USB Memory Stick을 이용한 설치 방법

  • DVD나 일시적인 파티션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은 향후 새로운 버전 업그레이드나 신버전의 kext가 나올시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습니다.
  • 이때, USB Memory Stick을 이용하면 설시속도나 신버전 kext, 업그레이드 등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Leopard용은 xpc, ✒boot-132, Chameleon, Boot Think 등의 부트로더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 Snow Leopard 용은 ✒Chameleon, Boot Think 를 설치하여 이용합니다.
  •  보편적인 cmos setup 방법입니다.  심심해서 그림을 올린 것은 아닙니다.  해킨의 첫걸음이기도 하구요.  꼬옥 AHCI로 설정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물론, 시스템에 따라 MANUAL로 해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Hackintosh > Install'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0만원대의 OSX 를 내PC에 설치하는 방법  (6) 2011.01.18
Leopard HD install helper v0.3(Win32)  (2) 2011.01.16
USB Memory Stick 을 이용하여 해킨토시 설치하기  (0) 2010.07.01
MBOUTCD  (0) 2010.07.01
BootCD 종류  (0) 2010.06.07
:
Posted by Ritz®™